
리뷰 Surface Pro X 사용 약 3개월, Surface Pro X로 개발이 가능한가? 로 조금 적어둡니답
- Chord
- 조회 수 1389
- 2021.03.14. 20:40
이전에 리뷰에 서피스 프로X에 대해서 리뷰글을 썼었는데 뻘글 정리한다고 열심히 이전 글 지우다가 날려먹어서..
그때 닷넷 한정으로는 조금은 개발이 가능하긴하다고 썼었는데 몇몇 분들이 추가적인 질문들을 해주셔서 남겨두는게 좋을 것 같아서 남겨둡니다.
1. 윈도우용 프로그램 개발 되나요?
-> CLI을 사용하신다면 방식이면 '되기는' 합니다. 다만 네이티브로 빌드 돌릴 수있는건 닷넷5뿐이라 사실상 없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전 닷넷 버전을 32비트 짜리로 받아서 돌려봤는데 빌드는 됩니다만 배포나 딴거 좀 해보려고 하면 에러가.. 안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외국분들 보면 UWP나 자마린을 VS Code로 만들던데 이건 정확하게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모르겠네요. 근데 UI나 여러면에서 힘들 것 같습니다.
2. 그럼 VS Code로 닷넷 작업하는건 되나요?
-> CLI와 VS Code를 위주로 작업하신다면 가능합니다. ASP.NET Core 계열은 서버, 웹 가리지 않고 테스트 해봤는데 잘 됩니다. 다만 서버쪽은 좀 힘들 것 같은게 VS Code 내에서 디버깅이 안돼요..
3. 디버깅이 서버쪽 개발만 안되나요?
-> 네, 아직은 디버깅 할려고 하면 오류를 뿜어댑니다. 이거 때문에 인사이더 설치하고 C#용 확장프로그램인 OmniSharp도 64비트 시뮬 돌려보고 했지만 너무 불안정합니다.
4. 웹 쪽은 디버깅이 되나요?
-> 네, 다만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디버깅 해야합니다.
5. 왜 이렇게 되는거죠?
-> VS Code에서 C# 확장프로그램인 OmniSharp이 64비트 밖에 지원을 안합니다. ARM 용을 준비 중이라고는 하는데 엉엉
6. 그럼 인텔리센스 안되는거 아니에요?
-> 이건 또 OmniSharp GitHub를 들어가시면 ARM용 프로그램이 있는걸 따로 받아서 위치 지정해주면 잘 돌아갑니다. (???) 관련 메서드 띄워주고 필요한 using 띄워주고 필요 없는거 지워주고 문단 맞춰주고 다 잘됩니다. 디버깅만 안돼요 허허
7. JS 계열 되나요? 깃 되나요? 노드 js 되나요?
-> 다 잘됩니다. 32비트로 설치하셔서 쓰시면 됩니다. 다만 제가 JS 계열 애들 (리액트, 뷰, 노드 등등)은 맛만 본거라 잘 모르게쒀요
8. JS 계열 되면 일렉트론으로 만들면 안돼요?
-> 이거 아직 arm 용 빌드만 지원하고 arm에서 배포는 지원안하는건지 안되더라구요..
9. 서버에 배포 되나요?
-> WSL2, Azure로 테스트 할 때는 잘 됐습니다. 전부 VS Code, CLI로 작업해봤습니다.
10. DB 프로그램 돌아가나요?
-> 몇몇은 돌아는 가는데.. (ex. DataGrip) 좀 그러네요 허허
결론.
-> 닷넷5를 기반으로 웹 쪽 하시는 분들이라면 VS Code랑 CLI만 익숙해지면 대부분 하시던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Blazor WebAssembly 공부 중인데 아직 제가 잘못해서 안되는거 빼면은 다 잘 됩니다. 디버깅도 브라우저로 잘 되고.. 서버는 아직까지는 수정 및 재배포 정도로만 가능하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Blazor Server로 만들면 브라우저로 디버깅 되지 않을까 했는데 제가 뭘 잘못 건드린건지 안되더라구요.. 물론 테스트 서버 만들어 두고 올린다음 원격 디버깅 하면 될 것 같기는 한데..
->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는건 닷넷5와 같이 Azure, Blazor WebAssembly 개발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JS 계열은 이걸로 프로그램이라고 할만한걸 만들어보질 못해서 확답은 못드리겠고.. 사실 국내에서 닷넷 이용한 웹 쪽은 채신 버전을 쓰는걸 잘 못봐서 서피스 프로 X가 개발로 유용하다고는 추천은 못하겠네요 ㅋㅋㅋ
-> 다만 저처럼 닷넷 좋아하시고 급한 코드 수정용 or 닷넷5 개발용으로 쓰기에는 배터리도 오래가고 LTE 달리고 윈도 달려서 맥에서 안되는 한글 돌아가고 괜찮은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갤탭이나 아이패드로도 원격 코딩 하시는 분들도 많던데 원격으로 써도 키보드 배열이나 여러면에서 아이패드나 갤탭보다 잘 되기도 하구요. 한글은 압도적으로 나머지 보다 잘 돌리기도 하고.. 올해나 내년 초에 자마린이 MAUI로 탈바꿈 하면서 VS Code로도 앱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하니 올해 안에는 닷넷 안에서는 가리는거 없이 쓸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Galaxy S22, iPhone 11 Pro
✏️ XPS 13 9310 2 in 1
⌚ Galaxy Watch4 Classic 42mm
🎧 Galaxy Buds Pro & Live, WH-1000MX4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인텔 서피스 프로 시리즈는 조만간 없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전에 한번 올렸던 유튜브 내용이나 여기 다른 분들 말씀따나 서피스가 진짜 기업 요구사항을 우선순위로 든다면 서피스 프로 시리즈가 있을 이유가 없는 것 같아요. 기업용 마소 프로그램은 ARM으로 다 잘 돌아가는데 딱히 그 범위 안에서는 인텔이나 얘나 성능 차이가 별로 없거든요. 근데 얘는 배터리도 인텔 서피스 프로보다 압도적으로 길기도 하고..
그냥 제 생각이지만 서피스 프로에 이 디자인이 쓰인다면 그냥 ARM으로만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ARM = 태블릿, 인텔/라이젠=서피스 랩탑, 서피스북 이런 느낌?











언제쯤 저 디자인이 서피스 프로 차기 라인업에 들어갈까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