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이가 확연한? 구글캠과 기본캠
- pietoro
- 조회 수 329
- 2023.03.15. 10:05
일단 수키로 미터 떨어진 건물 크롭입니다.
디테일은 기본캠도 oun ui5.1이후 많이 좋아진 모습입니다.
헌데.. 왼쪽(기본캠)에서 보이듯.. 부분 부분 단색(무색)처리.. 는 매번 보면서도 이해 안가는 부분입니다.
설마 이렇게 까지 크롭하겠어?하고.. 색을 빼버린건지?ㅎ;;
하나의 폰 전혀 다른 결과물 마치 폰사진과 디카의 차이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역시 구글캠은...ㅎㅎ;
기본캠경우 주변부로 갈수록 디테일 처리가 많이 부족해 지는데 구글캠은 역시 어느 한곳? 놓치치 않고
하나하나 세세히 처리된 모습입니다..
이렇게 보면 마치 몇배 화소 높은 카메라(폰)으로 담은것 같아 보입니다.
일부 단색 또는 무채색처리 (기본캠)
하늘색 처리 ( 물론 dehaze옵션과 saturation옵션등을 만져 주긴 했지만) 지금 구글캠경우 확실히 색감처리며
디테일 처리가 기존 구글캠과는 많이 다른듯 합니다.
모처럼 미세먼지도 없고 화창해서 테스트겸 담아봤는데..오른쪽(구글)에선 따스한 햇살이 비추는게 보이는데.. 왼쪽(기본)은 날씨 상태가 확인이 안되고.. 색도 좀 칙칙?하다랄까요?
벽돌 디테일 처리 차이? 보통.. nr이 덜 들어가면 디테일이 더 살고 노이즈가 보이는데..
되려.. 왼쪽(기본)이 노이즈가 더 보입니다.
두 사진모두 아침 햇살에 반사되 반사광이 나타난 건 알수가 있는데
왼쪽(기본)경우 삼성폰 특유의 검은 노이즈가 끼면서..디테일도 처리도 더 부족하게 담겼네요
그림자-> 이 사진만 봐도 어느정도의 디테일 차이인지 알수가 있겠네요..
억지 밝기와? 샤픈만 강조되는 기본캠의 아쉬움..
디테일은 둘째고 이런 무채색(단색?)처리는 무슨 (ai) 후처리? 기술인지 모르겠습니다.. ㄷㄷ;
물론 이번 23u에선 이런 현상이 거의 안보이긴 하는데..기존 1억화소에선
임의적으로 무채색(검은색)으로 담기는걸 종종 볼 수가 있습니다.
데이터 처리량?이 더 많이 담긴 만큼 저장 용량도 2배 이상 됩니다..
기본캠을 안쓴지가 언젠지 기억도 안나지만.. 구글캠으로 존버 하면서.. 지금폰 약정 기다리면서..
23u던 24u던 노려 봐야 겠습니다~^^;
간단한? 기본캠 / 구글캠 색상처리,디테일처리 등을 비교해 봤습니다..^^;
## 구글캠경우 버젼 또는 설정(세부옵션)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집니다.









딱! 정답을 말씀 하신것 같습니다..ㅎ 전설의 마법도구..ㅎ;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니 설정값도 다를테고 당연히 결과물도 다르죠..
만질께 많은 정도가 아니라 어마어마 하죠..^^; 그나마 최신8.7대는 옵션이 좀 단순해 지긴했지만..
기존 8.4이하 버젼 만큼의 결과물이 나오진 않더라구요..
제 경우 예전 (벌써7여 년전) 그 말도 안되는 나름 프래그쉽이란 엘0의 모 폰 덕에..구글캠 알게되서..
설정 뻘짓만 수년째 하고 있네요.. 그나마 이젠 통밥으로?적당히 만지고 있지만요..^^;
게다가..용어들도 죄다 전문용어에 어떤건 검색 조차 안되니..ㅎㅎ 중간중간 멘붕 올때도 많았지만..
워낙..결과물이 넘사벽인지라..포기 안하고? 여태것 잘 쓰고 있습니다..ㅎㅎ
지금 버젼경우.. 워낙..디테일 중점이라 기본캠과 너무 대조 되게 잘 나와서..ㅎㅎ 무튼요..
님 말씀처럼 쉽게 도전?하기도 어렵고.. 한번 시작하면 끝도 안나고..멘붕오고..ㅎ
삼0 개발진 들이 왜 모든환경에 적합한? 결과물을 못 만드는지 구글캠 몇번 만져보면 대충? 느낌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ㅎㅎ
(사진은 최근 몇주 설정값 만들었던? 메모..ㅎ)


구글캠은 셔터속도 어떤가요?
기본캠보다 나은가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