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반도체 소부장 국산화율은 어느 정도인가요?
- 익명
- 조회 수 416
- 2023.03.16. 19:55
댓글
13
1등 찌그렁오리
2등 찌그렁오리
글쓴이
익명
찌그렁오리 님께
찌그렁오리
익명 님께
3등 인헤리턴스
글쓴이
익명
인헤리턴스 님께
찌그렁오리
익명 님께
마키세크리스
PaulBasset
전자개복치
sourire
전자개복치 님께
인헤리턴스
전자개복치 님께
Hahn
2023.03.16. 20:23

2023.03.16. 20:25
2023.03.16. 20:31

2023.03.16. 21:37

2023.03.16. 20:59
2023.03.16. 21:04

2023.03.16. 22:23

2023.03.16. 21:41

2023.03.16. 21:50
실제로 국산화 성과도 여럿 나왔다. 일본산 수입대체에 가장 성공한 품목은 불화수소다. 지난해(2022년) 기준 일본에서 수입한 반도체 제조용 불화수소의 수입금액은 830만달러, 수입중량은 3451톤으로 수출 규제가 시작되기 전인 2018년 대비 각각 87.6%, 91% 감소했다. 국내 기업인 솔브레인과 SK머트리얼즈의 국산화와 수입처 다변화를 통해 이룬 성과다.
솔브레인은 2020년 초 액체 불화수소 공장을 조기 완공해 12N급의 초고순도 액체 불화수소 양산에 성공했다. SK머트리얼즈는 2020년 중순 액체 불화수소 대비 개발 난이도가 높은 불화수소 가스 양산을 3N급의 초고순도 제품으로 양산하기 시작했으며, 올해까지 국산화 70%를 목표로 잡고 있다.
포토레지스트의 경우 일본 글로벌 점유율이 워낙 높아 일본 의존도를 낮추는데에는 실패했다. 그럼에도 동진쎄미켐은 지난해 말 EUV 포토레지스트 양산에 성공해 반도체 고부가 소재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다. 동진쎄미켐은 EUV PR뿐 아니라 최근 무기물 PR 개발에도 나선 상황이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0060
성과가 아예 없었던건 아닙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일본이 언제든 수출규제를 또 할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걸 생각하면 공급선 다변화는 무조건 되는게 좋죠

2023.03.16. 22:33

2023.03.17. 00:05

2023.03.17. 00:03

2023.03.16. 22:46
https://m.etnews.com/20220628000210
소부장이 1,2년 투자한다고 큰 결과를 내기 힘든산업중 하나지요
국산화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