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자유 검열의 장점과 단점, 당위성으로 무엇이 있을까유?

  • 익명
  • 조회 수 325
  • 2025.01.12. 18:50

'검열'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절레절레 싫어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 기관에서 소극적~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검열 제도이고

그에 대한 장점과 필요성이 있기 때문일텐데

 

사회 안전, 범죄 예방, 안보, 비용 관리? 등 목적이 있으려나유

댓글
11
BarryWhite
1등 BarryWhite
2025.01.12. 18:52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점에선 사전 검열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보고

그게 아니면 사전 검열이 과하게 느껴질 수도 있죠.

검열은 시행하는 게 비용이지만, 사고가 터지면 수습 비용이 더 클 수도 있긴 하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리애는물어요
best 2등 우리애는물어요
2025.01.12. 18:52

보통 그러한것을 사회구성원들이 용인하는 경우는 사회안전에 관련된 정도지요 

아마 그런것에 방아쇠를 당긴건 IS 때문에 생겨난 자생적 테러범들이 늘어나면서 부터구요

[우리애는물어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우리애는물어요 님께
2025.01.12. 18:52
회원님 5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콜홍
3등 콜홍
2025.01.12. 18:53

저는 사회 안전, 범죄 예방 뭐든 다 찬성입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성행위도 범죄(?)에 들어가고, 어린이 보호구역 불법주정차는 범죄에 안 들어가는 등, 일단  범죄의 정의를 다시 써야 한다고 생각하네요.

[콜홍]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5.01.12. 19:03

사람들 이라는게 개인도 개인이지만, 집단으로 가면, 개체에 내제된 불완전성을 더욱 띄게 되어있습니다.

그냥 간단한 예를 들자면

 

그 질 안좋은 커뮤니티 애들이 이상한 게임 만들어서 앱스토어에 유통시키면

그거 검열 없으면 엉망진창이 되겠죠

 

물론 완벽한 검열은 있을 수 없고, 구멍이 숭숭 뚤릴수도 있습니다만

최소한의 기능이라도 하는게 이득이라고 봅니다.

 

검열이라는게 아주 쎼거나, 없거나가 아닌 중용을 지키는 식이면 사회에서 용인이 되는거죠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베이어
베이어
2025.01.12. 19:00

가장 큰건 사회안전이죠

검열이다 정부가 들춰본다고 하면 거부감 맥스지만

테러범을 잡기위한 시스템이다

불법약물 검열 시스템이다 하면

이게 또 굉장히 다르게 들리거든요 ㅋㅋ...

텔레그램도 비슷하게 안 열어주는걸 장점으로 꼽지만

테러이용에도 안 열어주다보니 (요새는 또 해준다는거 같긴합니다.)

이때 검열 찬성과 반대의 갑론을박 간간히 볼수도 있죠

둘다 맞는 말이긴 하지만 본인의 잣대가 어디에 더 기울어져있나에 따라 생각해야죠 ㅎㅎ..

[베이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나쓰
도나쓰
2025.01.12. 19:32

보통 사회 안전 목적이 크죠 테러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사이버 범죄도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긴 하니까요

그런데 어디까지 검열할 것인지, 검열을 하는 절차나 기관은 누가 될것인지에 대한 찬반이 갈릴수밖에 없는 문제이긴 하죠 

[도나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지나가던호갱
지나가던호갱
2025.01.12. 19:59

사회 안전을 위한 검열과 권력 유지를 위한 검열의 경계가 그리 명확하지 않아서 특히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극히 경계하죠. 

[지나가던호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erplexity
Perplexity
2025.01.12. 22:33

### 검열의 장점, 단점, 그리고 당위성

 

검열은 특정 정보나 표현을 제한하거나 통제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국가, 기업, 또는 개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검열은 사회적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지만,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많습니다. 아래에서는 검열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그 당위성을 살펴보겠습니다.

 

---

 

## **검열의 장점**

 

1. **사회 안전과 공공질서 유지**  

   - 검열은 폭력적이거나 불법적인 콘텐츠(예: 테러 선전물, 아동 음란물 등)의 확산을 막아 사회적 혼란을 예방합니다.  

   - 예를 들어, 디지털 성범죄물이나 혐오 발언을 차단함으로써 피해자를 보호하고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범죄 예방 및 안보 강화**  

   - 인터넷 검열은 사이버 범죄, 테러리즘, 또는 반국가 활동과 같은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기여합니다.  

   - 예컨대, 북한의 정보전과 같은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패킷 감청과 같은 기술이 사용됩니다.

 

3. **청소년 및 취약계층 보호**  

   - 청소년에게 유해한 콘텐츠(예: 선정적 또는 폭력적인 미디어)를 차단하여 건전한 성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게임이나 영상물에 대한 등급 분류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집니다.

 

4. **사회적 비용 절감**  

   - 잘못된 정보나 불법 콘텐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이나 사회적 혼란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 **검열의 단점**

 

1. **표현의 자유 침해**  

   - 검열은 개인이나 단체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권리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민주주의와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특히 소수자나 비주류 의견이 억압될 위험이 큽니다.

 

2. **정보 왜곡과 불투명성**  

   - 검열은 특정 정보만 선택적으로 공개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여론 형성을 왜곡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공의 알 권리를 침해하게 됩니다.  

   - 사적 검열(private censorship)에서는 플랫폼 운영자의 자의적인 판단으로 콘텐츠가 삭제되거나 차단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3. **오용 및 남용 가능성**  

   - 권력자나 정부가 검열을 정치적 도구로 악용하여 비판 세력을 억압하거나 정권 유지에 이용할 위험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군사독재 시절 한국에서는 검열이 언론 탄압과 정치적 통제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4. **창작 및 혁신 저해**  

   - 예술과 문화 분야에서 검열은 창작자의 자기검열을 유발하여 표현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사회 전반적으로 문화적 풍요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5. **기술적 한계와 역효과**  

   - 인터넷 검열은 우회 기술(예: VPN)로 쉽게 무력화될 수 있으며, 이는 오히려 규제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 또한 지나치게 광범위한 검열은 불필요한 반발과 불신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 **검열의 당위성**

 

검열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는 그 목적과 실행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1. **정당한 목적**  

   - 검열은 공공의 안전, 국가 안보, 청소년 보호와 같은 정당한 목적 하에서 시행될 때 당위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테러 선전물이나 아동 음란물 차단은 사회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정당한 이유입니다.

 

2. **헌법 및 법률 준수**  

   - 대한민국 헌법 제21조는 사전검열을 금지하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는 제한적으로 규제를 허용합니다(예: 청소년 보호법).  

   - 따라서 검열이 법률에 근거하고 적법한 절차를 따른다면 그 정당성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3.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  

   - 검열 과정이 투명하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면 시민들의 신뢰를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예컨대, 독립된 심의기구가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운영된다면 남용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사회적 합의와 참여**  

   - 검열 정책은 시민사회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회적 합의를 통해 결정되어야 합니다.  

   - 민관 협력 체계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결론**

 

검열은 사회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일 수 있지만, 동시에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를 제한하는 위험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검열이 필요하다면 그 목적과 방식이 명확해야 하며, 투명성과 책임성을 바탕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절차가 필수적입니다.

 

[Perplexit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2025.01.13. 15:06

이상적으로는 저도 자유주의를 좋아하는 이상 검열은 없을수록 좋다가 생각이고요. 현실의 벽이 있겠지만 그렇다고 검열을 한번 열어주면 겉잡을수 없이 커지겠죠.

 

아 참고로 국가에 의한 통신 사전 검열은 헌법 21조와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위헌행위라는 것이죠.

 

그렇지만 문화예술이나 게임은 분명 논란이 있지만 위헌이 아닌 이상한(?) 상황이긴 합니다. 이게 행정권의 허가가 달린게 결정적인걸로 아는데 이 논리면 방심위는 무슨 기관인가 싶죠.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41018 수정 admin 19.11.25 8 67964
핫글 SKT 해킹 원인 중 하나는 '주 52시간' [12] 25시,나이트코드에서. 25.04.26 45 1179
핫글 SKT 해킹 사태, 정말 고객 책임은 없었나? [3] DEEPm 25.04.26 13 477
핫글 월드 IT쇼 보고 왔습니다. 어리아리 25.04.26 7 168
123140 아주아주아주아주 맛있어 보이는 휘낭시에를 발견했습니다 [22] file 쿼드쿼드 25.02.10 17 727
123139 경기버스 진짜 출근길에 못타겠네요 [11] 행복한쿼카 25.02.10 10 622
123138 기변 재단 정했습니다 [4] sourire 25.02.10 3 292
123137 이거 보고 라면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습니다. [23] BarryWhite 25.02.09 18 1197
123136 퇴근길 유심 재발급 해야겠네요 [5] sourire 25.02.09 4 417
123135 딥시크 패치됬나요??? [4] file 치즈볼 25.02.09 3 513
123134 이제 검색은 AI가 편하네요 [6] file 투야 25.02.09 11 761
123133 마침내 마비노기모바일 출시일이 공개되었습니다 [31] file 쿼드쿼드 25.02.09 6 502
123132 스타벅스 물제공 방식이 지점마다 다르군요 [6] 에피 25.02.09 5 506
123131 윈도우 두고 리눅스로 이주 후기 [11] Haraway 25.02.09 4 401
123130 기사필기 붙었네요 [18] LG산흑우 25.02.09 28 973
123129 여러분들의 눈과 마음을 정화해줄 영상 [2] BarryWhite 25.02.09 4 320
123128 텔레그램 목사방 총책은 33살 김녹완‥234명 성착취 [3] BarryWhite 25.02.09 4 389
123127 아이폰 ar 강화유리는 [2] 미세먼지주의보 25.02.09 0 252
123126 저는 5분 넘어가는 음악을 좋아합니다 [3] 25시,나이트코드에서. 25.02.08 5 297
123125 한파 속 주말 폰카 4선 📷 [5] file 개구리 25.02.08 3 218
123124 저를 MZ로 불러주세요 [2] file 루시우 25.02.08 4 387
123123 평촌역 돼지국밥 [1] file CountDooku 25.02.08 5 247
123122 갤북5프로 사은품 파우치가 왔습니다 [3] file 쿼드쿼드 25.02.08 2 340
123121 개열받네요 [8] file 룬룬 25.02.08 7 614
123120 뻑가 근황 [11] file 쿼드쿼드 25.02.08 23 1364
123119 촬영장비들은 sd카드 쓰나요? [3] 윤이 25.02.08 1 218
123118 흑백요리사 도량 갔다왔슈 [1] file 닉포토 25.02.08 10 426
123117 강원도로 떠납니다 [8] file 도나쓰 25.02.08 12 479
123116 미코다움? [4] alpha 25.02.07 13 565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확장 변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