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잡담: 아드레노 750(가칭)의 성능/전력 시나리오...?
- Section31
- 조회 수 329
- 2023.03.12. 15:07
주의: 이하 모든 값은 허구의 시나리오임을 밝힙니다.
Note: All the values below are purely imaginary/hypothetical scenarios.
Adreno 740(이하 740)의 FP32 성능이 719 MHz 클럭에서 약 2.0 TFlops입니다. (for Galaxy 버전)
1) 시나리오1: Adreno 750(이하 750)의 FP32 성능이 740 대비 30% 향상이라고 가정.
2) 시나리오2-1: 750의 ALU 개수가 740의 768(1536)개에서 1024(2048)개로 늘었다고 가정. (+33%)
3) 시나리오2-2: 750의 ALU 개수가 740의 768(1536)개에서 1152(2304)개로 늘었다고 가정. (+50%)
4) 시나리오2-3: 750의 ALU 개수가 740의 768(1536)개에서 1536(3072)개로 늘었다고 가정. (+100%)
TSMC N4P는 같은 소비전력에서 성능이 대략 +6%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즉, N4에서 제조된 칩의 성능=1, 소비전력=1 이라 하면, N4P에선 성능=1.06, 소비전력=1 입니다.
이제 Adreno GPU의 경우 FP32 [TFlops] 계산식이 (ALU개수) × (클럭) × 2 ÷ 100만 입니다.
그러면 식을 다음과 같이 세울 수 있습니다.
2048 × (클럭) × 2 ÷ 100만 = 2.0 × 1.3 [TFlops]
계산하면 시나리오 1 하에서,
1) 시나리오 2-1에 따른 Adreno 750의 클럭은 635 MHz 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2) 시나리오 2-2의 경우 564 MHz,
3) 시나리오 2-3의 경우 423 MHz 입니다.
8 Gen 1에 탑재된 Adreno 730이 730 MHz, 8+ Gen 1은 같은 구성에 900 MHz였습니다.
여기서 740에서 8+ Gen 1의 730 대비 클럭을 낮추고 ALU 수를 늘린 까닭이,
730에서 클럭을 900 MHz로 올리니까 N4의 도움을 받아도
소비전력이 GFXBench 기준 9W대에 달했기 때문입니다.
(하단 링크에서 GFXBench Aztec Ruins Normal Tier Offscreen Power Consumption 150cd 참조)
https://www.notebookcheck.net/Qualcomm-Adreno-730-GPU-Benchmarks-and-Specs.583409.0.html
만약 위의 시나리오대로 계산한다면 퀄컴 입장에서는 삼성과 마찬가지로,
1) 전성비를 위해 클럭을 낮추자니 ALU 수를 늘려야하는데,
2) 이렇게 되면 다이사이즈가 커져 생산단가가 비싸지고 ALU 수에 비례해서 발열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3) 반대로 다이사이즈를 줄이려면 ALU 수를 줄이고 클럭을 올려야 하는데,
4) 이렇게 되면 스윗스팟을 넘겨버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또 발열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쯤 되면 삼성과도 마찬가지로 퀄컴도 골때리게 됩니다(...).
~ 삼성은? ~
한편, 삼성 입장에서는 이미 엑시노스 2400의 다이사이즈는 대략 130 mm²라고 하고,
RDNA 2 기반 Xclipse 940(가칭)의 구성도 6 WGP (12CU) 구성임이 이미 밝혀졌으므로,
삼성 입장에서는 딱 한 가지만 하면 되는데, 그것은 바로
4LPP+로 시험생산을 했을 때 1 CU당 소비전력 대 클럭 곡선(하단 그림에서 빨간색 곡선)을
최대한 왼쪽으로 옮긴 결과가 나오면 됩니다.
그런 다음에 모바일 환경에서 4LPP+ 공정상 할 수 있는 최대 클럭을 택하면 됩니다.
이게 다입니다. 네. 삼성 입장에서는 해야되는 일이 이게 끝이예요.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Galaxy S24 Ultra (If possible)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 이후 플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