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잡담: 웨이보에서 나온 8젠3 관련 루머대로라면
- Section31
- 조회 수 1812
- 2023.03.26. 01:34
주석: 밑의 계산 및 세팅값은 가설상의 시나리오이므로, 실제품이 나오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
Note: All values and calculations below are hypothetical; they are subject to change when actual products come out.
(출처의 포스팅을 보고 대충 숫자 계산해서 작성)
이전에 SD8 Gen 3의 코어 구성과 클럭이 1+5+2에 3.2+3.0×5+2.0×2
라는 루머가 중국발로 있었지만, 쿠바 보이치에초프스키(Kuba Wojciechowski)가
1+2+3+2 라는 구성이라고 언급을 하여 이것이 맞다고 가정하였습니다.
(해당 루머에 대해서는 밑의 트위터 스레드 참고)
https://twitter.com/Za_Raczke/status/1639054280869937159
또한 이에 따라 1+2+3+2에서 5=2+3으로 분리한 것으로 보이므로,
이곳 게시판에서 본 또다른 포스팅에서 나온 것과 같이 클럭을 가정하고
계산하였습니다.: 3.2+3.0×2+2.7×3+2.0×2
또한 갤럭시형은 3.36+3.0×2+2.7×3+2.0×2로 두고 계산했습니다.
그리고 엑시노스 2400은 3.1+2.9×2+2.6×3+1.8×4 로 두고 계산하였습니다.
웨이보에서 나온 SD8 Gen 3의 긱벤치5 값이 대략 싱글코어 1800, 멀티코어 6500점대라고
하므로, 이 두 값을 모두 상대적 기준치 "1"로 잡았습니다.
여기서 계산의 편의를 위해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Ceteris paribus)를 선언하겠습니다.
그렇다면 각 코어 클러스터 및 총 성능 차이를 계산할 때는 단지
∑ { (코어 수) × (코어 클럭) } 의 차이를 살펴보면 됩니다.
이를 이용하면 스냅드래곤 8 Gen 3 대비 엑시노스 2400은,
- 빅 클러스터: 3.2%(표준형) / 8.4%(갤럭시형) 열세
- 미들 클러스터: 3.64% 열세
- 리틀 클러스터: 225% 우세
가 나옵니다.
세 개의 클러스터를 모두 합치면 단순계산 시
엑시노스 2400은 스냅드래곤 8 Gen 3 대비
12.2%(표준형) / 11.4%(갤럭시형) 우세가 나옵니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이것을 루머상의 8젠3 긱벤치5 점수인
1800/6500에 대입하면, 이 값을 표준형 8 Gen 3의 값이라고 가정할 때,
엑시노스 2400은 대략 1740/7300 이 나오게 되며, 수율 편차를 고려했을 때
가능한 최대점수는 대략 1775/7500 정도로 예상됩니다.
한편, 누비아 코어를 탑재한다고 하는 스냅드래곤 8 Gen 4의 경우
SD8 Gen 3에서 +15%/+40% 라고 하므로,
이로 미루어보면 SD8 Gen 4는 대략 2070/9100 정도에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SF3로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엑시노스 2500"(가칭)의 경우,
Cortex-X5 코어를 최소한 하나를 쓸 것은 자명한 바, X5가 X4 대비 +15~20% 향상이라면,
엑시노스 2500의 싱글코어 점수는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ceteris paribus) 선언하고
대충 계산했을 때 긱벤치5 기준 2080~2090점대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은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라는 이상적인 조건 하에서
계산한 것으로, 실제품이 나오면 달라질 수 있음을 말하겠습니다.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Galaxy S24 Ultra (If possible)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 이후 플랜: ????
미래가 ㄹㅇ 궁금해지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