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블로그발) 팹리스, 파운드리 정보
- Section31
- 조회 수 1327
- 2023.05.26. 14:45
https://gamma0burst.tistory.com/1071
오늘도 그분께서 여럿 흥미로운 정보들을 발견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 몇몇은 별도로 추가 코멘트를 하자면...
1) 엑시노스 1080
- 예전에 안투투에서 엑시노스 1080을 탑재한 "오리온"(Orion)이라는 코드네임의 디바이스가 나타났었습니다.
- 그리고 위의 링크에서 코드네임 "오렌지"(Orange)가 있는데....
- 오리온 및 오렌지 모두 각각 미국 미시간 주 및 버지니아 주에 있는 호수입니다.
- 1330, 1380의 코드네임 "라이스" 및 "쿼츠"가 둘 모두 호수 이름이기 때문에, 꽤나 그럴듯합니다...?
2) ERD(Exynos Reference Device)
- 알다시피, 엑시노스 2400의 코드네임은 "루트"(Root)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역시나 산 이름....
- ERD는, 원래는 개체-관계 다이어그램을 뜻합니다. 다만 출처에서 ERD는 엑시노스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뜻합니다.
- 따라서 EVT(엔지니어링 검증 시험 모델)의 버전은 모르지만 뭐가 어찌되었던 간에, 출처에서 나온 대로 한창 개발중인 것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3) 퀄컴-4LPE ??
- 이전에, 스냅드래곤 6 Gen 1과 7 Gen 1이 4LPE로 제조된다는 정보가 알려졌었지만, 한참 뒤에 몇몇 회원분들께서 조사하신 결과 4LPE가 아닌 4LPX - 즉 5LPP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 즉, 이것과 별개로 Kuba Wojciechowski의 4 Gen 2 관련 루머들까지 합치면, 4LPX는 무려 3개 AP를 담당하는 셈이 됩니다.; 4 Gen 2, 6 Gen 1, 7 Gen 1.
- 또한 7 Gen 1의 고클럭 버전은 다른 회원분께서 4LPX 공정에서 변경이 없다고 하셨으므로, 7 Gen 1의 다른 바리에이션을 TSMC에서 만들었을 확률은 거의 0으로 짐작됩니다.
- 게다가, 4LPE는 4LPP/4LPP+가 본격적으로 가동되거나 가동이 예정될 시점에서 사실상 퇴출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Galaxy S24 Ultra (If possible)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 이후 플랜: ????
퀄콤 4LPE 내역은 레알 테스트해본 정도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