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항상 나오는 엑시노스 '특징'
- GalaxyBudsSeries
- 조회 수 2926
- 2024.03.19. 16:23
2018년 엑시노스9810 VS 스냅 845
절망적인 스케쥴러, 초창기 전작보다 전성비가 안 좋다는 평
삼성파운드리가 문제없던 10나노시절
스냅 845승
2019년 엑시노스 9820 VS 스냅 855
말만 8나노인 삼성 10나노 기반 AP
예상보다 빨랐던 TSMC 7나노 공정
9810보다는 개선되었던 스케쥴러 태생적인 말리 그래픽의 한계
판올림에서 개선된 스케쥴러
8LPP 엑시노스9820 VS TSMC 7나노 스냅855
스냅 855승
2019년 엑시노스9825 VS 스냅 855
삼성최초 EUV 공정 도입, 추후 안드로이드 판올림에서 스케쥴러 개선
삼성 EUV 7나노 공정, TSMC 7나노공정 스냅855승
2020년 엑시노스990 VS 스냅 865
몽구스의 마지막 불꽃, 전성비 스냅 865대비 압도적으로 밀림
그와중에 전세대 아키테쳐 A76탑재
모뎀성능 밀리는 엑시990
삼성파운드리 7나노 공정, TSMC 7나노 공정 스냅 865승
2021년 엑시노스2100 VS 스냅888
당당하게 공개한 엑시노스 IS BACK
삼성파운드리의 절망적인 5나노 성능, 드디어 몽구스대신 X1빅코어 탑재, 둘다 우열을 가리기 힘든 절망적인 성능, 그와중에 쳐낸 엑시노스 L2캐시
삼성파운드리 5LPE 공정 VS 삼성파운드리 5LPE공정
스냅888승
2022년 엑시노스2200 VS 스냅 8 GEN 1
많은 이들의 관심을 불러모은 엑시노스 AMD 그래픽 탑재
모든걸 갈아엎었다지만 공정 수율이 멸망해버린 4LPE공정
퀄컴에서 4나노 광고하려고 4LPX홍보했지만 실상은 망한 5나노 공정 2세대
GPU 성능 최대치는 A15바이오닉과 비빈 스냅 하지만 발열로 멸망
4LPE공정 엑시노스 2200 VS 4LPX 스냅 8 GEN 1
스냅 8 GEN 1승
2022년 스냅8 GEN 1 VS 스냅 8+ GEN 1
하반기 구세주 스냅 8+ GEN 1등장
TSMC 4나노 공정 하나 바뀌었다고 전작 스냅 8 GEN 1과 비교 전성비 30%개선 그냥 다른세대 AP의 등장
삼성파운드리 4LPX 8 GEN 1 VS TSMC 4나노 8+ GEN 1
8+ GEN 1 승
2023년 공개조차 안된 엑시노스 2300 VS 스냅 8 GEN 2
공개조차 안된 비운의 AP 엑시노스2300
나왔어도 스냅 8 GEN 2에 압도적으로 밀렸을 AP
TSMC 4나노와 GPU 코어수를 전작대비 50% 늘려버린 퀄컴
전작대비 압도적으로 개선된 CPU, GPU전성비
2021, 2022년 2년을 말아먹은 안드AP에서 TSMC가 보여줬던 8+ GEN 1 희망을 보여준후에 드디어 동시대 애플의 A16바이오닉 그래픽 점수를 이겨버리는 1티어 명작 안드AP등장
이 이후 안드AP가 불씨를 태우기시작
출시안한 엑시노스2300 VS TSMC 4나노 공정 스냅 8 GEN 2
스냅 8 GEN 2 승
2024년 엑시노스2400 VS 스냅 8 GEN 3
동시대 내부평가에서 TSMC N4P와 동급이라는 삼성파운드리 4LPP+공정 들어간 엑시노스 2400
엑시노스 시리즈 최초 FOWLP 패키징이라는 후공정 들어간 엑시 2400
RDNA3기반 GPU 아키테쳐 자체개선 탑재된 2400
현재까진 절망적인 엑시2400 모뎀 성능
전작보다 밀리는 게임성능 엑시노스 2400
GPU코어수 동결하였지만 개선된 전성비 개선 많이된 스냅 8 GEN 3
TSMC N4P 사용으로 살짝 공정상승효과만 본 스냅 8 GEN 3
L3캐시 12MB사용한 스냅 8 GEN 3
두 AP 모두 전성비 개선이 많이 된 빅코어 X4, 미들코어 A720 아키테쳐 탑재
삼성파운드리 4LPP+공정 엑시노스2400 VS TSMC N4P공정 스냅 8 GEN 3
스냅 8 GEN 3 승
똑같은 패턴입니다
출시되고 최적화 업데이트하면 좋아진다
동일한 API에서 비교해야한다
애시당초 ANGLE 드라이버 사용할꺼면 출시전부터 잘했어야했고 게임사 최적화도 삼성정도 대기업이면 당연히 최적화 했어야합니다
내년 엑시노스 전용칩도 또 똑같은 패턴 보일꺼 같습니다
3나노 GAA공정수율이 낮다, ANGLE 드라이버 최적화가 안되었다
출시하고 최적화 업데이트하면 된다등등 똑같을겁니다
그냥 스냅 쓰는게 소비자한테는 안전빵이긴합니다
삼성도 스냅만 다쓰면 AP에만 10조를 넘게쓰니 원가절감하려고 엑시쓰는거 같은데 글쎄요?
그러면 지역별 이원화로 어디는 기본 플러스 스냅 넣어주면 안되는거죠?
소비자로써 엑시노스가 잘 나와줬으면 합니다
그래야 퀄컴이 스냅드래곤 가격을 높이기 힘들죠
다만 그건 어디까지나 엑시노스가 잘나왔을때나 플래그쉽에 탑재하길 바랄뿐입니다
지금 몇년째 밀리는데 소비자가 전용칩이니 뭐니 해도 기대가 전혀 안됩니다
MX, S.LSI, 삼성파운드리 이 세곳에서 신경써서 만든다니까 정말로 사활 제대로 걸기 바랍니다













A칩 보니 미련이 남아서 그렇죠 뭐
삼성그룹에게 비메모리 반도체는 뭐랄까요 언제나 동경해오던 영역이었습니다 예전에 인텔과 라이벌구도 만들어가며 언플마니 했었죠 메모리로 시장점유율로는 이겼으니 좀만 연구하고 투자하면 우리도 비메모리 가능하다 뭐 이런식으로,,
세상이 cpu가 아닌 arm으로 옮겨갈지 예측은 2000년 중반부터 꾸준히했던 삼성이었습니다
그래서 SoC에 꾸준히 투자를 했었고 나름 결과도 보여줬습니다. 애플이 무려 엑시노스를 썼던적도 있었으니까요
그렇게 스냅의 8~90프로 성능.. 어떨땐 스냅의 삽질(화룡)등으로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며 엑시를 발전시킬 참이었는데 라이벌이라고 생각하던 회사가 a12를 시작으로 갑자기 치고나가버리죠 그때의 충격은 잊지못할거같습니다 2세대 아니 3세대는 차이나는 절대적성능에 os최척화까지 들어가니 이건..
그토록 열망해왔던 비메모리부분을 이렇게 쉽게??
한술더떠 m이나오고 얘가 라이벌회사 놋북시장도 잠식할가능성이있을정도네??? 아쉬움이 클수밖에 없을겁니다 미련이 계속 남죠
근데 무서운건 3인자도 아니고.. 중국업체에게도 뒤진다는 위기감,,
위탁생산이라 무시했던 업체에게 뒤지는 쪽팔림..





















Angle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