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S25U 최적화가 부족한가봅니다(feat. wild life extreme stress)
- E9
- 조회 수 1321
- 2025.02.12. 20:33
그냥 두번다 슈피겐 씬핏 맥핏 케이스 끼우고
돌린 결과 입니다.
거의 실온에서 돌리긴 했는데
라이트 모드가 lowest가 1000점이 높아버리네요.
아마 처음에 강하게 돌아서 발열이 누적되면 케이스로 막고 그러면 해소가 안되나봅니다. 몇달지나면 안정화가 되긴할거 같은데 수치가 대단한듯..








3Dmark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게임 퍼포먼스랑 연관짓는거 자체가 오류가 있어요, 삼디막을 돌리는 동안에는 GPU에만 부하가 주어지고 CPU 부분에는 아얘 부하가 주어지지 않거든요, 데스크톱이야 GPU, CPU가 별개의 쿨링 시스템으로 돌아가니까 (커스텀 수냉을 제외하고) 따로 테스트하는게 실제 게임 퍼포먼스와 어느정도 연관성이 있지만 모바일AP는 CPU와 GPU가 하나의 칩셋으로 되어 있는데 GPU만 측정하는 삼디막과 CPU,GPU에 모두 부하가 주어지는 실게임 퍼포먼스와는 전혀 별개의 이야기 입니다.

특히 벤치마크툴 특성상 기기가 버틸 수 있는 부하 내에서 최대의 부하가 가해지는데 이미 CPU/GPU 의 풀로드 소모전력이 기기가 버틸 수 있는 부하를 벗어난 최신 플래그십 모바일 AP에서 최신 게임들도 기껏해야 CPU+GPU 의 전력소모량이 그 절반에 불과한 수준으로 구동됩니다.
삼디막이 3D그래픽을 렌더링 하니까 실제 게임 퍼포먼스와 연관되겠다고 생각하지만 전혀 무관하죠
라이트모드 같은 경우에 더욱 상관이 없는게 실게임에서 어차피 CPU/GPU의 풀로드 절반 정도만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클럭을 다운시키는건 실제 게임 퍼포먼스와 전혀 동떨어져 있어요


그리고 최대부하시 전력소모랑 최대클럭으로 돌아가는건 좀 다른이야기입니다
cpu gpu 가버너,스케줄러등 세팅에따라 다릅니다만 보통 40~50%부하만걸려도
클럭올려버려서 생각보다 로드율안높아도 최대클럭이나 꽤 높은클럭으로 작동할수있습니다
이 경우 높은 클럭으로 작동해도 로드율자체는 낮아서 전력소모자체는
피크전력소모에비해 꽤 낮은수준으로 동작합니다 다만 전력효율은 떨어지는거죠
그리고 게임이란게 지속적으로 일정한 부하를 주는게아니기때문에
중간중간 로딩이있다던지 오브젝트나 이펙트등이 집중되는구간은
순간순간 고클럭으로 작동하는 구간이 누적될수있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무시하고 지속적으로 일정수준의 전력제한이 이루어지는경우는
따로 제조사에서 관련된 세팅을 해놨을때 그렇게 작동합니다
모든 게임이 일괄적으로 작동하지도않고 그렇게작동하면 사실 gos시즌2소리나올게뻔하거든요
전력을 일정 한계치까지 꾸준하게 사용하는것도 제조사에서 따로 세팅을해놨던지
스로틀링발생해서 온도한계치에 부딪힌경우에 그렇게작동합니다
ap온도 외에도 배터리온도등이 일정이상 도달하면 성능제한을걸기때문에요

생각보다 연관성이 큽니다. 스트레스테스트는 기기가 최대로 소화 가능한 총 소비전력량이 제한요소가 되는 테스트이기때문에 안정성 테스트 결과가 좋은 쪽이 실제 체험에서 유리하죠. 오히려 PC 쪽은 양쪽이 별개의 냉각시스템으로 굴러가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결과만 가지고 최종결과를 유추하고 싶어도 반대쪽에서 발목을 잡히는 경우가 있어서 짐작하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수확체감의 법칙상 양쪽의 밸런싱이 잘 되는 쪽이 잘 안되는 쪽보다 더 유리하고, 또한 소비전력곡선상 두자리수% 성능차이도 실 게임에서는 그보다 훨씬 적어지는 경향은 있습니다.

음.. 이러면 엘리트 3300/10000 이거는 차력쇼이고
라이트모드 스코어인 2600/8800 이정도가
정상적인 범주라는걸까요?
라이트모드가 더 높게 나오는건 의외네요
둘중 뭐쓸거냐 하면 라이트모드로 쓸거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