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오포 Find N5(원플러스 오픈2) 두께는 진짜 비현실적이네요...
- Stellist
- 조회 수 1275
- 2025.02.12. 22:13




상대수입이라는 게 있죠.
중국은 의사 하는것보다 이공계 가면 돈을 잘 벌고
한국은 이공계 가는것보다 의사 하는게 돈을 잘 벌어서 다들 의대로 쏠린다는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의사의 상대소득을 낮춰야 의대로 갈 사람이 이공계로도 가는 거지요. 8mm짜리 폴더블은 못 만들어도 지금보단 나을 겁니다.
우리나라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한번 살펴보세요. 의사들이 나라 발전시켰나요? 아니에요 똑똑한 사람들이 공대가고 그 사람들이 기업으로 가서 열심히 하니까 대기업들이 만들어지고 산업이 발전하고 경제가 부강해진거에요. 중국도 지금 마찬가지로 가고 있구요.

1. 상대수입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1-1. 상대소득이라는 말도 개인의 소비 성향을 결정짓는 인자로서 나오는 말이지, 직업군 대 직업군의 비교와 결정 과정에서는 쓰이지 않는 경제적 용어입니다.
2. 중국에서도 이공계보다 의사가 돈 더 잘 법니다. 최소 두 배 이상 차이 납니다. China doctor vs engineer income 등의 검색어로 검색엔진이나 대화형 인공지능에 여쭤 보세요.
중국에선 의사보다 이공계 종사자가 돈을 더 잘 벌기 때문에 이공계가 성장할 수 있었다는 말은 그냥 전제부터 틀린 논리입니다.
2-1. 중국보다도 이공계 파워와 전통이 더 강한 미국도 마찬가지네요.
2-2. 의사 수입보다 이공계의 수입이 더 높은 나라에는 스위스, 네덜란드, 스웨덴이 있다고 합니다. 스웨덴의 인재들은 전부 이공계로 가서 우리나라, 중국, 미국보다 훨씬 더 수준이 높겠군요.
2-3. 섹터의 성장과 발전은 수입이라는 단순한 요인 하나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그랬더라면 성장을 원하는 분야의 사람들에게 정부에서 돈을 많이 주기만 하면 해당 분야가 쉽게 쑥쑥 성장했겠군요. 아니, 선생님 말대로라면 성장을 원하는 분야를 제외하고 다른 분야의 수입을 다 낮춰버리면 될까요?
분야 하나를 성장시키고 결실을 맺는 데에 있어 그 기반에 들어가야 하는 노력을 전혀 고려하지 않으시는 것 같습니다.
3. 의료가 직접/간접적으로 우리나라 발전에 큰 기여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정말 할 말이 없습니다.






배터리 신소재 사용과 메인보드 설계 덕인 것 같더군요.








중국은 이공계 몰빵이더군요 우주랑 과학. it.. 입결만봐도 의대는 너무낮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