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노틀담의꼽추

미니 근데 스마트폰 차력쇼는 도대체 어디까지 갈생각일까요?

저는 cpu까지는 그러려니합니다 cpu라는게 코어 전부를

풀로드갈구는 환경은 많치않거든요..(사실 이것도 불만이지만 gpu보단 낫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gpu까지 차력쇼가 점점심해집니다

 

벤치마크라는게 근본적으로는 소비자가 해당 기기의 성능을파악하기위한

지표인데 이제는 그걸 너무의식해서 만드니까 문제가 커지는데..

언제까지 이런 기조가 이어질런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이게 가불기인게 지나친 차력쇼로 전력을 많이먹는다

->발열로인해 쓰로틀링이심해지고 배터리효율이 급감함

이렇게되거나

 

차력쇼로인한 부작용을 막기위해 sw로 게임작동시에 적당히 클럭을 조절한다

->어차피 쓰지도못할거 gpu활용빈도가 가장높은 게임에서

제한해버리면 사실상 소비자기만이 되어버린다

 

이렇게되어버리죠.. 차력쇼가심하면 그 차력쇼해당하는 성능을 내도

약간 올라간 성능에비해 발열,전력효율이 급감하고 역으로 그거의식해서

성능제한하면 그럴거면 왜 차력쇼하냐 이거 소비자기만이 되어버리는거죠

 

뭐 gpu가 게임말고도 쓰이지만 요새 스마트폰gpu가 워낙 성능이좋아져서

굳이 차력쇼까지안해도 체감성능엔 별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약간의 차이가 난다고한들 모바일기기인 스마트폰 특성상 그 차이가

날만한 구간이 자주발생하면 그건 또 비효율적인게 되어버리니 가불기구요..

 

제발 이런 차력쇼좀 적당히했으면 좋겠는데 발열에 가장민감하고

방열성능이 떨어지는 스마트폰이 데스크탑,노트북 안가리고 가장심해지니 참;;

요새 데탑 차력쇼가 심하다고하지만 제가 데탑맞추던 10년전에비해

하이엔드구성시에 피크성능에서 전력소모가 2배~2.5배정도 증가한정도인데

스마트폰은 3~4배수준으로 증가했으니 비교가불가능하죠

 

제발 적당히좀 했으면 좋겠어요.... 근데 또 차기스냅은 목표 클럭이 5ghz니뭐니

하는거보면 더더더 심해질거같네요 이 끝은 어디일지 궁금합니다

 

댓글
30
Magyarország
1등 Magyarország
2025.02.16. 01:22

어차피 라이트유저는 좀 뜨거워도 그런가보다 하고 말고 헤비유저들은 점수놀이하면서 좋아할테니 뭐 아무렴 상관없지 않나요. 그 점수가 어떤 방식으로 산출되는가를 객관적으로 따지는 사람은 매우 극소수라 신경안쓸겁니다. 괜히 '점수' 낮게 나오면 GOS다 뭐다해서 시끄러워질텐데 그거 해명할바엔 좀 뜨겁게 만드는게 나은거죠.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2.16. 01:24

예 그건 기업입장에서 그런거니까 계속 이러는거라는걸 알고있습니다

다만 이 끝이 어딜지 궁금해요 언젠가는 정체될텐데 정체되는 기미가안보입니다

그리고 기업이 그러는거에대한 비판을 하는것도 당연하지않을까요?

 

이걸 막으려면 벤치마크 개발사에서 어떻게든 해결해줘야 한다고보는데

관심이없는거같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best Magyarország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6. 01:27

벤치마크 전문 개발사들은 그런 환경에 기생해서 살아가는데 해결할 이유가 없죠.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2.16. 01:27

그럼 결국 해결안되겠네요.. 그럴거같긴합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Magyarország 님께
2025.02.16. 01:34

예? 퓨처마크의 경우는 1회 실행 길이를 늘려가면서 꼼수로 잠깐 영끌하는걸 막고 있는데요...? 스트레스 테스트도 같이 출시하고 있고요.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6. 01:32

그래서 근래들어서는 기기 리뷰들이 Stability Test 를 같이 돌라죠. 벤치마크 개발사들이 상황을 모르는게 아닙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RuBisCO 님께
2025.02.16. 01:34

안정성테스트는 꽤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모바일 삼디막이 대세가 되기이전

많이쓰이던 gfx벤치에서도 있었으니까요..  제가말하고자하는건

가장많이테스트되는 기본테스트에도 포함을시키던 뭘하던 해야한다는겁니다

그런 안정성테스트가있다고한들 어차피 마케팅할떈 신경안쓰니까요

안정성? 그냥 베이퍼챔버 좀 키우고 커졌다하면 땡이거든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RuBisCO 님께
2025.02.16. 01:39

당연히 피드백 받아서 그런 식의 안전장치 비스무리한 것을 추가하고는 있지만, 사람들은(특히 모바일에서는) 벤치마크 한번 돌리겠다고 십분 이십분씩 기다리는 상황을 좋아하지 않죠.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2.16. 01:42

그런 상황을 감내하는 기덕들조차 반응보면..

전 기덕들모인 it사이트에서 fg칩이라고 안그래도

차력쇼인데 거기에 더 차력쇼를더해 팩토리오버땡긴

스냅드래곤 갤럭시용칩을 성능더높겠다며 좋아하는걸

너무도많이봤기때문에 라이트유저,하드유저 안가리고

유저한테 맡기는건 답이아닌거같아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2등 GalaxyA55아이스블루
2025.02.16. 02:17

저는 반대하네요.

자동차 쪽을 예시로 들 수 있겠습니다. 서킷을 도는 차는 극소수고, 일반적인 국내 도로에서 법적으로 시속 120km 이상 달려도 되는 도로는 없죠.

또한 시속 120km 이상의 고속으로 달리면 엔진에도 많은 부하를 주고, 연비도 오히려 느린 속도일 때보다 낮아지죠.

 

회원님 말씀은 120km/h 이상의 속도구간은 국내에서 쓸 일이 없고 비효율적이니 자동차 제조사들이 모든 승용차에 시속 120km 속도 제한을 걸었으면 좋겠다는 주장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GalaxyA55아이스블루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1:05

막 폰에 불나는 상황이거나, S22 시절처럼 체감성능이 심하게 저하되는 상황이면 모르겠는데 8 Elite FG를 가지고 차력쇼를 안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것은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S25의 경우도 비효율적인 스케줄러와 별개로, 발열이나 전력소모량은 충분히 감당가능한 수준이죠.

 

AP 제조사는 가능한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이 맞고, 각 폰 기종의 배터리나 전력 사용량에 따라 제조사들이 적절한 옵션을 제공해 조절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6. 02:32

가능한 최고성능이 폼팩터 기준치를 한참 초과했으니 문제죠

제조사가 폼팩터 방열 좀 강화하거나 되는 수준이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서 방열신경써도 7~8w선이 한계에가깝습니다

갤럭시는 저거보다도 아래고 아이패드도 10w정도밖에 못견딥니다

 

근데 gpu단독으로만 10w이상 먹고있으면 이게 제조사가 좀 신경써서

해결될 문제를 넘어섰습니다

 

감당가능한수준인건 저게 너무 심각한 차력쇼이기떄문에 유지를못해서

스로틀링걸리니까 가능한거죠 그런걸 감당가능하다고 하지않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6. 02:50

최대한 봐준다고하더라도 차력쇼 좀 해도 실사용시 문제가없다정도가 한계죠

 

그러나 차력쇼로인한 단점은 벤치마크만을 의식해서 실사용시와 괴리감이 발생할수있고

스윗스팟을 한참초과해서 비효율적인구간이 급격해진다는거죠

데스크탑이라면 그나마 낫겠지만 스마트폰에서는 저런 구간이 커지는게

이점이라고 말할수없다는건 당연한거구요

 

성능을 최대한보여주고싶으면 그냥 코어수 최대한 떄려박으면됩니다

근데 가격이 올라가니까 안그러는거죠 그에반해 클럭 좀 올리는건

수율이 급격하게 저하되지만않는다면 그 저하되기전 구간까지

최대한 땡겨버리면 그만이니까 차력쇼를 하고있는거죠

 

이러한 차력쇼는 소비자가아닌 제조사에게만 이득이됩니다

이걸 소비자쪽에서 옹호하거나 변호하는건 기업입장에서 생각하니까

그러게되는거에 가깝습니다 한창 엑시노스논란때도 스냅이가격이비싸서

넣을수밖에없다 라고 변호하는거랑 같은 행동이라고봅니다

 

사실 이러한 변호행위는 이전에도 아주많이봐왔습니다

갤럭시20울트라에 1억화소가넘는 고화소센서가 나올떄부터

지극히 마케팅용이라고 비판했지만 그래도 쓸모가있을때도있다

이런식의 말이죠 현실은 소비자에게는 단점이 더 많죠..

 

삼성이나 기타제조사가 무언가를 할떄는 소비자에게 진짜 이득이되는게아닌

손해가생기더라도 그게 치명적이지않은 수준이라면

마케팅용으로 활용할떄가 무지하게많습니다 사실 좀 치명적이어도 뭉게고가기도하구요

갤럭시s20울트라가 그랬죠 최초의 1억화소폰 현실은 초점못잡는 결함센서 넣고

카메라 강조해서 팔아먹었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GalaxyA55아이스블루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6. 03:18

자꾸 회원님 본인이 소비자의 입장이라고 착각하고 계십니다. 기업의 어떤 행동을 반대한다고 무조건 소비자의 입장이 되는게 아닙니다.

물론 회원님도 한 명의 소비자인 것은 맞지만, 회원님께서 전체나 대부분의 소비자를 대변하지 않습니다. 

 

높은 최고 동작속도와 고화소 센서 모두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죠.

원가 때문에 코어 수를 많이 안 넣는다고요? 8 Elite가 타사대비 코어 수가 적던가요? 실상은 디멘시티나 애플같은 경쟁 AP와 비교하면 같거나 더 많은 편이죠. 말씀하신 비난은 오히려 애플 쪽에 해당하겠군요.

 

또한 데스크탑쪽 인텔과 달리, 전작대비 전구간에서의 전성비도 개선되었습니다.

무거운 작업은 고클럭으로 빠르게 처리하고, 가벼운 작업은 낮은 클럭이나 E코어 위주로 처리해 효율성과 최고성능 모두를 잡을 수 있죠.

애초에 빅리틀 구조가 이 이유로 고안된 것이죠. 최고성능이 높다고 모든 작업을 최고클럭에 P코어로만 처리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잠깐 언급하신 것이지만 고화소 센서도 당연히 소비자한테 이득인데요?

평상시에는 픽셀 비닝 기능을 이용하고, 광량이 많고 선명한 사진을 원할 때는 픽셀 비닝을 풀고 고화소로 찍을 수 있죠. 막 숫자만큼 드라마틱한 개선은 아니어도 소비자한테는 당연히 득이 됩니다.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laxyA55아이스블루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6. 03:41

근거리 AF 초점 못 잡는 문제는 고화소 센서의 문제가 아닙니다.

물론 고화소 센서가 크기도 더 큰게 일반적이지만, 화소와 상관없이 센서 크기가 커지면 최소초점거리가 길어지니까 당연한겁니다. 굳이 더 보자면 듀얼픽셀이 빠진 것도 영향이 있겠고요.

그래서 접사렌즈를 별도로 탑재하거나, 초광각을 활용하거나, 거리를 두고 크롭줌으로 찍는 접사모드를 제공하는거죠.

 

이거 때문에 구형 폰들처럼 최소초점거리가 짧은 센서, 즉 더 작은 센서를 써야 한다고 생각하신다면 존중은 하지만 대다수 소비자를 위한 의견은 확실히 아니죠.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3등 나르자
2025.02.16. 02:11

유져가 제아무리 어쩌니 저쩌니 해봐도 당분간은 피할수 없는 현상입니다.

제조사는 "그래서 뭐 어쩔건데?! 너님들이 뭘 할수 있는데?!" 를 시젼하면 할말 없는거거든요 ㅇㅇ

우린 그냥 폭풍이 지나가길 기다리는 방법 뿐이죠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르자 님께
2025.02.16. 02:44

아무리그래도 gpu가 최대성능을 몇초동안 작동하자마자 스로틀링걸리는건

좀 지나치다싶습니다 이정도까지 차력쇼가필요하나? 라게 생각하게되네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뛰어난금어초
뛰어난금어초
2025.02.16. 03:16

언제까지? 적이 (애플실리콘) 굴복할때 까지

[뛰어난금어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kekimi
Likekimi
2025.02.16. 04:50

퀄컴에서는 리미트를 풀어놓는 방향이 맞다고 봅니다

게임만 하고 사는것도 아니고 차력쇼는 잘만 다루면 체감성능에 도움이 되지요

다만 게임같은 장시간 고부담을 주는 작업에서는 처음부터 제한을 거는게 좋다고 봐서 개인적으로 GOS에 긍정적인 입장이었는대 벤치마크라는게 이걸 아작냈죠

결국 기억에 남는건 평균 fps같은 기록들 뿐이니까요

 

 

[Likeki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에우레카
에우레카
2025.02.16. 06:53

차력쇼니 뭐니 해도 실사에 문제없으면 아무 상관없는 입장인지라... 옛날 화룡 810이나 최신 화룡 8 Gen 1 급으로 전성비가 아작난 수준이면 모르겠는데 요즘 AP들은 피크 점수도 챙기고 저~중전력 부하에서도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상관없다고 봅니다.

기커완 같이 딥하게 벤치마크하는 사람도 이거 다 차력쇼니 현재 AP들은 죄다 쓸모없다! 라는 얘기는 안하던데요

[에우레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mlaika
cmlaika
2025.02.16. 10:03

사용자들이 벤치를 보고 기기성능을 판단하기때문이죠 뭐..

제조사는 하고 싶어서 하겠습니까 돈 엄청 들텐데

[cmlaik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빅코
빅코
2025.02.16. 10:41

소비자는 벤치 돌려서 점수 잘나오고

게임같은거 돌려도 큰 문제 없어서 좋고

제조사는 자사의 플래그쉽이 좋은 평가 받아서 좋고

뭐,,, 제어 못해서 발열 심하게 일어나면 모를까

별 문제 없지 않나합니다

[빅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비화
비화
2025.02.16. 11:03

비판점은 공감되는 부분이 있네요  그래도 전성비 개선도 틈틈히 이뤄지니까 아직은 괜찮지 않을까요

[비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eekaboob
best peekaboob
2025.02.16. 11:08

근데 차력쇼는 애플 전매특허 아닌가요?? 출시 초기 차력쇼 했다가 발열 터지고 배터리 터져서 부랴부랴 성능제한에 90hz 제한 건게 애플인데요

차력쇼라 하면 조금만 사용해도 뜨끈해서 못쓰는 칩이 차력쇼인거죠

지금 s25는 고사양게임을 돌려도 뜨끈해지는 폰이 아닙니다

그리고 fg버젼은 오버 컷이 높은 제품들을 선별해서 오버를 해서 나온건데 차력쇼라 하긴 그렇죠

그렇게 따지면 비레퍼 제품이 대다수인 그래픽카드 시장은 싹다 차력쇼 시장이네요

[peekaboob]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PDG
BPDG
2025.02.16. 12:03

근본적으로 저부하 상황일 때에 효율성 측면에서 쾌적한 사용을 담보할 수 있는 장치만 마련되어 있다면, 과한 퍼포먼스를 위해 과한 전력을 사용하는 부분이 문제로 작용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런 부분에 치중해 실사용 측면에서 문제가 생기면 난감하겠죠.

[BPD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BPDG 님께
2025.02.16. 12:32

비효율적이고 벤치마크만을 위한 점수놀이가

소비자에게 좋을게없으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아이
우주아이
2025.02.16. 12:24

라이트 유저라 그런지 대단한 문제인가 싶네요

[우주아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ixel
best Pixel
2025.02.16. 12:30

계속 똑같은 주제로 반복해서 글 쓰시는게 영 보기 안 좋네요

이미 충분히 말하고 싶은건 전해졌다고 생각하는데요

[Pixe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6. 12:32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41018 수정 file admin 18.08.04 133709 13
핫글 미니 애플페이 신한카드 끝내 4월을 넘기려나보네요... [12] Stellist 25.04.24 1057 11
핫글 미니 카메라킷에 진심인 회사가 있네요ㅋㅋㅋ [10] file choijm0715 25.04.24 1203 10
핫글 미니 오... 이제 알았습니다. 마이필터 기능 [4] 빅코 25.04.24 802 9
229687 미니 최근에 찍은 사진 몇장 [2] newfile choijm0715 00:53 39 3
229686 미니 s23기카+마이필터로 찍어 봄.. [2] newfile 곰장수 00:36 52 4
229685 미니 23울 oneui7 10배 [2] updatefile 외국사람 00:33 91 5
229684 미니 밍치궈:아이폰 17 라인업 최소 3개 모델 12GB 램 탑재해 [3] file 요트맨 25.04.24 195 1
229683 미니 초기 원유아이 7 에서 태블릿에 기대했던게 하나 있었는데 치즈볼 25.04.24 126 1
229682 미니 주연) 아이폰 갤럭시 샤오미 카메라 블라인드 테스트 [14] updatefile Sparrow 25.04.24 447 7
229681 미니 홈업, 폴더블/태블릿 지원 업데이트 (Dropship) file 웽웽 25.04.24 184 0
229680 미니 아이폰이 확실히 영상 촬영이 안정적이네요. [3] file Stellist 25.04.24 402 7
229679 미니 oneui7 첫 인상 진짜 실망이네요 [29] file 감자 25.04.24 641 4
229678 미니 S24 플 기준 one ui 7.0은... 걔는춘자 25.04.24 168 0
229677 미니 카카오톡 64비트 좋은 점. [9] BarryWhite 25.04.24 586 4
229676 미니 갤럭시 Z 플립 7 스냅탑재라네요 [7] 스퀴니 25.04.24 493 5
229675 미니 S24U oneUI 7 올려도 되겠죠? [4] file BarryWhite 25.04.24 315 2
229674 미니 태블릿 원유아이 요것만 고쳐줫으먼 좋겟습니다. [5] file 치즈볼 25.04.24 266 1
229673 미니 삼케플 가입 완료 [2] file [성공]함께크는성장 25.04.24 240 5
229672 음향 애플뮤직에서 제법 자주 보이는 버그 [5] file Kanata 25.04.24 314 3
229671 미니 내일 드디어 S10FE+ 오네요 [17] 만두궁물 25.04.24 371 7
229670 미니 자동 수평 기능은 의외로 비보의 오래된 전통입니다 [7] file 클래식크롬 25.04.24 654 7
229669 미니 홈업 떴습니다 [6] file [성공]함께크는성장 25.04.24 709 8
229668 미니 스위치2 주변기기 가격이 무시무시하군요 [4] file 쿼드쿼드 25.04.24 652 2
229667 미니 탭S9U에서 S10+로 바꾸니 너무 편하네요 [2] 후웨이 25.04.24 587 0
229666 미니 S25 HDR 동영상 [4] 스윗가이 25.04.24 499 2
229665 미니 SK는 유심 무료교체 이런 소식은 없죠? [7] RASBI 25.04.24 702 1
229664 미니 냉정하게 여기서 뭐가더빠르게될거같나요? [6] S27울트라존버 25.04.24 497 1
229663 미니 S24 ONE UI 7 빠릿함 저만 모르겠는건가요 [19] sylenth 25.04.24 853 5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확장 변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