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차력쇼에대한 오해가 많은거같습니다
- 노틀담의꼽추
- 조회 수 1122
- 2025.02.17. 19:16
차력쇼가 괜찮냐아니냐를 말하려는 글은 아닙니다
근데 자꾸만 스냅엘리트같은 칩셋을 보고 차력쇼라고 했을대
"스냅엘리트? 이게 왜 차력쇼냐?? " 이러시는분들이 너무많아서 쓰는글입니다
일단 차력쇼라는말은 모바일이아닌 pc쪽 데스크탑위주의 하드웨어사이트에서
많이쓰이는 말이었고 그게 스마트폰,노트북쪽으로 넘어온걸로 기억합니다
(아닐수도있는데 데스크탑위주의 하드웨어커뮤니티 쪽에서 많이쓰이는 말이긴했습니다)
근데 이 차력쇼가 나온 배경은 어떻게든
성능을끌어올리려고 클럭이든 코어든 해당 폼팩터에 안맞는 과도한 세팅으로인해
점점 늘어나는 전력소모를보고 마치 차력을 하는것과같다하여 차력쇼라는 이야기가붙었습니다
대충 짐작가시겠지만 인텔의 스카이레이크시리즈가 14나노 사골로 성능끌어올리려고
무리하면서 나온 이야기라고 보는게 아마 정설일겁니다
그런데 오해하시는분들은 차력쇼를 전성비가 개선되거나 실사용시에 발열문제가안심하면
차력쇼가 아닌걸로 아시는거 같더라구요
그런데 그런거랑은 상관없습니다 차력쇼의 의미는 그냥 해당 폼팩터에 안맞는 과다한 수준으로
성능을끌어올리려고 전력을 퍼먹이거나 혹은 스윗스팟을 상당히벗어난 구간에서
약간의 성능(주로 수퍼센트정도)이라도 끌어올리려고고 전력퍼먹이는걸
차력쇼라는 의미로 쓰이는게 보통이고 실제로 그렇게 많이들 사용합니다
참고로 재밌는것은 나무위키에도 "제대로 된 아키텍처나 공정 개선 없이 지난 세대 제품에 전압을 더 주고 클럭만 높인 연산 칩셋을 신제품으로 내놓는 행태를 차력쇼라고 표현한다. "
라고써있지만
바로아래에 "라이젠 7000X 시리즈는 과도한 차력쇼로 인하여 전성비가 망해 비판을 받고 있다."
라고 써있죠 라이젠7000시리즈는 아키텍처도 개선됐고 동일성능에서 전성비도 어느정도올랐는데도 약간의 성능향상을위해 클럭끌어올린걸 차력쇼라고 하는걸보면 제가 차력쇼라고 정의한 의미와 비슷하게 쓰고있다는걸 아실겁니다 실제로 하드웨어 커뮤니티 차력쇼검색만해봐도 대부분 제가말한 의미로쓰이구요
이에대한 반론이 있을수도있으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전성비가 개선되면 차력쇼가 아니다?
아닙니다 그냥 과다하게 전력퍼먹이거나 약간의 성능향상을위해
전력을 퍼먹이면 차력쇼입니다
전성비기준이라면 차력쇼가 나오게 된 배경인 인텔사골시리즈조차
차력쇼라고 부르기힘듭니다 어찌됐든 코어수 많이때려박고
공정도 소폭개선되서 과다하게 클럭을땡긴 구간만 제외하면
전성비는 어쩃든 개선되었습니다 멀티코어는 코어수빨로
동성능에서 아주많이 개선됐고 1코어 기준으로도 성숙해진 공정으로인해
동성능에서 전성비가 약간이나마 개선됐습니다
2.실사용시 발열문제가없으면 차력쇼가아니다?
아닙니다 데스크탑과 스마트폰같은 전자기기는 기준이많이다릅니다
데스크탑쪽은 앵간한 사제쿨러 달고도 올코어 부스트클럭 보장제대로안되고
온도가 치솟아 성능이떨어지면 말이나옵니다
인텔14900k같은것들은 공랭으로 올코어부스트 제대로유지못하는거처럼요
반면 스마트폰은 이미 10년도지난 한참전부터 성능유지못하고 발열로인해 클럭이떨어졌습니다
데스크탑에 스마트폰같은 기준을 적용시키면 인텔 사골시리즈도 차력쇼아닙니다
애초에 인텔 차력쇼시리즈도 14세대 k시리즈같이 과도한 전압이 문제가된경우가 아니라면
전력 좀 많이먹는다고 실사용시 문제없습니다 시네벤치돌릴때
클럭 좀 떨어지고 쿨러가 시끄러울뿐인데 이마저도 팬세팅 손보면 되는거고
부스트클럭은 부스트클럭일뿐 베이스클럭 아래로만 안가면 문제가 아닙니다
부스트클럭의 뜻이 뭔지 안다면말이죠
이 기준을 적용시킨다면 지금의 스냅드래곤엘리트나 기타ap들 차력쇼맞습니다
피크성능을 쥐어짜기위해 폼팩터에맞지않는 스윗스팟을 상당히초과한 무리한 클럭세팅을 보면말입니다
자꾸 여기에 애플a칩이어쩌고 말이나오는데 당연히 애플a칩도 차력쇼입니다
애초에 현세대 플래그십ap들은 정도의차이일뿐 죄다 차력쇼입니다
근데도 차력쇼이야기를 하는것은 이게 점점 심해지고있으니까 말이나오는거죠..
그리고 스냅엘리트의 빅코어 전력소모는 애플빅코어보다 높은수준이라
애플보다 더한 차력쇼인것도 맞고요
아이폰 스로틀링은 그냥 아이폰의 방열성능이
구려서 그런거지 a칩자체가 스냅엘리트보다 차력쇼라서 그런게아닙니디
(다만 gpu는 a시리즈가 더한거같기도합니다 피크전력소모는 조금낮지만
무리하게 클럭만 끌어올려서요)
그리고 몇년전에는 스로틀링이 걸리더라도 적어도 gpu정도는 gfx벤치나 3dmark 1회테스트같이
1분내외의 시간이소요되는 테스트에서 스로틀링이 오지는않았습니다
근데 지금은 25울트라기준 5초이내로 최대클럭 유지못하고 떨어집니다
이러니 차력쇼 이야기를 하는거지요
이제 차력쇼가 아니라는 말은 좀 안나왔으면합니다
차력쇼가 어떤의미로 쓰이는지 모르시고 자꾸만 저런말이 나오는거같아요
차라리 차력쇼여도 괜찮다 까지는 그러려니하는데
이게 왜 차력쇼냐는 분들은 용어의 의미를 잘 알고 쓰시길바랍니다..






















제조사 소비자 모두 그렇게 권장하진않죠 양보해서 데탑은 그렇다처도
데탑보다 노트북이 사용자가 더 많거든요.. 그쪽의견이 어떨지는 생각해보면 답나옵니다
그리고 애초에 이쪽은 윈도우에서 알아서 성능모드를 여러가지로 제공해주거나
정안되면 레지스트리라도 뜯어서 만지면되기떄문에 어려운 문제가아닙니다
스마트폰에선 루팅해서 만져야하는걸 윈도우 x86쪽은 앵간하면 사용자가 다 조절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글은 이런 논의를 하려고 쓴 글이아니에요 차력쇼의 의미에대해서
쓴글일뿐입니다 제가말한 주장도 모바일에선 발열,배터리가 약간의성능보다중요하다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를한거구요.. 스냅엘리트가 차력쇼하면안된다 해야된다
이런이야기는 이제안하려고합니다

그리고 인텔이 사골끓이고 재탕할떄 나오던 비판이 비현실적인 차력쇼
말도안되는 pl2세팅 이런거였는데요;; 소비자가 최고성능대로 쓰는걸 권장한다?
아닙니다 말도안되는 세팅보고 욕하기바빳습니다
최고성능대로 쓰고싶은데 비현실적인 수치였기떄문에요...
데탑쪽이야 그래도 최상급 공랭이든 수랭이든 해결가능한 영역에 가까웠기떄문에
그렇게해서라도 사용가능했으니 그런경우에는 최고성능대로 마음껏 썼습니다
인텔 차력쇼할떄 최고성능을 유지하기위한 전력세팅보고 다들욕하기바빳어요..
노트북은 쿨러를 바꿀수도없으니 언더클럭도 많이하구요 ...
스냅드래곤도 스마트폰이 피크성능 감당가능하고 스윗스팟
구간안에서 세팅된거면 마음껏쓰길 원하는 사람이많겠죠














포베러스 패키징에서 다이를 모으는 핵심적인 이유는 TSV특성상 거리가 멀어지면 그만큼 다이간 지연시간과 전력소모가 큰 폭으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는 컴퓨팅 유닛 사이의 간격을 멀리 떨어 배치하는 게 오히려 발열 컨트롤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당장 애로우레이크에서 문제가 됐던 2P4E 배치도 P코어간 거리를 멀리 배치하려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죠. 애초에 포베로스 이전 인텔 라인업들이 원다이로 누린 편익은 함께 실장된 SoC타일에서 비롯된 것이었는데, 정작 모바일 라인업들은 암드처럼 주요 SoC컴포넌트가 컴퓨팅 다이 바깥에 있었죠






낙하산 인사라는 말에 대해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조직 내부의 계통을 무시하고, 인맥을 통해 들어오는 사람을 흔히 낙하산이라고 통칭하죠.
리사 수를 한번 봅시다. 리사 수는 기존에 AMD에서 일하지 않았는데, 예전 직장에서의 멘토가 AMD 이사로 근무할 당시에 추천해서 파격적으로 한번에 AMD 임원급으로 들어갔죠.
일반적인 절차가 아니라 조직 외부에서 고위직 인맥을 통해 임원이 되었으니, 리사 수는 낙하산 인사의 정의에 완벽히 부합하죠. 근데 리사 수를 낙하산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나요?
말씀하신 8 Elite의 차력쇼라는 것도 이와 일맥상통합니다. 굳이 정의를 따지면 차력쇼에 해당할 수도 있긴 하겠지만, 그렇게 말하는 사람은 드물죠. 이미 성능과 전성비로 쇼앤프루브 했으니까요.
제목으로 "낙하산에대한 오해가 많은거같습니다"라고 하고
표국대에 따르면 낙하산은 [채용이나 승진 따위의 인사에서, 배후의 높은 사람의 은밀한 지원이나 힘, 또는 그 힘으로 어떤 자리에 앉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1.성과가 좋으면 낙하산이 아니다?
~~~~~
2.능력이 검증되었으면 낙하산이아니다?
~~~~~
고로 리사 수는 낙하산 인사다.
낙하산 용어에 대한 뜻을 알고 썼으면 좋겠다
이렇게 작성자분과 비슷한 글을 쓸 수도 있겠죠.
예 물론 표준국어대사전 정의까지 가져왔으니 작성자분보다 훨씬 논리적입니다.
그럼에도 이런 글을 보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동의하지 않겠죠. 왜 그럴지 스스로 좀 성찰해보셨으면 하네요.

댓글쓰신걸보면.. 사전적정의는 이렇지만
많은사람이 동의하지않을것이다
이렇게쓰셨네요 근데 반대입니다 저는 많은사람들이 쓰는 의미
그대로 쓴건데 왜 저런 비유를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사전적의미라는게 항상 그대로쓰이는것도아니고 그 외에 확장되서 쓰이거나
사전적의미 그대로 쓰이는게 아니기떄문에 동의하지못한다는 의미로 해석이됩니다
그러나 제가 쓴 글 같은경우는 실제 커뮤니티등에서 널리쓰이는 용도 그대로 쓴거라
저런 예시와는 맞지않습니다..
오히려 낙하산인사가 저런 사전적의미도있지만
보통은 불공정,부정채용등으로 엮어서 쓰이기떄문에 "능력있거나 검증된인사"는
낙하산취급을 했을떄 동의를 못하는거겠죠?
저는 그렇게쓰이는 용도 그대로 차력쇼에대한 설명을한거구요
"낙하산은 보통 불공정하게 높은사람에 지원이나 힘으로 자리에앉게되는것을말합니다"
이렇게 말했는데 "아닌데? 낙하산 그런뜻 아닌데?" 이렇게 딴지에 걸리는 경우가많아서
낙하산인사에해 보통 어떻게쓰는지 이 글에 설명을한겁니다
실제로 차력쇼가 어떤의미로쓰이는지 그대로 상술한글에 안맞는 비유를 하시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본인들의 차력쇼 기준이 다를수는있겠죠
제가 그분들에대해 "차력쇼는 이런거야" 라고 한게 아니라니까요?
제가 "스냅드래곤엘리트는 차력쇼야"
했는데 "아니야 차력쇼아니야" 이런 말을 들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런글을 쓴겁니다 각자 기준이 달라서 정답이없다면
차력쇼아니라고 지적한 분들이 잘못된 지적을한거죠..

오히려 저는 리사수는 낙하산인사 취급을안받는다
그러니 리사수 사례와 유사한 A씨도 낙하산아니다 이렇게 쓴글에 가깝습니다
중간에 님이쓰신 사전적의미 관련된건 제 글을 곡해하기위한 장치에 가깝구요
그런데 왜 반대로 곡해를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애초에 하드웨어 커뮤니티사이트에서 전력효율성 관계없이
피크성능 끌어올리려고 성능 영끌하고 전력을 과도하게먹는걸
차력쇼라고 한거 그대로쓴겁니다
단순히 성능과 전력효율이 올랐다고 차력쇼가아니면 차력쇼취급받을만한
칩셋은 전세대보다 동성능에서 전력소모자체가 퇴보한거아니면 말못합니다
그러면서 피크전력소모도 높아야겠구요 안텔 14세대도 그러진않습니다
애초에 데스크탑같은 pc쪽에서 먼저쓰이기시작했고 그쪽은 피크성능유지를
기본베이스로 깔고 상정해서 피크성능기준 과도하게 전력먹고 스윗스팟한참지난구간까지
영끌해서 내놓았으면 차력쇼라고 하는겁니다 여기에 스냅드래곤같이
중저부하 전성비가 좋아서~ 어쩌고는 의미없어요
모바일쪽에서는 차력쇼가 다른의미로 쓰인다고 주장할거라면
당장 미코에서 "차력쇼" 검색해보세요
활동많이하시는 모 유저분 글,댓글 그대로써드리죠
"근데 8G4가 아무리 차력쇼한다고 하지만. 높아봤자 기커완 벤치 기준 2400 정도 수준이지 않을까요? S24/S24+ 쓰시는 분들 아시겠지만 최대 전력으로 구동되는 상황이 많지 않고 알아서 잘 튜닝되어있어서 딱히 문제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자 이분이 쓰신 글 보세요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차력쇼해서 피크전력소모가 높더라도 피크전력으로 구동되는 구간이많지도않고
튜닝도 잘했을거라 문제없을거다" 라고 요약가능하겠죠
이분이 쓰신 차력쇼역시 제가말한 의미와 같은의미로 쓰이고있죠

왜냐면 스냅엘리트 좋아서 환호들하시는데 위에 댓글말대로 차력쇼가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쓰여서 공감을 안하시는거겠죠
근데 공감을안하거나 기분이나쁜걸떠나서 전 적절하게 사용한건데
그거에대고 틀렸다고하면 그건 다르거든요
그리고 커뮤 한두번하나요? 커뮤에서 반응이 무조건 정답이아닙니다
그런논리면 갤럭시혐오하고 중국폰,아이폰 찬양하는 커뮤니티가서
글썼는데 반응안좋으면 맞는글도 틀린말이되나요?
틀렸다고 반박을하실거면 논리적으로하셔야지 위에도 곡해하는것도그렇고
사람들 반응이어쩃느니 동의를 못한다느니 이러시네요

이건 뭐 말꼬리잡기 하시는건가요 제가 어디 한가지커뮤니티만 콕집어서 이야기했나요
여러거지 it관련 커뮤니티관련해서 거의 다 저런의미로 쓰이니 근거를 든거죠
자꾸 이걸로 시비걸길래 직접 검색도해봤어요 미코도검색해보구요
그래서 제가 위에도 썻잖아요 "사람마다 기준이다를순있다 근데 그러면
다르다고해야지 내가말한걸 틀리다고하면안된다:" 이런식으로요
저는 제가먼저 차력쇼라고 주장을했는데 반박을 당한상황이니까 저렇게말할수있죠
차력쇼아니라는글에 제가나서서 "아니야 그거차력쇼야!" 한게아니거든요
커뮤니티가 다 맞는게 아니라는건 특정커뮤니티의 성향에따라서 의견이 갈릴수있으니 그런겁니다
그런데 제가말한 컴퓨터관련 하드웨어사이트는 그런게 없어요
적어도 제가 글에 예시로 든 인텔관련해서는 어느곳이든 읙견이 같습니다
소수의 다른의견도 있을수는 있겠으나 그건 정말 소수입니다



그만큼 지금 ap들이 베이퍼챔버 좀 붙인다고 감당가능한 전력이아니에요
장시간 부하가걸리는 경우에 1w정도차이도 꽤나 유의미한 차이니까 베이퍼챔버의미가있죠
긱벤치는 고부하가 지속적으로 걸리는구조가 아니라서 긱벤치도 꽤차이가나는거같기도 하구요
근데 지금 피크성능기준에서는 cpu만 15~16w씩먹고있는데 게이밍폰 쿨러달아도
감당불가능한 전력입니다 막간의 성능 10~15%더올리려고 피크전력소모 60~80%높이는건
데스크탑,노트북 이런데서나 보던건데 그대로하고있어요 그러니 차력쇼라는거구요
이거에대해 실사시에 문제가없다고 차력쇼가아니라면
스냅810때마냥 전세대대비 동성능기준에서도
확연히 퇴보한경우가아니면 차력쇼인 ap는 없다고봐도되요
그리고 스케줄러나 가버너 스로틀링등으로 sw조절로 문제가없으니 차력쇼가 아니면
역으로 전성비,피크전력소모가좋아도 sw문제로 발열이심하면
차력쇼가 되는건 아니잖아요..

네 그건 말씀안해주셔도되요 왜 그런지 이미 인지하고있습니다
전 그런반응에대해 뭐라하는게 아닙니다
단지 차력쇼아니라고 하시는분들이 계시길래 보라고 쓴겁니다
또 댓글달리면 링크걸어주려는 목적도있고요
제가 글을 쓴 목적을 오해하신거같으신데 저는 공감이나 동의를 못구해서
이런게아닙니다 자꾸만 틀린걸로 시비를거는 분들떄문에 쓴겁니다
차력쇼라는거에 대해 공감못하는건 그러려니합니다
근데 아니라고하는분들은 주장하시는게 거의 다 비슷해서요
그런분들 보라고쓴겁니다 아예 잘못알고 쓰시고 계시길래요
차력쇼의 의미를 알고도 아니라고 하는것과 아예 의미도모르고
아니라고하는건 다르잖아요? 근데 의미를 모르거나 잘못알고
주장하시는분들이많아서 쓴겁니다


제가 a칩 gpu차력쇼가 심하다고 한 이유는
차력쇼라는게 절대전력기준으로 말하는게
보통긴한데 성능마진이 거의없는 스윗스팟
한참초과한 부분이서 클럭 영끌하는경우도
차력쇼라고 많이들해서 gpu는 a칩이
더 차력쇼일수도 있다고 한거에여 애플이
요 몇년간 a칩이던 m칩이던 제조단가상승 억제차원인지 gpu유닛에 너무 짭니다 규모키우던 유닛수을리덩 할때가됐는데.. n3p공정에선 바뀔런지
a칩 성능이 역전당한건 퀄컴이나 기타업체들 기술력이 좋아진것도있지만 제조단가억제차원에서 cpu gpu유닛을 안키우는 경향이 커서그런거같아요 cpu는 코어수 늘릴때 된거같은데말이죠


해당사항은 칩문제보다는 최적화문제가 클겁니다 차력쇼가 극심하기전부터 그랬던 거라.
그리고 고사양겜이라는 것들도 생각보다 gpu클럭 높게 안돌아가더라구요
애초에 높게 돌아갈수도없지만요 스로틀링이심해서.. 나름 고사양겜이라는것들인데도 그렇습니다
예전에 모바일배그 나온지얼마안됐을때 모바일배그가 고사양게임중 하나였는데
이때도 사실 그랬는데 지금은 차력쇼가 극심해서인지 더 그렇더라구요.
개발사입장에선 단순 피크성능맞춰서 낼수가없으니까 그런듯합니다
테스트도 다 해볼텐데 스로틀링 극심해서 몇분만에 버벅이게 만들수는 없으니까요..

이러한 행태를보면 참 웃기죠 벤치마크라는게 해당 기기나 칩의
성능을 파악하는 지표로 쓰여야하는데
벤치마크성능대로 게임개발하고 세팅하면 스로틀링 극심해서 못해먹을테니까요
결국 벤치마크는 소비자기만이 되버리는거고 제가 차력쇼를 극혐하는이유가 여기에있습니다
칩제조사도 아예생각은 없는겓아니니까 몇년전까지는 그래도 gpu차력쇼는
적당한 분위기였습니다 gpu는 고사양게임에서 지속적인 부하가 걸리니까
cpu랑 다르게 너무 심하게떙기면안되니까요
근데 최신공정이비싸지고 gpu유닛때려박기 싫어서 차력쇼로 땜빵하는모양세가 되었네요



결국 전력 많이 먹는 최대 클럭이 우선이 되면 안되고 스마트폰 폼팩터에서 적절한 전력이 설정된 클럭까지만 구동 시키자 이런 말씀으로 이해하면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