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노틀담의꼽추

미니 차력쇼에대한 오해가 많은거같습니다

차력쇼가 괜찮냐아니냐를 말하려는 글은 아닙니다

근데 자꾸만 스냅엘리트같은 칩셋을 보고 차력쇼라고 했을대 

"스냅엘리트? 이게 왜 차력쇼냐?? " 이러시는분들이 너무많아서 쓰는글입니다

 

일단 차력쇼라는말은 모바일이아닌 pc쪽 데스크탑위주의 하드웨어사이트에서

많이쓰이는 말이었고 그게 스마트폰,노트북쪽으로 넘어온걸로 기억합니다

(아닐수도있는데 데스크탑위주의 하드웨어커뮤니티 쪽에서 많이쓰이는 말이긴했습니다)

 

근데 이 차력쇼가 나온 배경은 어떻게든

성능을끌어올리려고 클럭이든 코어든 해당 폼팩터에 안맞는 과도한 세팅으로인해

점점 늘어나는 전력소모를보고 마치 차력을 하는것과같다하여 차력쇼라는 이야기가붙었습니다

 

대충 짐작가시겠지만 인텔의 스카이레이크시리즈가 14나노 사골로 성능끌어올리려고

무리하면서 나온 이야기라고 보는게 아마 정설일겁니다

 

그런데 오해하시는분들은 차력쇼를 전성비가 개선되거나 실사용시에 발열문제가안심하면

차력쇼가 아닌걸로 아시는거 같더라구요

 

그런데 그런거랑은 상관없습니다 차력쇼의 의미는 그냥 해당 폼팩터에 안맞는 과다한 수준으로

성능을끌어올리려고 전력을 퍼먹이거나 혹은 스윗스팟을 상당히벗어난 구간에서

약간의 성능(주로 수퍼센트정도)이라도 끌어올리려고고 전력퍼먹이는걸

차력쇼라는 의미로 쓰이는게 보통이고 실제로 그렇게 많이들 사용합니다

 

참고로 재밌는것은 나무위키에도 "제대로 된 아키텍처나 공정 개선 없이 지난 세대 제품에 전압을 더 주고 클럭만 높인 연산 칩셋을 신제품으로 내놓는 행태를 차력쇼라고 표현한다. "

라고써있지만

 

바로아래에 "라이젠 7000X 시리즈는 과도한 차력쇼로 인하여 전성비가 망해 비판을 받고 있다."

라고 써있죠 라이젠7000시리즈는 아키텍처도 개선됐고 동일성능에서 전성비도 어느정도올랐는데도 약간의 성능향상을위해 클럭끌어올린걸 차력쇼라고 하는걸보면 제가 차력쇼라고 정의한 의미와 비슷하게 쓰고있다는걸 아실겁니다 실제로 하드웨어 커뮤니티 차력쇼검색만해봐도 대부분 제가말한 의미로쓰이구요

 

 

 

이에대한 반론이 있을수도있으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전성비가 개선되면 차력쇼가 아니다?

 

아닙니다 그냥 과다하게 전력퍼먹이거나 약간의 성능향상을위해

전력을 퍼먹이면 차력쇼입니다

 

전성비기준이라면 차력쇼가 나오게 된 배경인 인텔사골시리즈조차

차력쇼라고 부르기힘듭니다 어찌됐든 코어수 많이때려박고

공정도 소폭개선되서 과다하게 클럭을땡긴 구간만 제외하면

전성비는 어쩃든 개선되었습니다 멀티코어는 코어수빨로

동성능에서 아주많이 개선됐고 1코어 기준으로도 성숙해진 공정으로인해

동성능에서 전성비가 약간이나마 개선됐습니다

 

2.실사용시 발열문제가없으면 차력쇼가아니다?

아닙니다 데스크탑과 스마트폰같은 전자기기는 기준이많이다릅니다

데스크탑쪽은  앵간한 사제쿨러 달고도 올코어 부스트클럭 보장제대로안되고 

온도가 치솟아 성능이떨어지면 말이나옵니다 

인텔14900k같은것들은 공랭으로 올코어부스트 제대로유지못하는거처럼요

 

반면 스마트폰은 이미 10년도지난 한참전부터 성능유지못하고 발열로인해 클럭이떨어졌습니다

데스크탑에 스마트폰같은 기준을 적용시키면 인텔 사골시리즈도 차력쇼아닙니다

 

애초에 인텔 차력쇼시리즈도 14세대 k시리즈같이 과도한 전압이 문제가된경우가 아니라면

전력 좀 많이먹는다고 실사용시 문제없습니다 시네벤치돌릴때

클럭 좀 떨어지고 쿨러가 시끄러울뿐인데 이마저도 팬세팅 손보면 되는거고

 

부스트클럭은 부스트클럭일뿐 베이스클럭 아래로만 안가면 문제가 아닙니다

부스트클럭의 뜻이 뭔지 안다면말이죠

 

 

이 기준을 적용시킨다면 지금의 스냅드래곤엘리트나 기타ap들 차력쇼맞습니다

피크성능을  쥐어짜기위해 폼팩터에맞지않는 스윗스팟을 상당히초과한 무리한 클럭세팅을 보면말입니다

 

자꾸 여기에 애플a칩이어쩌고 말이나오는데 당연히 애플a칩도 차력쇼입니다

애초에 현세대 플래그십ap들은 정도의차이일뿐 죄다 차력쇼입니다

근데도 차력쇼이야기를 하는것은 이게 점점 심해지고있으니까 말이나오는거죠..

그리고 스냅엘리트의 빅코어 전력소모는 애플빅코어보다 높은수준이라

애플보다 더한 차력쇼인것도 맞고요

 

아이폰 스로틀링은 그냥 아이폰의 방열성능이

구려서 그런거지 a칩자체가 스냅엘리트보다 차력쇼라서 그런게아닙니디

(다만 gpu는 a시리즈가 더한거같기도합니다 피크전력소모는  조금낮지만

무리하게 클럭만 끌어올려서요)

 

그리고 몇년전에는 스로틀링이 걸리더라도 적어도 gpu정도는 gfx벤치나 3dmark 1회테스트같이

1분내외의 시간이소요되는 테스트에서 스로틀링이 오지는않았습니다

근데 지금은 25울트라기준 5초이내로 최대클럭 유지못하고 떨어집니다

이러니 차력쇼 이야기를 하는거지요

 

이제 차력쇼가 아니라는 말은 좀 안나왔으면합니다

차력쇼가 어떤의미로 쓰이는지 모르시고 자꾸만 저런말이 나오는거같아요

차라리 차력쇼여도 괜찮다 까지는 그러려니하는데

이게 왜 차력쇼냐는 분들은 용어의 의미를 잘 알고 쓰시길바랍니다..

 

 

 

댓글
69
embleton
1등 embleton
2025.02.17. 19:25

결국 전력 많이 먹는 최대 클럭이 우선이 되면 안되고 스마트폰 폼팩터에서 적절한 전력이 설정된 클럭까지만 구동 시키자 이런 말씀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emblet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embleton 님께
2025.02.17. 19:26

그 말이 맞긴한데요.. 제가 그걸 따지려는게아니고

자꾸만 "이게 왜 차력쇼인지모르겠다" 이런식의 댓글을

많이봐서 쓰는글입니다 차력쇼의 의미를 잘못아시는거 같아서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mbleton
embleton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7. 22:15

근데 문득 궁금한 게 선생님이 꼽은 차력쇼 없이 훌륭한 칩은 어떤 게 있으신가요. 최근 5년으로 추려봐도 거의 차력쇼가 아닌 칩이 없는 것 같아서요.

[emblet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best 2등 나르자
2025.02.17. 19:34

그냥, 스마트폰 폼펙터에서 그런 방식이 만연한지 오래됐기 떄문에

사람들이 무뎌져서 그렇다고 이해하심이 옳다고 봅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르자 님께
2025.02.17. 19:37

이해합니다만 제가 글에도 썻듯이 과거에는 이정돈아니었단말이죠

극히일부의 칩셋을 제외하면 cpu는 못버텨도 gpu는 장시간 고부하걸리는걸

상정하고만들어서 1분정도는 버텨주는게 보통이었는데 이젠 그마저도 안되더라구요...

 

그리고 무뎌져서 그런것도맞는데 차력쇼의 의미를 제대로모르면서

그거 차력쇼아닌데? 이런식으로 남한테 시비거니까 쓰는글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kekimi
best Likekimi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7. 20:02

그렇다면 시비건다는 분한테 가서 직접 댓글을 달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차력쇼라는게 수치가 몇으로 정해진것도 아니고 개인 기준이 들어갈수밖에 없어서

논란이든 말싸움이든 대상이 되기 쉬운 주제인대

여기에 선생님 기준을 일단 밀어넣어놓고 남들이 내기준을 못따라온다 생각하시면 안된다 봅니다

[Likeki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Likekimi 님께
2025.02.17. 20:04

제 기준이아니라 실제 많이쓰이는게 저런의미라는겁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수는있지만 제가먼저 "그거차력쇼아닌데?"

이런게아니고 많이쓰이는 기준을가지고 차력쇼라고한것에 시비건거니까요

 

제 기준을 밀어넣는게아닙니다 저한테 시비거는사람이 본인기준을 저한테 밀어넣은거죠

전 이미 hw커뮤니티에서 대중적으로 쓰이는 용도에 알맞게 사용한거뿐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히트맨
best 3등 히트맨
2025.02.17. 19:38

제가 보기에는 차력쇼의 유무를 떠나서..

실사용시에 체감 성능이나 효율성이 크게 증가하여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큰 이슈가 되지 않는 부분을 엄청난 단점인양 지속적으로 언급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피로도가 생긴게 아닐까 합니다.

[히트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히트맨 님께
2025.02.17. 19:40

그런거같긴합니다 그럼에도 용어의 의미는 제대로알고 지적했으면 해서 쓴 글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7. 19:40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G산흑우
LG산흑우
2025.02.17. 19:41

윗분 말씀대로 소비자들이 무뎌진데다 제조사 입장에서도 벤치점수가 홍보요소중 하나니 포기할수 없는거라고 생각합니다.

당장 사용자 경험에서 고평가받는 텐서 G4가 벤치점수로 (물론 좀 심하게 낮긴 하다만) 조롱당하는걸 보면 제아무리 오래못간들 피크성능을 포기하는것도 쉽지 않을거 같네요.

[LG산흑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LG산흑우 님께
2025.02.17. 19:41

제가 글을 쓴 이유는 이제 말씀하신 부분에대해선 포기하려합니다

근데 차력쇼가 괜찮냐 아니냐를 떠나서 "그거 차력쇼아닌데?" 이런식으로

아예 차력쇼를 부정하니까 쓴 글입니다 의미를 제대로 모르니까 그런거라고 생각되서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씨샾
씨샾
2025.02.17. 19:40

멀티 점수 8000에 고정하고 전성비만 극한으로 줄였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물리적으로 베터리 안늘려도 매년 사용시간이 늘어날거 같은데...

[씨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best Eomjunsik 씨샾 님께
2025.02.17. 19:44

지금 구성이 딱히 최고 점수를 위해 전성비를 포기한 구성이 아닙니다. 엑시처럼 리틀코어 잔뜩 넣어서 멀티딸 치는 구성도 아니고 저부하 전성비를 포기한 코어 세팅도 아니니까요.

 

이미 퀄컴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전성비 세팅에 다만 오버를 기본으로 좀 땡겨서 나온 정도기 때문에 저는 부정적으로 볼 요소가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Eomjunsik 님께
2025.02.17. 19:48

이 부분은 논란의 여지가있겠으나 스윗스팟을 상당히 초과한건 맞습니다

단적으로 라이트모드만해도 빅코어클럭이 1ghz가깝게 떨어뜨리거든요..

8젠3는 400mhz였나? 훨씬 조금 떨궛죠.. 

기커완자료같은걸 봐도  약간의 성능향상을위해서 피크전력소모가 과다해지는게

점점심해지고있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7. 19:48

스윗스팟에 적합하게 세팅하는건 제조사의 몫이죠. 만약 평소에 차력쇼 구간을 빈번하게 사용하도록 세팅했다면 그건 그 제조사의 실력 부족입니다.

퀄컴은 평상시에는 괜찮은 구간만 사용하다가 정말 필요할 때 성능을 극한으로 땡길 수 있게 해준건데 단점이 있나요.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Eomjunsik 님께
2025.02.17. 19:50

이전에도 썼지만 이쪽은 가불기입니다

무리하게 클럭떙겨놨는데 자주쓰이면 스윗스팟을

한참초과해서 발열,배터리등에서 비효율적이게되고

 

반대로 거의안쓰이면 벤치마크용 차력쇼소리듣기 딱좋거든요

애초에 스마트폰같이 발열,전력소모에 아주아주민감한 기기에서

약간의성능향상을위해 무리하게 땡긴이상 뭐가되든 장점보단 단점이더많다고

보는게 타당한 시각입니다 그래서 라이트모드라는

선택지라도 준게 다행이라고 보는거구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Eomjunsik 님께
2025.02.17. 19:58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겠지만 과거의 클럭세팅이나 주관적인 생각으로는

마지막 약간의 10~15%정도의 성능향상을위해 전력소모가 성능향상폭의

2~3배까지 증가하는건 그래도 납득가능한 수준입니다 차력쇼이전에도 피크성능에서

전력효율 급격히 떨어지는건 자주있던거구요

 

그러나 지금 스냅엘리트는 15%성능향상을위해 전력을 70%가량 더먹습니다

이건 스윗스팟을 한참초과한 과도한 세팅이죠 이정도로 전력효율이

급감하는경우는 데스크탑쪽에서 벤치마크용으로 전압최대한때려박고

오버클럭떙길떄나 보던것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7. 20:03

데탑은 모두가 그 전압 박고 쓰죠.

폰은 그 전압을 안쓰도록 세팅하면 그만입니다.

 

이걸 벤치 점수의 과장광고 이런 식으로 비판하면 몰라도 칩 자체의 전성비가 떨어진다로 매도하면 곤란하죠.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Eomjunsik 님께
2025.02.17. 20:06

저는 그런말을 한적이없습니다

차력쇼의의미는 전성비가 아닌 절대전력소모를 기준으로

판단하는게 보통이기떄문에 그걸 지적한겁니다

 

인텔14나노 사골시리즈도 전성비만보면 코어4개에서 코어 8개 10개

이런식으로떄려박아서 특정성능구간에서 전성비엄청올라갔습니다

 

이외에 지적한부분은 약간의 성능향상을위해 과도하게 끌어올린 부분을 지적한거구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7. 20:16

말이 계속 돌고 도는 것 같으니 정리하고 줄이겠습니다.

 

인텔은 제조사와 소비자가 모두 자사가 설정한 최고 성능대로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최고 성능 구간의 전성비가 떨어지는 것은 비판할만합니다.

 

퀄컴은 제조사가 그 구간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을 상정하지 않습니다. 애초부터 사용을 안할건데 왜 광고를 하느냐 이렇게 비판할 수는 있어도 인텔과 같은 관점으로 보시면 안됩니다.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Eomjunsik 님께
2025.02.17. 20:21

제조사 소비자 모두 그렇게 권장하진않죠 양보해서 데탑은 그렇다처도

데탑보다 노트북이 사용자가 더 많거든요.. 그쪽의견이 어떨지는 생각해보면 답나옵니다

그리고 애초에 이쪽은 윈도우에서 알아서 성능모드를 여러가지로 제공해주거나

정안되면 레지스트리라도 뜯어서 만지면되기떄문에 어려운 문제가아닙니다

스마트폰에선 루팅해서 만져야하는걸 윈도우 x86쪽은 앵간하면 사용자가 다 조절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글은 이런 논의를 하려고 쓴 글이아니에요 차력쇼의 의미에대해서

쓴글일뿐입니다  제가말한 주장도 모바일에선 발열,배터리가 약간의성능보다중요하다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를한거구요..  스냅엘리트가 차력쇼하면안된다 해야된다

이런이야기는 이제안하려고합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Eomjunsik 님께
2025.02.17. 20:27

그리고 인텔이 사골끓이고 재탕할떄 나오던 비판이 비현실적인 차력쇼

말도안되는 pl2세팅 이런거였는데요;; 소비자가 최고성능대로 쓰는걸 권장한다?

아닙니다 말도안되는 세팅보고 욕하기바빳습니다

최고성능대로 쓰고싶은데 비현실적인 수치였기떄문에요...

 

데탑쪽이야 그래도 최상급 공랭이든 수랭이든 해결가능한 영역에 가까웠기떄문에

그렇게해서라도 사용가능했으니 그런경우에는 최고성능대로 마음껏 썼습니다

 

인텔 차력쇼할떄 최고성능을 유지하기위한 전력세팅보고 다들욕하기바빳어요.. 

노트북은 쿨러를 바꿀수도없으니 언더클럭도 많이하구요 ...

스냅드래곤도 스마트폰이 피크성능 감당가능하고 스윗스팟

구간안에서 세팅된거면 마음껏쓰길 원하는 사람이많겠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씨샾 님께
2025.02.17. 19:44

사실 점수는 크게의미없고 스윗스팟을 과도하게 초과안하는게 중요하죠

 

미코포함한 타커뮤에서도 가끔나오는이야기가

"주로쓰이는 3~4w구간에서 전성비가.."

 

이런식의 이야기가나오는데 저거 잘못된거거든요

주로 기커완같은 준전문가 수준의 매니아들이 분석해준

멀티코어 전성비자료를 보고 그렇게 말을하는건데

그게 통할려면 대부분의 작업에서 거의 모든코어를 벤치마냥

갈굴수있을때나 통하는거라..

 

점수보단 스윗스팟을 과도하게 초과안하는게 중요하다고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외국사람
외국사람
2025.02.17. 19:57

"차력쇼"가 어떤 의미인지 이해했습니다.

어감이 안좋아서 불편해하는 분들이 계실 수 있겠네요

 

888때 중화권 기덕들이

각 코어들 클럭 조금씩만 낮춰주며

스윗스팟 찾아서

발열이랑 유지력 전성비가 대폭 상승했던

경험이 있어서 공감은 하게 되네요.

(이때 스윗스팟이 스냅778 수준이었긴 합니다 ㅋㅋ; 분명히 문제가 있는 AP였지요)

[외국사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외국사람 님께
2025.02.17. 20:34

그렇죠 뭐 전성비가 중요한게아닙니다

그냥 피크성능에서 과도하게 전력을 많이먹거나 효율이급감하는지점까지

지나치게 끌어올리는경우를 차력쇼라고하죠

 

보통은 두가지 다 일치했을때 많이씁니다 둘중 하나만 만족하는경우에는

쓰이긴해도 비교적 많이쓰이진않아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보이루다요
best 보이루다요
2025.02.17. 20:06

음 차력쇼 단어 자체가 시작점을 모르는 인터넷 용어인데 뭐가 맞다 아니다가 될 수 있나 싶긴 하네요

대중적인 의미도 사실 난잡한게 하드웨어 커뮤에선 라데온 7000 시리즈를 차력쇼라고 부르는게 주류의견은 아니였죠

[보이루다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보이루다요 님께
2025.02.17. 20:10

님말도 일리는있습니다 근데 그러면 더더욱말이안됩니다

저는 hw커뮤니티에서 제가말하는용도로 사용하는걸 아주많이봐왔습니다

 

개인적인 기준에서야 차력쇼가 맞다 아니다

할수있겠죠 근데 그러한 논리라면 오히려 제가 스냅엘리트가 차력쇼라고 말했을때

차력쇼가 아니라고 지적한쪽에서 잘못이 더 커지는거죠

 

님말씀대로 뭐가 맞다아니다 할수없는거에

그거아닌데? 라면서 지적한거니까요

저는 지적을 받은입장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보이루다요 님께
2025.02.17. 20:14

근데 본문에 쓰신 라데온은 라이젠7000말씀하시는거같은데

그경우에는  비효율적인 클럭구간까지 끌어 올린구간을 감안해도

인텔이 훨씬 심했기떄문에 그렇습니다.. 

 

그리고 이경우에는 효율은 급감했지만 절대전력소모는 아직 괜찮은수준이었던거고

현재 모바일칩은 그러하지않으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86N
SM-G986N
2025.02.17. 20:25

자동차로 얘기하면 1000마력 튜닝헌 차가 실제로 드래그에선 느릴수도 있다 그런 말씀 같네요. 1000마력을 찍기 위해서 이것저것 무리수를 많이 뒀고 연비는 500마력보다 더럽게 나쁜 그런 걸 말씀하시는거 맞죠?

[SM-G986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M-G986N 님께
2025.02.17. 20:25
회원님 8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SM-G986N 님께
2025.02.17. 20:30

제가 그쪽으로 자세히 아는편은아닌데 비슷하긴한거같네요

다만 ap쪽은 피크성능에서의 효율이 나쁘더라도 그 아래구간에선

괜찮은경우가 많아서 자동차랑은 좀 다른거같아요

애초에 최고성능을발휘하면 몇초만에 성능하락이와서

자동차처럼 고출력을 오래유지불가능해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뛰어난금어초
뛰어난금어초 SM-G986N 님께
2025.02.17. 22:54

1000마력인데 연비도 엄청 나쁘고 (고출력에 저연비는 어쩔수 없죠) 중요한건, 1000마력 출력을 지속할 수 없는 냉각 시스템을 장착한 거라고 봐야겠네요..

 

즉 극히 짧은 시간 동안만 1000마력을 낼 수 있는거면 뭐 별 의미없지요.

(드레그 레이싱 전용은 제외...)

 

당장 일반 시판용 자동차도 맴핑으로 조지면 단순 출력 상승하는건 쉽게 할 수 있으니까요. 차라리 500마력을 오랫동안 지속 할 수 있는 차량이 더 실용적이고 훌륭하다고 봅니다

[뛰어난금어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쌍피ㄷㄷ
2025.02.17. 20:57

아이러니하게도 차력쇼의 상징이라는 인텔이 실사용 조건인 아이들에선 암드보다 훨씬 온도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도 SFF케이스에는 항상 인텔 씨퓨만 사용해왔고요. 사실, 그 점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차력쇼가 아니라는 근거로 아이들 상태를 가져오는 건, 인텔로선 상당히 억울한 처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ㅋㅋㅋㅋ

[쌍피ㄷㄷ]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쌍피ㄷㄷ 님께
2025.02.17. 22:59

암드보다 인텔의 아이들 온도가 낮은건 넓은 다이 면적으로 인해 열이 잘 분산되어서 그런거지

열이 적게 나와서 온도가 낮은게 아닙니다

이거는 CPU 온도 말고 케이스에 온도계 재보면 알 수 있습니다

뭐 SFF특성상 온도가 금방 올라서 쿨러 소음 때문에 AMD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지만요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쌍피ㄷㄷ 김링크 님께
2025.02.17. 23:47

뚜껑탓이라고 하기에도 사실 좀 뭐한게...IHS가 없는 다이렉트 다이 노트북에서도 미드 로드 상태까진 전통적으로 암드가 계속 더 뜨거웠습니다. 사실 본격적인 저전력 메타가 시작되기 전인 11세대 때만 해도, 최대 온도만 인텔이 더 높았지, 오히려 유휴 상태나 평균 온도로는 암드가 더 뜨거웠어요. 이 격차가 메테오나 루나에서 더 커진 거죠

[쌍피ㄷㄷ]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쌍피ㄷㄷ 님께
2025.02.18. 07:32

뚜껑이 아니라 다이 면적을 말하는겁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김링크 님께
2025.02.18. 07:32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쌍피ㄷㄷ 김링크 님께
2025.02.18. 18:46

제가 잘못 읽었네요..근데 다이면적으로도 서로 일장일단이 있습니다. 인텔의 경우에는 포베러스 이전에는 원다이라서 말씀처럼 SoC 파트로 열을 대신 머금어주기도 했지만, 그만큼 컴퓨팅 컴포넌트들이 하나로 집중돼 있어서 일정 수준 이상 온도를 내리기 불리하죠. 하지만 반대로 암드의 경우에는 CCD들이 독립돼서 방열 면적이 줄어들지만, 대신에 활성화되는 컴퓨팅 유닛들이 그만큼 분산돼서 방열에 이점이 있습니다. 이거에 가장 큰 수혜를 봤던 게 다름아닌 라이젠 1,2,3세대였죠. 

[쌍피ㄷㄷ]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쌍피ㄷㄷ 님께
2025.02.18. 19:17

말씀하신것과는 정 반대로 다이를 따로 나누는것보다 하나로 합치는게 열관리가 더 쉽습니다

AMD의 칩렛 구조는 오로지 수율때문에 다른 모든것을 초기한 형태입니다

인텔이 각각의 다이를 따로 생산하면서도 걔들을 꾸역꾸역 한데 모은 이유는

퍼포먼스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다이를 붙여야 열관리가 쉽기 때문입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쌍피ㄷㄷ 김링크 님께
2025.02.18. 19:30

포베러스 패키징에서 다이를 모으는 핵심적인 이유는 TSV특성상 거리가 멀어지면 그만큼 다이간 지연시간과 전력소모가 큰 폭으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는 컴퓨팅 유닛 사이의 간격을 멀리 떨어 배치하는 게 오히려 발열 컨트롤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당장 애로우레이크에서 문제가 됐던 2P4E 배치도 P코어간 거리를 멀리 배치하려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죠. 애초에 포베로스 이전 인텔 라인업들이 원다이로 누린 편익은 함께 실장된 SoC타일에서 비롯된 것이었는데, 정작 모바일 라인업들은 암드처럼 주요 SoC컴포넌트가 컴퓨팅 다이 바깥에 있었죠

[쌍피ㄷㄷ]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쌍피ㄷㄷ 님께
2025.02.18. 20:15

말씀하신것처럼 P코어 사이사이 E코어를 배치해야 열 관리가 쉬운데

AMD는 열이 많이나는 P코어만 따로 모아놨으니 당연히 열 관리가 어렵겠죠?

예전에는 다 따로따로 있던 컴포넌트들을 CPU에 모아두는 이유는 성능적인 면도 있겠지만

예전처럼 CPU내에 오로지 코어만 존재한다면 도저히 그 발열을 감당할 수 없어서 그렇습니다

코어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을 상대적으로 열이 덜 나는 부분으로 흘려보내야 전체적인 온도가 내려가니까요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쌍피ㄷㄷ 김링크 님께
2025.02.19. 10:52

P코어 사이사이에 E코어를 배치한 게 애로우레이크부터입니다! 그전까지는 인텔도 똑같이 P코어들만 한쪽에 모두 몰아넣고 링버스로 묶어버렸어요. 그리고 암드처럼 SoC타일이 밖에 있던 건 타이거나 엘더레이크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심지어 인텔은 GPU타일이 SoC다이가 아니라 컴퓨팅 다이에 본딩되어 있어서 불리하다면, 오히려 더 불리한 쪽이었죠..

[쌍피ㄷㄷ]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쌍피ㄷㄷ 님께
2025.02.18. 22:47

다이 내 열 전도율 >>> 떨어진 다이 끼리 열 전도율 입니다

다이 내에서 유닛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와 아예 별도 다이로 뽑는건 차원이 달라요

 

랩터 까지만 해도 인텔은 10나노 우려먹느라 P코어 끼리 모아놔도 열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잘 분산 되었는데

3나노로 퀀텀 점프 하면서 코어가 차지하는 면적이 쥐똥만해졌고 그걸 감당할 수 없어서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걸 알면서도 P코어랑 E코어랑 섞어놓을 수밖에 없는겁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김링크 님께
2025.02.18. 22:52

그 사실 이 부분은 설계가 구린거에 가깝다고봅니다.. 라이언코브자체가 smt뺐는데도 불구하고 기대이하인지라.. 그리고 열 관리부분은 기준에따라다르죠 보통 모아놔도 유리한겐 잘 안쓰거나 발열이별로안나는 부품의 경우에는 그렇지만 그런게아닌경우에는 분산시켜두는게 나을수도 있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코한량
미코한량
2025.02.17. 21:31

스카이레이크가 14nm의 차력쇼라기보단

스카이레이크까지가 14nm 마지노선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사실 스카이레이크도 14nm 공정 늦어지면서 늦게 나온거긴 한데.. 이때까지만 해도 인텔이 왕좌에서 내려올 거라고는 생각을 못했...

[미코한량]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미코한량 님께
2025.02.17. 21:34

정확히는 스카이레이크 아키텍처 사골시리즈

말한거에여.. 코어수늘리고 클럭영끌해서

10세대까지 나왔으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laxyA55아이스블루
2025.02.17. 22:02

낙하산 인사라는 말에 대해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조직 내부의 계통을 무시하고, 인맥을 통해 들어오는 사람을 흔히 낙하산이라고 통칭하죠.

 

리사 수를 한번 봅시다. 리사 수는 기존에 AMD에서 일하지 않았는데, 예전 직장에서의 멘토가 AMD 이사로 근무할 당시에 추천해서 파격적으로 한번에 AMD 임원급으로 들어갔죠.

 

일반적인 절차가 아니라 조직 외부에서 고위직 인맥을 통해 임원이 되었으니, 리사 수는 낙하산 인사의 정의에 완벽히 부합하죠. 근데 리사 수를 낙하산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나요? 

 

말씀하신 8 Elite의 차력쇼라는 것도 이와 일맥상통합니다. 굳이 정의를 따지면 차력쇼에 해당할 수도 있긴 하겠지만, 그렇게 말하는 사람은 드물죠. 이미 성능과 전성비로 쇼앤프루브 했으니까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GalaxyA55아이스블루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7. 22:29

제목으로  "낙하산에대한 오해가 많은거같습니다"라고 하고 

 

표국대에 따르면 낙하산은 [채용이나 승진 따위의 인사에서, 배후의 높은 사람의 은밀한 지원이나 힘, 또는 그 힘으로 어떤 자리에 앉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1.성과가 좋으면 낙하산이 아니다?

~~~~~

2.능력이 검증되었으면 낙하산이아니다?

~~~~~

고로 리사 수는 낙하산 인사다.

낙하산 용어에 대한 뜻을 알고 썼으면 좋겠다

 

이렇게 작성자분과 비슷한 글을 쓸 수도 있겠죠.

 

예 물론 표준국어대사전 정의까지 가져왔으니 작성자분보다 훨씬 논리적입니다. 

 

그럼에도 이런 글을 보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동의하지 않겠죠. 왜 그럴지 스스로 좀 성찰해보셨으면 하네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7. 23:57

댓글쓰신걸보면.. 사전적정의는 이렇지만

많은사람이 동의하지않을것이다

이렇게쓰셨네요 근데 반대입니다 저는 많은사람들이 쓰는 의미

그대로 쓴건데 왜 저런 비유를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사전적의미라는게 항상 그대로쓰이는것도아니고 그 외에 확장되서 쓰이거나

사전적의미 그대로 쓰이는게 아니기떄문에 동의하지못한다는 의미로 해석이됩니다

 

그러나 제가 쓴 글 같은경우는 실제 커뮤니티등에서 널리쓰이는 용도 그대로 쓴거라

저런 예시와는 맞지않습니다..

 

오히려 낙하산인사가 저런 사전적의미도있지만

보통은 불공정,부정채용등으로 엮어서 쓰이기떄문에 "능력있거나 검증된인사"는

낙하산취급을 했을떄 동의를 못하는거겠죠?

 

저는 그렇게쓰이는 용도 그대로 차력쇼에대한 설명을한거구요

"낙하산은 보통 불공정하게 높은사람에 지원이나 힘으로 자리에앉게되는것을말합니다"

이렇게 말했는데 "아닌데? 낙하산 그런뜻 아닌데?" 이렇게 딴지에 걸리는 경우가많아서

낙하산인사에해 보통 어떻게쓰는지 이 글에 설명을한겁니다

 

실제로 차력쇼가 어떤의미로쓰이는지 그대로 상술한글에 안맞는 비유를 하시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본인들의 차력쇼 기준이 다를수는있겠죠

제가 그분들에대해 "차력쇼는 이런거야" 라고 한게 아니라니까요?

 

제가 "스냅드래곤엘리트는 차력쇼야"

했는데 "아니야 차력쇼아니야" 이런 말을 들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런글을 쓴겁니다 각자 기준이 달라서 정답이없다면

차력쇼아니라고 지적한 분들이 잘못된 지적을한거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0:13

오히려 저는 리사수는 낙하산인사 취급을안받는다

그러니 리사수 사례와 유사한 A씨도 낙하산아니다  이렇게 쓴글에 가깝습니다

중간에 님이쓰신 사전적의미 관련된건 제 글을 곡해하기위한 장치에 가깝구요

 

그런데 왜 반대로 곡해를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애초에 하드웨어 커뮤니티사이트에서 전력효율성 관계없이

피크성능 끌어올리려고 성능 영끌하고 전력을 과도하게먹는걸

차력쇼라고 한거 그대로쓴겁니다

 

 

단순히 성능과 전력효율이 올랐다고 차력쇼가아니면 차력쇼취급받을만한

칩셋은 전세대보다 동성능에서 전력소모자체가 퇴보한거아니면 말못합니다

그러면서 피크전력소모도 높아야겠구요  안텔 14세대도 그러진않습니다

 

애초에 데스크탑같은 pc쪽에서 먼저쓰이기시작했고 그쪽은 피크성능유지를

기본베이스로 깔고 상정해서 피크성능기준 과도하게 전력먹고 스윗스팟한참지난구간까지

영끌해서 내놓았으면 차력쇼라고 하는겁니다 여기에 스냅드래곤같이

중저부하 전성비가 좋아서~ 어쩌고는 의미없어요 

 

모바일쪽에서는 차력쇼가 다른의미로 쓰인다고 주장할거라면

당장 미코에서 "차력쇼" 검색해보세요

 

활동많이하시는 모 유저분 글,댓글 그대로써드리죠

 

"근데 8G4가 아무리 차력쇼한다고 하지만. 높아봤자 기커완 벤치 기준 2400 정도 수준이지 않을까요? S24/S24+ 쓰시는 분들 아시겠지만 최대 전력으로 구동되는 상황이 많지 않고 알아서 잘 튜닝되어있어서 딱히 문제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자 이분이 쓰신 글 보세요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차력쇼해서 피크전력소모가 높더라도 피크전력으로 구동되는 구간이많지도않고

튜닝도 잘했을거라 문제없을거다" 라고 요약가능하겠죠

이분이 쓰신 차력쇼역시 제가말한 의미와 같은의미로 쓰이고있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GalaxyA55아이스블루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8. 00:22

그래요 참 맞는 말만 하셨는데 말이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널리 쓰이는데 왜 동의하는 사람이 거의 없고, 좋아요가 적은건지 참 이상하네요.

 

여기 사람들이 죄다 틀렸나봅니다. 

 

저는 단지 다시 생각해보시라는 조언을 드릴 뿐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확고한 생각을 가지고 계시다면 뭐 어쩔 수 없는거죠.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0:23

왜냐면 스냅엘리트 좋아서 환호들하시는데 위에 댓글말대로 차력쇼가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쓰여서 공감을 안하시는거겠죠

근데 공감을안하거나 기분이나쁜걸떠나서 전 적절하게 사용한건데

그거에대고 틀렸다고하면 그건 다르거든요

 

 

그리고 커뮤 한두번하나요? 커뮤에서 반응이 무조건 정답이아닙니다

그런논리면 갤럭시혐오하고 중국폰,아이폰 찬양하는 커뮤니티가서

글썼는데 반응안좋으면 맞는글도 틀린말이되나요? 

 

틀렸다고 반박을하실거면 논리적으로하셔야지 위에도 곡해하는것도그렇고

사람들 반응이어쩃느니 동의를 못한다느니 이러시네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laxyA55아이스블루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8. 00:29

애초에 회원님이 커뮤니티에서 널리 쓰인다는걸 근거로 쓰지 않으셨습니까? 이제 와서 커뮤니티에서 말하는게 다 맞는건 아니라고요?

 

참 편리한 취사선택이군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0:31

이건 뭐 말꼬리잡기 하시는건가요 제가 어디 한가지커뮤니티만 콕집어서 이야기했나요

여러거지 it관련 커뮤니티관련해서 거의 다 저런의미로 쓰이니 근거를 든거죠

자꾸 이걸로 시비걸길래 직접 검색도해봤어요 미코도검색해보구요

 

그래서 제가 위에도 썻잖아요 "사람마다 기준이다를순있다 근데 그러면

다르다고해야지 내가말한걸 틀리다고하면안된다:" 이런식으로요

저는 제가먼저 차력쇼라고 주장을했는데 반박을 당한상황이니까 저렇게말할수있죠

 

차력쇼아니라는글에 제가나서서 "아니야 그거차력쇼야!" 한게아니거든요

 

커뮤니티가 다 맞는게 아니라는건 특정커뮤니티의 성향에따라서 의견이 갈릴수있으니 그런겁니다

그런데 제가말한 컴퓨터관련 하드웨어사이트는 그런게 없어요

적어도 제가 글에 예시로 든 인텔관련해서는 어느곳이든 읙견이 같습니다

소수의 다른의견도 있을수는 있겠으나 그건 정말 소수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0:34

당장 미코만하더라도 차력쇼아니라는분중에 일부는

애플a칩이 차력쇼지 이러시더군요 근데 애플a칩도 어쨋든

전세대보다 동성능 전력효율이 올라갔고 실사용시 문제도없습니다

 

그럼 왜 어떤기준으로 a칩은 차력쇼이고 스냅드래곤은 아닌게되는걸까요?

그냥 애플은 싫으니 차력쇼라고 감정이들어간거라고 보면 되는거겠죠

 

차라리 저처럼 둘 다 차력쇼야 하는게 맞는거구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laxyA55아이스블루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8. 01:07

그야 A칩을 탑재되는 유일한 기기인 아이폰은 베이퍼챔버도 없고 방열설계가 부실하니까요. 8 Elite는 가장 저가형 폰도 최소한 베이퍼챔버는 탑재하죠.

감당할 수 있는 발열이나 전력소모량이 서로 크게 다르고요. 다른 기준을 적용해도 이상한건 아니죠.

 

폰이랑 AP는 별개니까 상관없다고 변호하실거면 굳이 대화하는 의미가 없어보이네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0:47

제가말하는 폼팩터는 아예 카테고리가 다른경우를 말한거죠

데스크탑이면 데스크탑 노트북이면 노트북 태블릿이면 태블릿 이런식으로요

 

그리고 님말대로 해도 비슷해요.. 아이폰 부실한거맞죠 근데 부실하다는 주장떄문에

차력쇼라고 취급할거면 결국 하락하는 성능폭을 봐야하잖아요

근데 막상 하락폭보면 도긴개긴입니다..

 

경우에따라선 일부 안드폰보다 나은경우도있구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0:57

그만큼 지금 ap들이 베이퍼챔버 좀 붙인다고 감당가능한 전력이아니에요

장시간 부하가걸리는 경우에 1w정도차이도 꽤나 유의미한 차이니까 베이퍼챔버의미가있죠

긱벤치는 고부하가 지속적으로 걸리는구조가 아니라서 긱벤치도 꽤차이가나는거같기도 하구요

 

근데 지금 피크성능기준에서는 cpu만 15~16w씩먹고있는데 게이밍폰 쿨러달아도

감당불가능한 전력입니다 막간의 성능 10~15%더올리려고 피크전력소모 60~80%높이는건

데스크탑,노트북 이런데서나 보던건데 그대로하고있어요 그러니 차력쇼라는거구요

 

이거에대해 실사시에 문제가없다고 차력쇼가아니라면 

스냅810때마냥 전세대대비 동성능기준에서도

확연히 퇴보한경우가아니면 차력쇼인 ap는 없다고봐도되요

 

그리고 스케줄러나 가버너 스로틀링등으로 sw조절로 문제가없으니 차력쇼가 아니면

역으로 전성비,피크전력소모가좋아도 sw문제로 발열이심하면

차력쇼가 되는건 아니잖아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laxyA55아이스블루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8. 01:08

자꾸 논점을 흩트리고 계시네요.

저는 이미 할 말은 다 했습니다. 애초에 제가 8 Elite가 절대적으로 차력쇼가 맞다 아니다라고 말한 적도 없고요. 그걸 저한테 반박해봤자 의미가 없습니다.

 

저는 그냥 회원님 본인의 논리에서 보이는 모순을 지적하고 회원님의 생각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보여드린 것 뿐이네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2.18. 01:13

네 그건 말씀안해주셔도되요 왜 그런지 이미 인지하고있습니다

전 그런반응에대해 뭐라하는게 아닙니다

단지 차력쇼아니라고 하시는분들이 계시길래 보라고 쓴겁니다

또 댓글달리면 링크걸어주려는 목적도있고요

 

제가 글을 쓴 목적을 오해하신거같으신데 저는 공감이나 동의를 못구해서

이런게아닙니다 자꾸만  틀린걸로 시비를거는 분들떄문에 쓴겁니다

차력쇼라는거에 대해 공감못하는건 그러려니합니다

 

근데 아니라고하는분들은 주장하시는게 거의 다 비슷해서요

그런분들 보라고쓴겁니다 아예 잘못알고 쓰시고 계시길래요

차력쇼의 의미를 알고도 아니라고 하는것과 아예 의미도모르고

아니라고하는건 다르잖아요? 근데 의미를 모르거나 잘못알고

주장하시는분들이많아서 쓴겁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8. 10:50

솔직히 차력쇼 안하는 업체 찾기 힘들다지만 방열 설계 다 떼고 칩만 딱 봤을 때 현재로서는 차력쇼 제일 덜한 게 A칩이긴 합니다. 8 Elite 같은 경우는 A16 보다 살짝 낮은 코어 가지고 "나 A18 Pro 수준이야" 하고 차력쇼 하는 수준이라..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WayBack 님께
2025.02.18. 12:28

제가 a칩 gpu차력쇼가 심하다고 한 이유는

차력쇼라는게 절대전력기준으로 말하는게

보통긴한데 성능마진이 거의없는 스윗스팟

한참초과한 부분이서 클럭 영끌하는경우도

차력쇼라고 많이들해서 gpu는 a칩이

더 차력쇼일수도 있다고 한거에여 애플이

요 몇년간 a칩이던 m칩이던 제조단가상승 억제차원인지 gpu유닛에 너무 짭니다 규모키우던 유닛수을리덩 할때가됐는데.. n3p공정에선 바뀔런지

a칩 성능이 역전당한건 퀄컴이나 기타업체들 기술력이 좋아진것도있지만 제조단가억제차원에서 cpu gpu유닛을 안키우는 경향이 커서그런거같아요 cpu는 코어수 늘릴때 된거같은데말이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2.18. 14:34

그건 그렇긴 한데 실제로 지금 8 Elite 넣고 나오는 폰들 상태 보면 CPU 차력은 뭐 당연한 거고, GPU도 효율성이 A18 Pro 쪽이 더 높습니다. ㄷㄷ 기커완 영상만 보면 다 좋아야하는데 거의 다 전력하고 프레임, 발열 상태가 구리더군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WayBack 님께
2025.02.18. 15:29

해당사항은 칩문제보다는 최적화문제가 클겁니다 차력쇼가 극심하기전부터 그랬던 거라.

그리고 고사양겜이라는 것들도 생각보다 gpu클럭 높게 안돌아가더라구요

애초에 높게 돌아갈수도없지만요 스로틀링이심해서.. 나름 고사양겜이라는것들인데도 그렇습니다

 

예전에 모바일배그 나온지얼마안됐을때 모바일배그가 고사양게임중 하나였는데

이때도 사실 그랬는데 지금은 차력쇼가 극심해서인지 더 그렇더라구요.

개발사입장에선 단순 피크성능맞춰서 낼수가없으니까 그런듯합니다

테스트도 다 해볼텐데 스로틀링 극심해서 몇분만에 버벅이게 만들수는 없으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WayBack 님께
2025.02.18. 15:35

이러한 행태를보면 참 웃기죠 벤치마크라는게 해당 기기나 칩의

성능을 파악하는 지표로 쓰여야하는데

벤치마크성능대로 게임개발하고 세팅하면 스로틀링 극심해서 못해먹을테니까요

결국 벤치마크는 소비자기만이 되버리는거고 제가 차력쇼를 극혐하는이유가 여기에있습니다

 

칩제조사도 아예생각은 없는겓아니니까 몇년전까지는 그래도 gpu차력쇼는

적당한 분위기였습니다 gpu는 고사양게임에서 지속적인 부하가 걸리니까

cpu랑 다르게 너무 심하게떙기면안되니까요

근데 최신공정이비싸지고 gpu유닛때려박기 싫어서 차력쇼로 땜빵하는모양세가 되었네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화이트멘솔
화이트멘솔
2025.02.17. 22:28

공감합니다!!!!!!!! 절전모드에 120hz와 cpu성능제한이 동시에 걸렸으면 좋겠어요
fg로 클럭 더 땡겨서 출시하는 것도 사실 마음에 들진 않아요 ㅜㅜ

[화이트멘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화이트멘솔 님께
2025.02.18. 00:37

진짜 왜안되는건지 모르겠네요 정작 gpu는 성능안내려가던데;;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dsa
fdsa
2025.02.18. 22:33

그...이제는 피로감이 듭니다.

[fds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41018 수정 file admin 18.08.04 125555 13
핫글 미니 s24u 원유아이7 이젠 좀 나와줬으면 하네요 [6] 허쉬 25.03.22 889 11
핫글 미니 25u 5배 망원 샘플 [5] file 우띠 25.03.22 408 7
핫글 미니 16프로 5배 샘플샷 [8] file S.R 25.03.22 546 7
226279 미니 일반인에게 Gcam은.. 무리네요 [18] 외국사람 25.02.17 1177 12
226278 미니 아라리 피셜 qi2 케이스 특징 [6] 룬룬 25.02.17 957 2
226277 미니 7년 된 폰에 배터리 [5] file 띵큐 25.02.17 673 1
226276 미니 헐 샤오미15 울트라 한국 정발이라니.. [30] Stellist 25.02.17 2214 22
226275 미니 s25 노멀인데 점수 좀 나오네요 file AV_Lover 25.02.17 450 6
226274 미니 미15울트라가 정발하면 한가지는1등할듯 [1] S27울트라존버 25.02.17 572 5
226273 미니 삼브 번역 기능이 사진 속 글자까지 되네요.. ㄷㄷ [8] file 프로입털러 25.02.17 687 1
226272 미니 s25울리 배터리 세팅 [2] file 펄럭펄럭 25.02.17 613 4
226271 미니 폴더블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것 file Alternative 25.02.17 544 0
226270 미니 샤오미 80w 무선충전기 전파인증 떡밥해소? [9] file S7엣지 25.02.17 585 7
226269 미니 S25U 2배 크롭줌은 수채화 개선이 필요합니다. [10] file 꼬북시티 25.02.17 695 6
226268 미니 25울라리 배터리 올려봅니다 [1] file Butzed 25.02.17 335 2
226267 미니 다들 gcam 어느 버전 쓰시나요? [12] MiKor82 25.02.17 480 1
226266 미니 아쿠오스R9 Pro 카메라 기대되네요 [7] file J1hn 25.02.17 528 7
226265 미니 s25u 배터리가 왜이럴까여..ㅋㅋ [2] file 므트므트므트 25.02.17 748 0
미니 차력쇼에대한 오해가 많은거같습니다 [69] 노틀담의꼽추 25.02.17 1122 1
226263 미니 갤캠스 세금계산서가 되나요? [2] 닉포토 25.02.17 527 0
226262 미니 5070ti 성능 유출 [8] file Aimer 25.02.17 948 4
226261 미니 25울 해외여행 절전모드 배터리 타임입니다 [4] file 푸르딩딩 25.02.17 615 1
226260 미니 7.0에서 카메라 샤터음 줄어든 건가요? [2] aleji 25.02.17 581 0
226259 미니 아이폰4s이후 안썻는데 아이폰18프로맥스 S27울트라존버 25.02.17 329 0
226258 미니 갤럭시 탭 S10 시리즈, 탭 S9 FE 시리즈, 탭 A9 시리즈, 점프3 펌웨어 업데이트 file 운김 25.02.17 552 0
226257 미니 KT, U+ 통화품질 민원 후기 [22] 도나쓰 25.02.17 1310 13
226256 미니 s25 시리즈 안드로이드 오토 무선 발열 [4] 잇힝랄라 25.02.17 704 0
226255 미니 5g + 웹서핑 조합 유저는 배터리는 눈물이겠쥬? [10] 익명 25.02.17 504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확장 변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