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픽셀 7 프로 LTE를 쓰니...
- RASBI
- 조회 수 1033
- 2025.03.09. 01:12
역시 배터리가 녹습니다.
이건 엑시노스 모뎀 5300뿐만의 문제가 아니라, 텐서 G2의 전성비 문제, 그리고 픽셀 7 프로의 디스플레이 전력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것 같습니다. 배터리 열화는 덤이구요ㅠㅠ
마침 또 공정이 스냅드래곤 888 8 gen 1 그때 공정....그렇습니다. 리뷰어들이 측정한 전성비는 실사용자 입장에서 체감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었는데, 다시 한번 더 그 생각은 잘못된것이라는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제 경험상 배터리 타임은 낫싱 2a의 디멘시티가 1등이였고요ㄷㄷ 이 녀석은 진짜 대단한 녀석입니다. 2등은 LG V60의 865+5000mAh 조합. 3등은 S23U~출시 하고 구매했는데 감동이였습니다ㅎㅎ
이번에 나올 픽셀이 TSMC 쓴다는 말이 있던데, 뭐 여러모로 해결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느덧 픽셀도 "10"이네요...




7프로는 야외사용시 정말 쥐약이었던거 같아요
이건 22년 출시초 첫 구매때 느낌이나
지금 안드15 커널6.1 먹여놓은때나
동일합니다. 텐서 자체는 성능제한을 빡세게 걸어놔서 전기를 그렇게 안먹는데
디스플레이랑 모뎀전력소모가 상당합니다.
보통 야외에서 사용하면 거의 최대밝기로 올라가는데
밝기에 따른 배터리소모가 다른 기기보다 2배나 되고
대기전력도 야외에서 이동간 쓰면 시간당 1.8-1.9%정도 날아가더라는.. 이것도 5G로 쓰면 시간당 3%정도 날아간다 하네요.
실내에서만 쓸땐 배터리가 엄청 오래가는데
(SOT 10시간 이상 거뜬)
밖에 들고다니며 종일 쓰면 화면켜짐시간 반토막나더라구요.
차이가 너무 커서
그 괴리감이 상당합니다.
신품배터리 기준
실내 실사용시
7프로 - 화면켜짐 10시간
8프로 - 화면켜짐 10시간
9프로XL - 화면켜짐 11시간
이정도 나왔던거같고
야외 실 사용시
7프로 - 화면켜짐 6시간
8프로 - 화면켜짐 7시간
9프로 - 화면켜짐 8시간
이런 느낌이었어서
뭐 해가 바뀔수록
늘어나긴 했는데 전 큰 차이는 모르겠더라구요.
9프로같은 경우 모뎀이 좋아졌다는데
대기배터리 기준 시간당 0.2~0.3% 차이로 미미해가지고.. 모뎀 좋아진거 체감은 전혀 못했네요.
이건 비정발국인 한국이라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조금 다른 이야길수도 있지만 안그래도 LTE 시계 배터리 시간 관련해서 글 하나 남기려고 했는데 아이가 아직 어려서 스마트폰은 안사주고 갤럭시 7 LTE 스마트워치만 사주고 standalone으로 반년넘게 쓰고있는데 배터리가 정말 너무 빨리 닳아서 거의 1시간에 10% 넘게 빠지더라구요 (업데이트 하고 이정돈데 업데이트 전엔 1시간에 15% 넘게 빠졌던). 근데 어제 구글 Fitbit Ace LTE라는걸 사서 밤새 LTE 모드로 테스트 해봤는데 이건 1시간에 1%정도 밖에 안빠지네요;; (7시간동안 100% -> 94%). 심지어 갤럭시 워치 7 LTE는 약전계서 신호도 잘 못잡아서 위치 추적하면 항상 실패하고 전화도 잘 안될때가 많았는데 요 핏빗 에이스 LTE는 그런 문제가 하나도 없습니다ㄷㄷ 아무튼 며칠 더 써보고 글 하나 남겨드릴게요. 참고로 알아보니 이 구글 Fitbit Ace LTE 경우 퀄컴칩을 쓰더군요. (Snapdragon W5 Gen 1에 들어간 모뎀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