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노틀담의꼽추

미니 인텔은 이제 기대가 안되는 지경까지왔네요

애로우,루나레이크 라이언코브아키텍처

엘더레이크아키텍처후 3년만에 나온 새로운 아키텍처인데

구려도 너무구립니다 

 

tsmc3나노인데도 전력효율이 생각보다높지않아요 

smt는 왜뺀건지도 모르겠어요 빼봤자 면적대비성능,전력효율 전부 기대이하입니다

도대체 3년간 뭘했는지 모르겠어요

 

그나마 루나레이크도 e코어및 메모리cpu패키지내장 등등해서 배터리가오래가지

p코어쓰면 배터리줄줄샙니다 노바레이크가 아키텍처 크게뜯어고친다는데

기대하지말아야겠어요 기대안해야 평범하게만나와도 좋아할거같아서요..

댓글
34
버저비터
1등 버저비터
2025.03.13. 15:09

마지막 인텔 기술의 정수가 루나레이크라고 생각합니다.

 

이후 노트북은 amd가 잘해주길 빌어야죠..

한동안 투자 및 개발에 전념할 돈도 없을테니까요..

[버저비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버저비터 님께
2025.03.13. 15:13

현재 루나레이크 사용중인데 그나마 e코어및 메모리내장등해서

가벼운작업은 오래갑니다 근데 p코어가 영 별로더라구요

큰 기대를 한건아닌데 1년만에 나온거면 이해하겠는데

3년동안 하이퍼스레딩도 뺀 주제에 뭘한건지 모르겠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은하담
은하담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3.13. 16:40

근데 AMD도 모바일에서 P코어 갈구면 그냥 녹지 않아요...?

[은하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은하담 님께
2025.03.13. 16:42

제가 글을 길게안써서 오해하신거같군요

저는 cpu,노트북측면에서 이야기한게아닌

"아키텍처"측면에서 이야기한겁니다

 

뭐 진짜 못쓸정도로 구린건아니죠

근데 3년만에나온거치고 기대이하라는거죠..

예전 엑시노스 몽구스폐기직전 나온놈같은거보단 훨씬낫죠

다만 제가 인텔한테 좀 기대를했어요 그래도 공정개선되면

짬밥이있는데.. 이랬는데 애로우보니 참 amd보다 확실히 못하다고 생각이들더라고요

 

그나마e코어는 괜찮다고보는데.. p코어가 참 그렇습니다 

특히 smt빼서 효율올렸다 이랬으니 더 기대했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best 2등 김링크
2025.03.13. 15:16

물리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많은 애들 빼고

울트라북 폼팩터에서는 고부하 작업 하면 다 거기서 거기 아닌가요?

배터리 최강이라 불리는 맥북도 게임 돌리면 배터리 금방 빠집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김링크 님께
2025.03.13. 16:37

제가 그것을 모르는게아니라 전성비표같은거 다 보고하는말입니다

잉여인간이라서 하루종일 여가시간에 하는게 그런거밖에없어요..

해외테크사이트같은거 죄다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orbear
3등 polorbear
2025.03.13. 15:37

멀멀리 안나가도 삼성도 비슷한 상황이라.

[polorb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GalaxyA55아이스블루
2025.03.13. 16:49

ARL의 경우도 설계 때문인지 게임성능 면에서는 심각하게 안좋지만, 일반적인 작업에서의 전성비는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기존 메테오레이크보단 훨씬 나아졌고요.

 

그리고 출시는 애로우가 루나보다 나중이지만, 계획과 설계는 먼저 이루어졌다는 점도 감안해야 합니다. 서로 대체하는 관계는 아니지만, 더 이후에 만들어진 루나레이크에서는 불만이 많았던 LP-E코어 쪽을 없애기도 하고 레이턴시 등의 문제점들도 개선했죠.

 

오히려 당장은 그리 인상적이진 않지만, 앞으로 인텔의 방향성을 긍정적으로 보여주는 제품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SMT를 빼는 결정도 포함해서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GalaxyA55아이스블루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3.13. 15:56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매사에 너무 부정적으로 사시는 것 같습니다. 글도 그런 부정적인 글 위주로 많이 올리시고요.

예전에 올리셨던 글의 댓글 하나를 가져왔는데, 괜히 저 포함 50명이 공감한게 아닙니다.

Screenshot_20250313_153429_Samsung Internet Beta.png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3.13. 16:35

차단하세요 저도 맨날 되도않게 실드치는 사람들 블라합니다 전 이미 많이당한거같고요

예전에 신고인원수 바뀌기전처럼 신고테러로 정지거시던지요

일단 제가 먼저 해드리겠습니다 전 바뀔생각없으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GalaxyA55아이스블루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3.13. 20:17

이렇게 공격적인 경우가 바로 사회화가 필요한 사례죠. 많이 블라인드 당했다는게 부끄러우면 모를까 자랑할만한 것도 아니고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3.13. 16:30

애로우레이크 같은 경우엔 LPE가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타일 재탕하면서 공정이나 아키텍처가 더 뒤떨어져서 퇴화한 측면이 있기도 하죠. 메테오때는 레드우드 코브(P)+크레스트몬트(E/LPE) 였는데 애로우는 라이언 코브(P)+스카이몬트(E)+크레스트몬트(LPE)가 됐으니까요.

물론 전성비 자체는 꽤 향상되었고 애로우-HX같은 경우엔 기존의 랩터-HX에 비해 소모전력 대비 성능이 정말 엄청나게 개선되었습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6:37

처음에는 그래도 평타는 치는줄알았는데 알면알수록 망입니다

노트북측면에선 tsmc빨+여러가지 변화로 배터리는오래가는데 p코어아키텍처

전성비,면성비부터가 영..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laxyA55아이스블루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6:40

아 다시보니 원글 내용 순서대로 보다보니 애로우 얘기랑 루나 얘기를 섞어서 했네요. 분리해서 수정해야겠군요.

[GalaxyA55아이스블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GalaxyA55아이스블루 님께
2025.03.13. 16:40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AM
KAM
2025.03.13. 16:22

ceo 바뀌었던데 주식 사볼지 고민입니다.

[KA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AurA
2025.03.13. 16:33

글쎄요 AMD는 한때 인텔이 반독점에 걸릴까봐 살려주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요.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2025.03.13. 16:37

젠5에서 컴팩트코어 대규모로 도입한거만 봐도 인텔 E코어 자체의 방향성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AMD같은 경우엔 컴팩트코어에 여전히 SMT가 있는데, 클래식코어에서는 SMT가 전체 면적의 10퍼센트 내외의 지분을 차지했기 때문에 괜찮았지만, 컴팩트코어는 그 자체로도 클래식코어의 30퍼센트 정도의 면적이기 때문에 SMT의 지분을 무시할 수가 없죠. 전 AMD가 언제까지 컴팩트코어에서 SMT를 유지할지 정말로 궁금합니다. 이번 스트릭스 포인트 혹평의 지분 대부분이 컴팩트코어 설계의 실패에서 비롯된 것 같거든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6:40

저도 그렇게생각했습니다 루나레이크 결과만 보고서요

근데 애로우보면 생각보다 별로더군요 애로우만그런건지

일단 팬서레이크보고 판단하긴할건데 잘나오면합니다..

 

정확히는 님말씀대로 방향성은 괜찮다고봐요 특히 노트북에서는요

근데 아키텍처자체가 참 아쉽네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3.13. 16:44

그거야 벤치마크 값만 보면 HX370이 참 잘 나온 것처럼 보이니까요. 하지만 벤치마크 점수를 위해 컴팩트코어에 SMT를 유지한 대가로 정말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스트릭스 포인트 계열의 '전성비'는 허상에 가까워요. 직접 사용해보면 퍼포먼스가 일관적이지 않다는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반면에 스트릭스 헤일로는 퍼포먼스가 상당히 일관적입니다. 제가 인텔 모바일 칩셋 좋아하는 이유가 일관적인 퍼포먼스 때문인데 스트릭스 헤일로는 그걸 완벽하게 충족하고 있어요. 면성비 챙기려고 E코어(라이젠의 컴팩트코어) 넣었으면 SMT 무조건 빼던가 아예 넣지 않던가 해야 한다고 봅니다.

특정 악성 팬덤은 라이젠 모바일은 클래식코어와 컴팩트코어 모두에 SMT가 있어서 스터터링이나 퍼포먼스 저하가 없다는 궤변을 늘어놓던데 실사용자 입장에서는 글쎄요 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죠.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6:47

저도 e코어는 그래도 괜찮다고봐요 근데 애로우는 좀 별로긴한데

루나는 잘나와서 e코어는 16세대에서 최종판단해야할거같긴해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6:46

스트릭스 포인트는 Zen5 4코어와 Zen5c 8코어가 다른 CCX로 묶여있어서

L3캐시 공유가 안되는 문제 말고는 큰 이슈는 없지 않나요?

Zen5 4코어 + Zen5c 4코어 구조로 나온 크라켄 포인트 경우는

스트릭스 포인트에서 문제되었던 레이턴시 문제가 없습니다.

19576bc395124f4a2.jpg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6:46

음 일단 제가 그런걸 모르는게아닙니다 제가 글을 잘못써서 제대로 전달을 못하는거같아요

전 3년만에나온 라이언코브아키텍처가 smt도뺐는데 여러가지측면에서 별로다

 

이게 하고싶은말입니다

참고로 저는 님말씀대로 hx370의 멀티점수가

사실 허상이고 멀티코어를 아주잘갈구는 벤치에서나

그러한 성능이나온다고 주장하다가 인텔팬보이 취급당한사람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김링크 님께
2025.03.13. 16:50

초중반까진 뭔가 찐빠나서 이상하다는 실사용자들을 꽤 봤는데 한두달전에

레이턴시패치됐다? 이야기를 본거같은데 개선됐는지모르겠네요

아는사람중에 실사용자가 두명정도있는데 다 비슷한소리를 하긴하더라구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5.03.13. 16:54

일단 위에 첨부한 이미지에는 패치 되기 전의 레이턴시 이긴 한데

패치 되고 난 이후의 레이턴시는 다른 CCX 끼리 접근할때의 레이턴시만큼만 줄어들었구요.

크라켄 포인트는 그냥 단일 CCX 내의 동일 코어 끼리 접근하는 수준의 레이턴시 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인텔도 P코어랑 E코어끼리 레이턴시는 저거보다 오래걸립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김링크 님께
2025.03.13. 16:55

이게 암드괴담이 꾸준히 돌아서 전 잘모르겠네요 암드를 선호하진않아서..

제가 인터넷에서만 본거면 그러려니하는데 제가 아는 실사용자들도

뭔가 실사용시 뭔가 벤치마크에비해 느릿하다? 찐빠가난다? 이런식으로

말을하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김링크 님께
2025.03.13. 16:55

레이턴시 문제가 아닙니다. 그리고 레이턴시 문제도 해결이 됐는지 불확실해보여요. 저는 당연히 해결된 줄 알았는데 댓글에 사진으로 올려주신 스트릭스 헤일로 중국 리뷰어 리뷰 보니 아닌 것 같더라고요...  

애초에 젠5C 자체가 퍼포먼스가 오락가락합니다. 벤치상의 점수는 체급대비 상당히 잘 나오는데 실사용할때 퍼포먼스가 많이 이상해요. 제가 이전에 유튜브 로딩하는거도 영상 찍어 올린 바 있는데 이거도 비슷한 이유에서 그런거 아닐까 싶습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6:58

일단 제가 첨부한건 스트릭스 헤일로가 아닌 크라켄 포인트 리뷰이고

외장그래픽과의 조합에서 오히려 스트릭스 포인트보다 낫다고 합니다.

CCX가 하나라서 기존 스트릭스 포인트에서 보이던 단점이 없다고 하네요.

즉 Zen5c의 문제라기 보다는 과거 젠2처럼 CCD 하나에 CCX가 2개 들어가서 발생한 문제로 보입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김링크 님께
2025.03.13. 17:05

리뷰어들은 장기적으로 실사용하면서 평가하지 않죠. 저런 데이터만으로는 알 수 없는 해괴망측한 문제들이 라이젠 모바일에는 정말 많습니다. 저의 추측은 그런 것이고 저 리뷰어의 추측은 저런 것이니 그러려니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트릭스 헤일로에서 기존의 모든 문제가 사라진 것 때문에 IF와 기타등등의 구식 구조를 버린 젠6는 좀 낫지 않을까하고 기대중입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agyarország 님께
2025.03.13. 17:01

애초에 hx370같이 코어많은놈들이야 단순히 cpu스레드 전부갈구는 작업에선

환상적인 멀티성능과 전력효율이나오지만 실제 사용환경에선 멀티코어지원되는

 

프로그램이라고해도 어느정도 개수까지 지원이되는지 그리고 그 멀티코어사용효율이 어떤지

전부 제각각이라... 그 벤치마크에서 알수있는 성능,전력효율은 참고정도만 해야한다고생각합니다

그래서 또 코어1개의 전력효율만 보자니 이것도 cpu구조,규모에따라서 다르더라구요

 

hx370이 12코어 24스레드이고 애로우가 16코어16스레드(사실 lpe2코어는 워낙구려서 14코어에가깝죠)인데 코어전부쓰면 hx370이 확실히좋지만 hx370의 젠5코어가 4개 젠5c가 8개라

애매하게 4~8코어정도 갈구는작업 프로그램이면 6p 8e 2lpe구조인 애로우가 유리할수도있고요

아니면 12코어까지만 갈구는환경이면 논리코어가 소용없으니 여기서도 애로우가 더 유리할수도있죠

 

이렇듯 단순히 코어전부갈구는 벤치마크같은걸로는 실제환경과의 괴리가 있을수있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두유
두유
2025.03.13. 16:50

저전력 고성능 호환성 안정성 좋은 인텔이 다시 왔으면 좋겠네요

[두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두유 님께
2025.03.13. 16:54

루나레이크는 뭐 변화를시도하고 cpu전체만보면 전 평균이상으로 괜찮게나왔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p코어아키텍처가 3년만에나온놈이 ipc가 고작 10%정도향상이라니..

(랩터는 엘더레이크에 캐시만 약간손본놈이니 )

 

1년만에 3~4%개선인데 이것도 게임으로들어가면 여러문제로 오히려 전작보다

동클럭에서 게임성능조차 안나오거나 잘쳐줘야 비슷한수준이니 참..

이러한점에서 실망을하는거죠 smt뺴서 면적효율 올렸다 어쨋다하면서

정작 다이샷보면 p코어의 면성비는 tsmc n3b감안하면 별로구요

 

그걸 e코어로 극복한거긴한데 그러면 p코어 ipc라도 20%이상은 개선되던가

너무개선폭이 작더라구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톰슨가젤
톰슨가젤
2025.03.13. 17:06

모바일에서 배터리로 p코어 갈구면 인텔 암드 애플 스냅 할거없이 죄다 배터리녹아요.

혹시 전원어댑터가 없어 배터리로만 써야한다면 뭐...

[톰슨가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톰슨가젤 님께
2025.03.13. 17:07

오해하시는분이많은거보니 제가 글을 정말못쓰나보네요;; 복붙합니다

참고로 저는 노트북 못해도 30대는 넘게써본사람입니다 

 

"

제가 글을 길게안써서 오해하신거같군요

저는 cpu,노트북측면에서 이야기한게아닌

"아키텍처"측면에서 이야기한겁니다

 

뭐 진짜 못쓸정도로 구린건아니죠

근데 3년만에나온거치고 기대이하라는거죠..

예전 엑시노스 몽구스폐기직전 나온놈같은거보단 훨씬낫죠

다만 제가 인텔한테 좀 기대를했어요 그래도 공정개선되면

짬밥이있는데.. 이랬는데 애로우보니 참 amd보다 확실히 못하다고 생각이들더라고요

 

그나마e코어는 괜찮다고보는데.. p코어가 참 그렇습니다 

특히 smt빼서 효율올렸다 이랬으니 더 기대했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41018 수정 file admin 18.08.04 125753 13
핫글 미니 제가 1호 일까요..!??? [29] updatefile 사람in 09:32 1850 54
핫글 미니 샤오미 15 울트라 구매했습니다 [6] 시엠 11:28 914 30
핫글 미니 삼성 마그넷 3in1 받았읍니다 [10] file 김애용 10:57 777 13
227782 미니 원유아이7이 확실히 더 부드럽군요 file 닉포토 25.03.13 549 1
227781 미니 드뎌 기캠 노출 고정이..ㅜ.ㅜ [1] file 곰장수 25.03.13 366 6
227780 미니 차기갤럭시26울트라 가변조리개 부활설. [4] S27울트라존버 25.03.13 635 2
227779 미니 S23 미코 베타 1호 file 헤메 25.03.13 550 5
227778 미니 갵탭 1호 베타 인증합니다... [8] file 닉포토 25.03.13 1064 9
227777 미니 쾌적해진 갤럭시 과연... [2] 빅코 25.03.13 768 3
227776 미니 갤탭 베타 가장기대되는기능 file 닉포토 25.03.13 511 5
227775 미니 s23u 7.0 베타 올리고 보고 합니다 추가 [5] 펄럭펄럭 25.03.13 696 5
227774 미니 탭 베타 미코 1호일까요 [4] file 닉포토 25.03.13 435 3
227773 미니 맥북 사려는 사람 특) “맥 써도 문제 없을까?”라고 [14] Terrapin 25.03.13 1009 9
227772 미니 못참고 베타 탔습니다. [1] file 곰장수 25.03.13 422 2
227771 미니 서클투서치 복사 토글 사라졌나봐요 [2] 엣지 25.03.13 457 0
227770 미니 국내 탭S10시리즈 5G모델 베타 시작 [9] file 두꺼비감자칩 25.03.13 670 6
227769 미니 엑시노스는 MX사업부로 가려나 보네요 [7] 스퀴니 25.03.13 1058 5
227768 미니 국내 S23시리즈 베타 시작 [11] file 두꺼비감자칩 25.03.13 993 9
227767 미니 lockstar도 레이어 비슷한게 되네요 [5] file 펄럭펄럭 25.03.13 479 0
227766 미니 현시점 가성비 카메라는 뭘까요? [11] 룬룬 25.03.13 413 0
227765 미니 잇섭에게 또 걸린 KT... [19] file 스퀴니 25.03.13 3529 24
227764 미니 인도 S23시리즈 베타 시작? [2] file 두꺼비감자칩 25.03.13 386 2
227763 미니 애플, 제품 AI소개 페이지에 Siri 지연 언급 추가 [1] file AquStar 25.03.13 507 5
227762 미니 다행히 이거 아직 개발 중이군요 file Alternative 25.03.13 1264 1
227761 미니 lock star 공유 감사합니다 [6] file 펄럭펄럭 25.03.13 479 3
미니 인텔은 이제 기대가 안되는 지경까지왔네요 [34] 노틀담의꼽추 25.03.13 1111 1
227759 미니 데이터 함께쓰기로 삼페 사용 가능할까요? [19] 행복한쿼카 25.03.13 705 0
227758 미니 샤오미 15 울트라의 국내판 가격 기준이 될 일본가격 발표 [15] AquStar 25.03.13 748 7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확장 변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