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WayBack

미니 잘 몰랐는데 LLM에서 맥이 완전 가성비군요...?

  • WayBack
  • 조회 수 2151
  • 2025.03.18. 00:26

오히려 LLM 돌리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맥 스튜디오가 너무 싸서 쓴다라는 소리 까지 나온다는데

일반 PC 계열로는 사실 좋은 그래픽 카드 몇개씩 떡칠을 해야 가능하다는데 이런 분위기가 형성이 되는 것도 신기하네요. ㄷㄷ

램 대역폭 때문에 그런 것 같은데 일반 PC에서는 이런 구조가 힘든 걸까요...?

루나레이크 처럼 애플 SoC 따라하면 가능할 수도 있을 것 같긴 한데..

WayBack
Remember 416
댓글
85
kty4
1등 kty4
2025.03.18. 00:54

대역폭도 있고 일반적인 컨슈머용 그래픽 비램으로는 못따라가는 깡패 램 용량도 있을 것 같네용

[kty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kty4 님께
2025.03.18. 02:03

엔비디아 5090도 저정도는 죽어도 안 될 것 같기는 해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비화
2등 비화
2025.03.18. 01:14

ram큰게 대빵인듯 합니다

[비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비화 님께
2025.03.18. 02:02

개인이 그나마 살 수 있는 영역 내에서는 대역폭/용량 다 챙긴 게 아닐까 하네요. 맥 스튜디오 기준으로..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염화은
best 3등 염화은
2025.03.18. 01:16

대역폭보다는 용량이 큽니다. M3 Ultra 512GB와 A100 80GB를 비교하면 대역폭은 800GB/s와 2TB/s로 차이가 크지만, 용량은 M3 울트라가 6.4배 앞서니까 A100 6대 사서 병렬처리를 하는 대신 M3 울트라 하나로 싸게 때우는 겁니다.

 

하지만 대역폭 손해로 인해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문제가 있어, 저렴하게 때우는 건 한계가 분명해서 결국 엔비디아입니다

[염화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염화은 님께
2025.03.18. 02:01

A100 까지 가면 뭐 대역폭이 느리긴 하지만, 맥 제품들 같은 경우 썬더볼트 4/5로 주렁주렁 늘려서 LLM 돌리더군요. 맥 미니 M4 프로 모델을 5대 까지 연결하고 분산시켜서 돌리는 사람 봤습니다. ㄷㄷ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ransformer
best Transformer
2025.03.18. 01:37

취미 정도에서는 괜찮죠

진지하게는 맥으로 못합니다

[Transfor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Transformer 님께
2025.03.18. 02:01

LLM이면 사실 전 윈도우/맥/리눅스 구분하는 거 별 의미는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WayBack 님께
2025.03.18. 02:01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best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08:20

OS문제가 아니라 쿠다때문에 엔비디아랑 비교하면 토큰생성속도가 더럽게 느려요. 

3090 두개만 묶어도 70b 기준 M4 맥스보다 최소 세밴가 빠를걸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3:36

4090으로도 VRAM 용량 때문에 못돌리네 마네 그러던데 3090 두개로도 그게 된다구요..? ㄷㄷ;; LLM 커뮤 자주 들락날락 거리는데 확인을 해봐야겠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urire
sourire WayBack 님께
2025.03.18. 09:14

사실 A6000 하나로도 토큰 생성이 M2울트라 3대 병렬에 비해 5배 정도 빨랐던 걸로 기억합니다

A6000이 1250만원인가 그랬을거에요

[sourir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sourire 님께
2025.03.18. 09:30

세팅 편의성으로 따지면 M3 울트라 한대 놓는게 좋겠지만, 가격 생각하면 사실 가성비가 아닌... CPU+보드+파워 200만원 잡고 3090 4개만 넣어도 맥 스튜디오정돈 따위로 만드니까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urire
sourire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09:54

이용자가 적은 개인/폐쇄 서비스 한정하면 M3울트라 한대나 병렬연결이 맞습니다만

다만 이걸 대외 서비스로 한다면 맥으로는 한계가 맞죠

[sourir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sourire 님께
2025.03.18. 12:22

세팅 편의성을 따지면 M3 울트라 한 대가 맞는데 컴퓨터에 대해 어느정도 지식이 있으면 그냥 3090 몇개 구해서 묶는게 낫습니다. 물론 전력소모는 훨씬 크겠지만 성능차이도 좀 많이 나기 때문에...

512기가 메모리 제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3:44

개인이 돌리는 범위 안에서 스튜디오 말고도 맥 미니 5대 이상 병렬로 연결해서 쓰긴 쓰더군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urire
sourire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29

괜히 웃돈주고 4090 긁어다가 V램 개조를 하는게 아니더라고요

4090자체를 96GB A6000으로 개조해서 공급한다합니다

[sourir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ransformer
Transformer WayBack 님께
2025.03.18. 11:41

OS 문제가 아니라 엔비디아가 안되는게 문제입니다.

[Transfor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Transformer 님께
2025.03.18. 13:45

물론 어제도 적었지만 개인이 돌리는 범위 내입니다. 학습에서 쿠다 중요한 거 모르는 사람이 있나 모르겠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best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4:40

맥 미니 병렬연결하는거 본체 짜는거 이상으로 번거로워서 그냥 재미삼아 하는 수준입니다. 

개인이 돌리는 범위 내에서도 맥으로 LLM은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에요. 단순히 그런 구성을 만드는 '재미' 가 있을 뿐입니다. 

추론 이야기하셨는데 추론마저도 벤치마크 보면 가성비 떨어집니다. 단지 맥 스튜디오 한 대로 해결이 되니 소모전력이나 편의 측면에서 조금의 이점이 있는거죠.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4:59

근데 3090 두대로 돌리는 거 가능한가요? 그거 합쳐봤자 VRAM 용량이 안 될 텐데... 저도 4090으로도 못 돌리는 건 진작 알고 있기도 했고 밑에 맨 밑 실 테스트 유저 선생님 댓글을 보니 갑자기 궁금하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5:06

70b가 작은 모델이 아닙니다;

아예 지식이 없으신거같은데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11

? 누가 70b가 작은 모델이라고 했나요? 밑에 댓글에 선생님이 그거보다 큰 모델은 못돌린다고 적으셨어요. 말씀하신 그 큰 모델 보다 작다는 거죠. 선생님이 말씀하신 거 토대로.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5:12

70b 정도 규모면 취미생활의 끄트머리쯤에 있어요. 그리고 3090 4개 묶어도 맥 스튜디오(512기가) 가격의 절반이란게 함정이고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15

맥 스튜디오 말고도 사실 VRAM이 큰 게 이득이면 맥 미니 병렬로 처리해도 가성비 아닐까요? 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5:16

맥미니는 깡성능도 구리고 램 대역폭도 128비트 버스에 120GB/s 수준이라 큰 메리트가 없습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5:19

부연하자면 브램 용량뿐만 아니라 대역폭도 중요하고 추론이건 학습이건 쿠다 라이브러리에서 얻은 이득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가성비' 는 별론데 '편의성' 이 좋은겁니다. 사실 그마저도 병렬연결하면 사라지는거고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20

어차피 램이 중요한 거니까요. 그리고 어차피 한 대로 돌리는 것도 아니구요. 괜히 분산이겠습니까. 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5:25

아... 정말 슬슬 짜증이 나네요. 지식도 관심도 없는게 눈에 뻔히 보이는데 램이 중요하다는 말만 되뇌고 계시네요. 제가 말씀드렸지 않나요? 그 램의 대역폭이 중요하고 gpu의 라이브러리도 중요하다고요. 그냥 우기기만 하실 것 같으니 관둡시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26

그렇긴 한데 그래서 405B 컨슈머 레벨에서 돌아가나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03

밑에 대댓글 달린 거 보니 큰 모델에 비해 작은 모델 말씀하시는 거군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best 김링크
2025.03.18. 07:49

개인장비에 환경 구축해서 혼자 질의하는건 처리량이 얼마 안되니 그냥 성능은 고려하지 않고 용량만 댑다 큰 모델 올려서 써보는게 가능한거죠

이걸 서비스로 만들어서 여러 사람들이 붙으면 램용량 외에도 고려할게 생기니 경쟁력이 없어집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김링크 님께
2025.03.18. 13:38

어제도 댓글로 적었지만 개인이 구할 수 있는 부분에서 가성비라고 적었습니다. ㅎㅎ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best 김링크 WayBack 님께
2025.03.18. 13:46

가성비라는 단어의 정의는 가격 대비 성능을 의미하는데

가격은 1/2~1/3인데 반해 성능은 1/10 수준이라 가성비라는 단어를 쓰기는 좀 애매한듯 하고

다만 내가 필요한 성능은 5~10 정도만 있어도 충분하다보니

성능이 100인 장비를 비싸게 주고 사는것보다는 성능 10짜리를 그거 반값에 주고 사는 샘인거라

접근성이라는 단어를 쓰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김링크 님께
2025.03.18. 15:03

맨 밑 선생님 댓글 참고하세요. 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2025.03.18. 07:46

그 가격에 풀사이즈 LLM을 돌릴 수 있다는게 매리트지 성능은 그저 그런거 같더라구요.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inny 님께
2025.03.18. 13:39

성능이야 둘째치고 일단 램 용량이 깡패입니다. ㄷㄷ 사실 맥 미니만 봐도 램 64GB도 가능해서 이게 곧 VRAM이니 4090도 못돌아가는 게 이건 된다라는 식으로 얘기하더군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Zr40
Zr40
2025.03.18. 09:47

개인 용도로, inference 만 할 용도라면 맥이 생각보다 괜찮긴 합니다. 특히 맥북 프로같이 휴대 가능한 폼팩터에서는 대체제가 없어요. 제가 사용하는 RTX 4070 모바일만 해도 인퍼런스 시에 80와트 넘게 사용하는데, M4 프로는 SoC 전체가 20와트 내외만 먹으니까요. 램도 통합 메모리라서 큰 모델들도 일단 돌아는 가고, 토큰 생성 속도도 의외로 그렇게 느리진 않습니다. SSD 도 빨라서 여러 모델 올렸다 내리는 속도도 상당히 빠릅니다.

다만 윗 분들이 지적하셨듯이 이게 서버로 만들것을 고려하면 별로일 것 같네요. 아무리 통합 메모리라고 해도, GPU 깡성능과 메모리 대역폭이 너무 떨어집니다.

[Zr4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Zr40 님께
2025.03.18. 13:41

제 말이 이거입니다. 사실 학습은 아직도 쿠다가 맞긴 한데 추론에서는 얘기가 다르죠. ㅋㅋ 물론 어제 위에도 적었지만 개인이 구할 수 있는 범위 내입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IME:TRAVELER
best TIME:TRAVELER
2025.03.18. 10:46

개인의 취미 수준에서나 가성비인거지 그걸로 서비스 하기는 무리죠

그랬다면 애진작에 H100 구하려고 혈안이 아니라 맥 구하는데 혈안이었겠지요

[TIME:TRAVE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TIME:TRAVELER 님께
2025.03.18. 13:42

어제 단 윗 댓글 참고하세요. 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ixel
Pixel
2025.03.18. 12:18

메모리만 크다고 다 될거였으면

엔비디아보다 저렴한데 메모리 더 많이주는

라데온이 더 많이 팔렸겠죠 MI300 같은거

쿠다가 문제고 또 애플실리콘에는 텐서코어같은

행렬곱 연산기 없어서 느려터져서 못씁니다

그냥 LLM을 올릴 수만 있다는거지

제대로 활용은 별개의 문제죠

[Pixe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Pixel 님께
2025.03.18. 13:43

학습이야 당연히 쿠다가 더 빠른데 추론은 결국 메모리 큰게 더 영향이 커서 그런 게 아닐까 싶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yan747
ryan747
2025.03.18. 13:21

느려서 가성비 아닙니다. 돌리는거 자체가 목표이면 가성비 일수도 있겠지만, 시간이 돈인 프로 입장에서는 그렇지 않죠.

[ryan747]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ryan747 님께
2025.03.18. 13:43

당연히 개인이 돌리는 범위 내죠. ㅎㅎ;; 어제 댓글에서도 적어놨습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성능충
성능충
2025.03.18. 14:41

로컬 LLM 돌리려면 맥 스튜디오가 제일 가성비 맞을텐데 왜 학습과 대외 서비스 상황을 끼워넣어서 평가절하 하시는지 의아하네요

[성능충]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성능충 님께
2025.03.18. 14:48

왜냐면 M3 울트라 512기가 기준으로도 3090 2대 묶은거보다 토큰 생성속도가 떨어지거든요. 가격 차이는 뭐 말 안해도 아실거고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성능충
성능충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4:52

3090 2개 묶어도 VRAM 용량 문제로 제대로 LLM 구동이 안되지 않나요? 그걸로도 된다고 하면 4090으로 LLM 돌려보고 싶어서 몸 비틀었던 사람으로서 어떻게 하는건지 몹시 궁금합니다.

[성능충]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성능충 님께
2025.03.18. 14:58

딥시크 70b 정도 모델은 2장 쓰면 충분히 돌립니다. 24*2인데 왜 못돌리나요... 

물론 훨씬 큰 모델은 못하긴 하는데 이거는 취미의 영역을 이미 벗어난 것 같고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Zr40
Zr40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01

말씀대로 3090 2개 묶는게 토큰 생성 속도로는 가성비이긴 한데, 제 경험으로는...
1. 다수의 GPU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델을 쪼개고 (model, data parallel) torch.distributed, NCCL 와 같은 GPU 간 통신 라이브러리를 추가로 활용해야 함
2. 일반적인 마더보드에서는 PCI-E 레인개수 문제로 한쪽 GPU가 절름발이가 되기 쉬움
3. 폭증하는 전력 소모량 (3080 에서 인퍼런스 시 350W 가량 소모)
에 따라서 고려할 사항들이 자꾸 붙기 시작합니다. 나는 그런거 모르겠고 그냥 LLM 추론기능만 가지고 코딩, 챗봇 기능 등등만 사용할거다! 하면 그냥 뇌 비우고 하드웨어 하나 사면 모든게 끝나는 맥이 편한 면이 있긴 합니다.

[Zr4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Zr40 님께
2025.03.18. 15:03

편의성 면에서는 그렇죠. 그런데 경험적으로 취미생활을 완성품으로 시작하면 너무나 빠르게 흥미가 식더라고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Zr40
Zr40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5:06

ㅎㅎ 그런 그렇죠. 그러니 저처럼 맥북 프로 + 원격 우분투 RTX 머신 조합으로 둘다 잡으시면 됩니다?!

[Zr4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Zr40 님께
2025.03.18. 15:13

근데 주변에 맥 미니 5대 썬볼로 연결해서 분산해서 추론하는 분도 계시긴 하던데 이건 또 어떠려나요? ㄷㄷ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ransformer
Transformer WayBack 님께
2025.03.18. 15:20

썬볼 인터페이스 병목으로 성능 처참합니다. 돌아간다에 의의를 두는 수준이죠.

[Transfor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Transformer 님께
2025.03.18. 15:25

썬볼 4/5 정도면 CPU에 직결이라 병목은 잘 모르겠네요. 어차피 병목은 랩탑에서 유독 심했었고 5 기준 64Gbps 정도에 맥 미니로만으로 405B 확장도 되면 얘기가 다르지 않나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ransformer
Transformer WayBack 님께
2025.03.18. 15:32

대역폭 말고 레이턴시요. TP를 정말 잘 설계하지 않는 이상 NVLink급도 병목은 생깁니다.

[Transfor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Transformer 님께
2025.03.18. 15:37

레이턴시도 그렇고 대역폭 모두 구분해서 적은 것 맞습니다. 썬볼 레이턴시가 1/2 까지는 CPU 직결이 아니었는데 3/4 부터 직결로 들어가서 레이턴시 많이 해소됐을 거에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WayBack 님께
2025.03.18. 15:37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ransformer
Transformer WayBack 님께
2025.03.18. 15:40

https://youtu.be/GBR6pHZ68Ho

직접 보고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병렬화로 생기는 병목은 썬볼 "따위"로는 해결이 매우 힘듭니다.

[Transfor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Transformer 님께
2025.03.18. 15:43

이거 애저녁에 봤습니다. ㅎㅎ 병목이 없다고는 말 못하는데 저것도 1/2 시절에 비해 많이 해소된거에요. 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엑시용용이
엑시용용이
2025.03.18. 18:03

추론용으로 개인이 돌려볼까 하는 목적이면 꽤 매력적인 선택지더라고요. 물론 엔비디아가 제일 좋긴 할텐데 고용량 vram 엔비디아 글카 가격들이 우주돌파를 해서 쩝

번외로 메테오레이크 기반 NUC에서 시도하는 경우(...)가 있긴 했습니다.

https://youtu.be/xyKEQjUzfAk?si=z9eOz9XlZ8vmMrdb

[엑시용용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엑시용용이 님께
2025.03.18. 15:28

이게 맞아요. ㅎㅎ 아까부터 이 얘기 중이었는데 못 받아들이시는 분들이 꽤... ㅠ 맥 미니 5대로 405B 돌리는 건 말이 이미 안되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링크
김링크 엑시용용이 님께
2025.03.18. 15:42

이 용도로도 이미 충분히 가성비 좋은 대체품이 나왔습니다.

AI MAX+ 395에다가 128GB달린 보드가 $1699인데 여기에 나머지 부품 대충 끼워서 조립하면 됩니다.

(귀찮으신분들을 위한 완제품도 있습니다. 1TB에 윈도우 넣으니 대충 $2316 나오네요)

https://frame.work/products/framework-desktop-mainboard-amd-ryzen-ai-max-300-series

성능도 제법 잘 나오는듯 하구요.

AMD-Ryzen-AI-MAX-395-APU-Strix-Halo-vs-RTX-5080-AI-Benchmarks-_7.png

맥 스튜디오 젤 싼거 $1999에 램 36GB인데

128GB를 넣는 순간 $3499까지 오르다보니 가성비와는 점점 멀어지는군요.

[김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엑시용용이
엑시용용이 김링크 님께
2025.03.18. 15:56

아 프레임워크가 최근에 CES에서 보인 제품이네요

챗봇 서버가 하나 마렵긴 한데 오...

[엑시용용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엑시용용이 님께
2025.03.18. 17:25

근데 저게 내장 그래픽이긴 한데 통합 메모리는 또 아니더라구요. ㅎㅎ; 용량이 크긴 크지만 그 이상 옵션은 또 없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7:20

통합메모리 맞습니다. 대체 누가 아니라고 하던가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20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30

통합 메모리 맞나요? 눈을 씻고 찾아봐도 Dedicated VRAM이라고만 보이는데요? 저건 내장 메모리에서 VRAM 할당해서 주는 방식입니다. 맥 통합 메모리하고 다른 물건이에요. 저게 통합 메모리면 여태까지 나온 내장 그래픽 노트북들은 전부 다 통합 메모리에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7:33

ㅎㅎ...

내장메모리에서 vram 선할당도 가능하고 그냥 자동으로 할당되게도 가능합니다. 실제로 바이오스 들어가면 해당 옵션은 UMA Frame Buffer Size 라고 되어있는데요, UMA는 Unified Memory Access의 준말이랍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37

그건 Unified가 아니라 Uniform이에요. 그리고 그걸 통합 메모리로 안 부릅니다. 엔당/애플 Unified Memory 다시 보고 오세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7:46

https://www.amd.com/en/resources/support-articles/faqs/PA-280.html
정말 아무런 근거 없이 우기기만 하는거 쉽지 않네요. AMD 기술문서에서 이미 unified라고 명시하고 있고요, 애플의 통합 메모리는 엔비디아 기술문서의 통합 메모리랑 다른 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같다는 근거가 무엇인가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50

https://en.m.wikipedia.org/wiki/Uniform_memory_access

원래 명칭은 Uniform이 맞고, 그리고 엔당/애플 Unified Memory가 같다는 게 아니라 검색하면 다이어그램 뜹니다. 먼저 말씀해주신 방식은 영역을 나눠서 시스템 램+VRAM 이렇게 가는 구조면 Unified Memory는 이런 구조입니다.

 

IMG_9094.png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7:51

아... 이러실 줄 알았습니다. 

IMG_0012.jpeg

안타깝게도 애플은 자기네가 UMA라고 이야기하고 있어요. 엔비디아의 유니파이드 메모리는 아예 다른 문젭니다 ^_^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8:01

이 사진 올라올 줄 알았습니다. 쟤네 영상은 저렇게 나갔는데 엔비디아 메모리 하고 거의 흡사합니다. 통합 메모리 맞아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7:52

아 그리고 제가 액세스라고 오표기해서 뭔가 착각하신듯 한데 아키텍처입니다.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53

그리고 UMA에 쓰인 단어가 Unified이긴 한데 엔당하고 애플이 얘기하는 Unified Memory하고는 다른 개념입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WayBack 님께
2025.03.18. 17:53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54

그리고 AMD 링크 확인해보니 이건 Access가 아니라 아키텍쳐네요.

 

1.3. 공유 메모리 아키텍처 (Unified Memory Architecture)[편집]

 

Unified Memory Architecture의 약자로, 균등 메모리 접근(Uniform Memory Access)과 같은 머릿 글자이지만 메모리 관련 용어라는 공통점 말고는 의미가 전혀 다르다. 서로 다른 복수의 멀티프로세서 혹은 멀티코어 프로세서들이 하나의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는 구조로 이렇게만 설명하면 잘 와닿지 않지만, 이미 널리 채택되었던 메인보드에 탑재된 온보드 그래픽이나 CPU 내장 그래픽의 메인(시스템) 메모리 공유 기능을 떠오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부분 확인하세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7:54

네, 그게 그거예요. Uniform Memory Access는 병렬컴퓨팅에서 사용하는 용어거든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ㅎㅎ

IMG_0013.jpeg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56

근데 윗 댓글에도 적었지만 UMA하고 엔당하고 애플이 쓰는 UM은 개념 자체가 다릅니다. VRAM 영역이 떡하니 존재하는데 이게 어떻게 통합 메모리에요? 통합 메모리에서는 그런 구분 자체가 없어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8:05

아니 ㅋㅋ 그냥 관둘래요. 하...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8:08

ㅋㅋㅋㅋㅋㅋ 진짜 저도 할 말이 없네요. 마지막으로 답니다. 그 통합 메모리에서는 CPU가 GPU 데이터 바로 가져오는 것도 되지만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저건 그냥 Shared 메모리에요.

 

이걸 엔당하고 애플 처럼 통합 메모리라고 하실 거면 다른 글에서 하시길 바랍니다.

 

IMG_9096.png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gyarország
Magyarország WayBack 님께
2025.03.18. 17:33

그리고 그 내장 그래픽 노트북들 전부 통합 메모리 맞는데요? 

[Magyarorszá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agyarország 님께
2025.03.18. 17:42

다시 정리해서 알려드리면 Unified Memory Access가 아니라 Uniform Memory Access고, 일반적인 내장 그래픽에서 램 공유해서 VRAM 할당하는 방식은 통합 메모리 아닙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41018 수정 file admin 18.08.04 133708 13
핫글 미니 애플페이 신한카드 끝내 4월을 넘기려나보네요... [12] Stellist 25.04.24 1037 11
핫글 미니 카메라킷에 진심인 회사가 있네요ㅋㅋㅋ [10] file choijm0715 25.04.24 1184 10
핫글 미니 오... 이제 알았습니다. 마이필터 기능 [4] 빅코 25.04.24 784 9
227911 미니 One ui 7 2차 베타 문제가 있는거 같은데... [4] NucKKi 25.03.18 969 2
227910 미니 갤럭시 A16, 엑스커버 5 펌웨어 업데이트 file 운김 25.03.18 356 0
227909 미니 폴드 베타에서 충전시 배터리 아이콘에 '충전 중' 나오던거 사라졌네요 [15] Mint 25.03.18 861 0
227908 미니 모바일 네이버 홈 화면 광고 없애는 법? [16] file Alternative 25.03.18 1745 7
227907 미니 skb는 포트포워딩 포트를 막는군요? [13] 룬룬 25.03.18 1549 1
227906 미니 통화 텍스트 변환 현실 [15] file 씨샾 25.03.18 1301 3
227905 미니 잡담: 모 기자의 삼성전자에 대한 촌평 [8] file FriedEggGalaxy 25.03.18 2626 7
227904 미니 ONE UI 7.0 에서 스팸전화차단 [15] file pooqol 25.03.18 2171 0
227903 미니 Y700 3세대, 미국서 50달러 인상 AquStar 25.03.18 654 1
227902 미니 마소 번역은 여전하군요 [8] file zxc122 25.03.18 1906 22
227901 미니 왜 빠지냐 싶은 것들은 결국 티가 나서-더라고요 [2] [성공]함께크는성장 25.03.18 1767 6
227900 미니 S25 is already behind S24 Beta [3] file iceuniverse 25.03.18 1432 5
227899 미니 인텔 1.8나노 기사 이거 진짜일까요? [5] LTE 25.03.18 987 1
227898 미니 삼성은 항상 참 욕먹는데 재능이 있는것 같아요 [1] zxc122 25.03.18 850 6
227897 미니 One UI 정식 업데이트에 대한 뉴스룸이 올라왔군요. [11] 두꺼비감자칩 25.03.18 1495 3
227896 미니 나우 브리프 적용은 결국 물건너갔네요 [13] ia297 25.03.18 1912 2
227895 미니 속보)One ui 7 4월 7일부터 정식업데이트 실시 [7] 함우 25.03.18 5756 7
227894 미니 슬림 폰케이스가 사고싶습니다.... [4] file 닉포토 25.03.18 800 2
227893 미니 중고시장 감성원툴폰(?) 끝판왕 [16] file TSMCvsCN 25.03.18 1911 6
227892 미니 상태 안좋은 S22U 벤치는 [5] file 북극곰플 25.03.18 654 2
227891 미니 S24 베타 5차 애니메이션이 개선된 느낌이네요 Q815S 25.03.18 829 1
227890 미니 국내 폴더블시장이 3~4 이후로 정체된이유중 내구성도 큰거같아요 [12] flair 25.03.18 1958 4
227889 미니 갑자기 인터넷 먹통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절롱 25.03.18 837 2
227888 미니 상태 좋은 ap가 들어간 S22는 [5] file 빅코 25.03.18 1527 6
미니 잘 몰랐는데 LLM에서 맥이 완전 가성비군요...? [85] WayBack 25.03.18 2151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확장 변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