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인텔 기반이니 C1 모뎀은 무조건 다 안좋아야 돼”
- ryan747
- 조회 수 1613
- 2025.03.20. 20:35
라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보이는데, 원문을 읽기는 하고 자기만의 생각을 배설하는건지 의심이 많이 됩니다.
'원문' 근거로 알려드립니다:
1. 5G/LTE 관계없이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하위 10%에서 아이폰 16e가 바닐라 모델보다 더 나은 평균속도를 제공하는건 실사용자 입장에서 하방이 더 탄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퀄컴 모뎀은 끝까지 5G 잡아준다"가 도대체 무슨 강점인가요, LTE 잡아서 속도 더 나오는 환경에서요.
2. 평균이나 상위 10% 속도값은 CA 관련 기술이 더 발전한 퀄컴 모뎀이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당연한 결과로 보입니다.
3. "약전계 상황에서 C1은 아예 신호를 놓아버리기 때문에 하위 10% 속도 비교는 의미없다"도 상당히 쓸데없는 주장입니다. 우선 1차적으로 유의미한 샘플 사이즈로 약전계 상황에서 비교한 테스트한 결과값도 없을뿐더러(이거야말로 애플만이 알겠죠), 저 주장이 맞다고 치더라도 모뎀 절대 성능이 떨어지면 하위 10% 속도 측정값이 떨어져야 합니다. 뭐 애플에서 만든 모뎀은 신통방통해서 약전계 상황에서는 신호를 무조건 놔버리고, 그거보다 '약간 덜 약전계'인 상황에서는 속도가 갑자기 치솟나요?


C1 칩이 스펙시트 상으로도 열위가 확실하고, 테스트 환경에서도 5G 약전계 환경에서 열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건 피하면 안 되는 사실이죠.
다만 품질 좋은 LTE망이 존재하는 현재 상황에서 5G 약전계가 중요한지는 의문이 들긴 합니다.
이미 5G 망에서 몇십Mbps가 나오는 상황에서는 어떤 칩이든 LTE가 속도/전성비/응답속도/안정성 등 모든 면에서 우위라는 것도 확실하니깐요.
세상 어떤 사용자가 5G가 모든 면에서 열위인 상황에서 LTE를 쓰지 않고 5G를 끝까지 유지할까요.
현재뿐 아니라 미래를 보더라도, 이미 대다수의 국가에서 LTE를 재난 통신망 규격으로 확정지었기 때문에 한동안은 LTE 망의 품질이 현재의 3G처럼 심각하게 나빠지진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 전체 과정에서 16e의 5G <-> LTE 전환 알고리즘을 불투명하게 만든 애플의 행보는 비판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성능에 색안경 끼고보긴하는데..
이젠 쓸만한거 같다가 주류인듯하고
퀄컴의 무선특허를 침해하였는가가 관전 포인트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