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구글 지도 반출 결정 코앞이니 네이버 대응
- A17PRO
- 조회 수 2692
- 2025.05.16. 12:35
네이버는 네이버 플레이스를 통해 등록된 식당이나 미용실, 상점 등의 예약·주문·결제 서비스를 지원한다. 숙소를 예약하거나 공연, 전시회를 예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이버 또는 네이버 지도 앱을 통해 예약과 주문, 결제까지 한 번에 이뤄지는 식이다. 그간 내국인들만 이용할 수 있던 이 서비스를 외국인 관광객 대상으로도 확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이버 지도와 연동되는 간편결제 서비스 '네이버페이'가 해외에서 발행된 신용카드를 간편결제 수단으로 등록해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제 수단을 등록할 때 필요한 본인인증 절차가 단기체류 외국인들에게는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이 과정을 개선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중이다.
--------------------------------------------------------------------------------------------------------------------
사실 구글 맵보다 저게 컸죠ㅋ
본인 인증ㅋㅋ
본인 인증만 없애면 외국인 관광객 몇 백만은 더 받을 수 있는데 정부가 어거지로 고집하는데 언제까지 할건지..
그나마 구글 맵 얘기 나오니 슬그머니 개선은 하는데..
90일 이상 체류 외국인은 외국인 등록증 나온다고는 하는데 2박 3일 ~ 6박 7일 이렇게 있는 관광객들에게 외국인 등록증???
그 욕먹는 K-esim도 실상 보면 본인 인증과 같죠.
다른 나라는 보이스 피싱이 없어서 그걸 안 하나???




















사대주의는 외국 것이라면 무조건 우월하다고 믿는 사고방식을 뜻합니다. 그런데 지금 논의되고 있는 것은 단순히 구글 맵이 한국에 들어와 네이버 지도와 경쟁할 수 있게 하자는 주장일 뿐입니다. 이것을 사대주의라고 주장하시는것은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구글 맵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이유는 사대주의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접근성과 편의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안보핑계로 외국 서비스들이 기본적인 서비스조차 온전히 할 수 없도록 막아놓고, 이런 문제제기를 사대주의로 몰아가는 건 본질을 왜곡하는 주장입니다. 오히려 공정한 경쟁이 차단된 상황에서 국내 서비스만 반강제로 쓰도록 강요하는 것이야말로 비판받아야 할 일 아닌가요?


네이버 지도와 경쟁하고 있는 지도 서비스는 이미 카카오맵이 있습니다, 한국은 지도 독점서비스가 아니에요.
카카오 지도나 네이버 지도 모두 국내 지도 서비스 앱/웹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 또는 더 낙후된 서비스라는 기본적인 생각이 바닥에 깔려있는 생각 아닌가요?
글로벌 기업의 전세계에서 모두 통용되는 서비스, 물론 뛰어납니다. 하지만 그런 글로벌 기업들은 개별 국가들 주민의 통상적인 인식이나 상식과 동떨어져 있는 경우도 많아 같은 카테고리 안에서라면 자국 앱들을 해당 국가 주민들이 주로 사용하죠.
공정한 경쟁, 말이야 좋네요. 보호무역 일변도로 가는 현대에서 공정경쟁이 어딨답니까

한국에 카카오맵이 있다는 점은 전혀 구글 맵에 대한 불공정한 기능 제약을 정당화하지 못하고요
논점은 국내 서비스의 품질 자체가 아니라, 규제로 인해 구글 맵이 제한되어 사용자 선택권이 침해된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자국서비스가 좋으면 주민들은 자국서비스를 사용하겠죠 그건 사람들이 자유롭게 선택할일입니다. 그런데 해외 서비스들은 안보핑계로 다 틀어막고 자국서비스만 반강제하는것이 정상인가요? 저는 국내 서비스가 낙후되었다고 주장한적 없습니다.
보호무역 말씀하셧는데 이미 미국은 고정밀지도 반출이 가능하고요 지금 전세계에서 중국과 한국만 지도서비스가 제대로 되고있지않습니다

보호무역은 단순히 서비스를 금지하는 표면적인 것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트럼프의 관세 협박, EU의 빅테크 때리기 모두 일종의 보호무역의 일종이죠
EU가 (주로) 미국의 빅테크를 공격하는 이유, 그리고 그 벌금을 EU에게 납부하게 만드는건 유럽연합에 빅테크를 대체할만한 테크 기업/앱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약 유럽에 구글과 애플을 대체할만한 강력한 테크 기업이 있었다면 유럽이 미국의 빅테크기업만 골라서 공격하지 않았겠죠. 이 역시 일종의 보호무역이고 완전한 공정이 아닙니다.
직접적인 금지만을 보호무역으로 친다면 뭐 그냥 구글 하라는대로 다 해주고 대신 유럽처럼 아무 이유나 붙여서 한국 정부에 벌금 내라고 하면 되겠죠





저거뿐만 아니라 배달앱이나 숙소예약이나 본인인증 없으면 뭐 아무것도 못하죠 우리나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