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 스팀OS가 윈도우를 밟아버리고 있습니다
- Alternative
- 조회 수 3367
- 2025.05.27. 13:22
https://youtu.be/CJXp3UYj50Q?si=q3fhksgjidMM78V3
이번에 레노버 리전 고 S의 스팀OS Ready 버전이 나오면서 동일한 기기간에 공식 OS간 대결이 성사되었는데요.
예외적인 게임을 제외하곤 최소 10% 이상 스팀OS가 빠릅니다.
또한 더 충격적인 차이가 나는 부분은 저전력 퍼포먼스인데요. 인디 게임을 돌릴 때 윈도우 버전은 3시간도 못 간 반면, 스팀OS 버전은 6시간(!)이 넘는 배터리 타임을 보여 주었습니다. AAA급 게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30% 가량 우위), 스팀OS쪽이 퍼포먼스가 더 좋다는 걸 생각하면 전성비 차이는 확연합니다.
이 정도면 호환성 차이를 생각해도 스팀OS로 안 가는 게 큰 손해네요. 부디 리전 고 S가 많이 팔려서 앞으로 Powered by SteamOS 기기가 더 많아지길 바랍니다.
마소는 윈도우도 게임용 버전을 따로 내놓던가 정신 좀 차리시고요.








https://www.reddit.com/r/linux_gaming/comments/1j12dmd/official_steamos_on_my_desktop_pc/
사실 그냥 그 리전 Go 용 스팀 OS 이미지를 그대로 쓰면 된다고 합니다.
안될게 없죠. 어차피 Arch Linux Based OS이니..
근데
이런게 있다고 열심히 홍보하네요 저 링크에선

Bazzite라고 커스텀된 스팀OS 이미지가 있습니다. 제가 엘라이에 사용 중인 이미지입니다. 왠만한 하드웨어는 다 지원해요. 실제로 미니PC 만드시고 Bazzite 설치해서 콘솔로 쓰시는 분도 있습니다.















스팀덱 유저지만 배터리 부분은 좀 갸웃하긴 하네요.
근데 스팀OS 자체는 좋긴 합니다.
다만 요새 업데이트 하고나서 갑자기 아크 리눅스 Git 설치가 안돼요.
사실 그 외에도 넷플릭스 4K 불가(오페라에서만 1080P 가능),
카카오톡과 기타 윈도 앱들 호환성 문제(리눅스 구동은 되나 다소 느려지거나 불편),
모니터에 따른 DPI 별도 조정 불가,
전력 문제 때문인지? 허브 독 자꾸 연결 끊기는 문제만 개선되면 좋겠네요.
스팀덱2는 USB-C 단자 2개 박고 나와야 할 듯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팀OS에서 윈도 엑스박스 게임...만 돌아가면 완벽할 것 같습니다.
(불가하겠지만)













뭐 이런저런 말이 많더라고요 반반 이라는 리뷰도 있고..
또한 Linux Driver의 최적화가 더 좋아서 그렇다 는 말도 있고..(이건 사실 맞을겁니다)
다만 스팀OS에서는 그 커널기반 보안프로그램 문제가 가장 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