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AquStar

미니 애플, 스포티파이 등 무료음악 서비스를 비판

  • AquStar
  • 조회 수 1652
  • 2025.06.17. 17:54

애플 뮤직, TV+, 스포츠 컨텐츠 등의 사업을 통괄하는 글로벌 컨텐츠 부사장 올리버 슈셔는

지난주 전미음악출판협회 회장과의 좌담회에서 음악산업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면 무엇을 바꾸고 싶냐는 질문에

 

"애플은 음악을 예술로 여기고 있으며, 그러한 예술작품을 무료로 나누는건 말도 안되는 일이고 정말 끔찍한 실수" 라고 대답했습니다.

 

"무료 요금제가 없는 유일한 글로벌 서비스인 애플 뮤직은 무료 요금제를 영원히 앞으로도 제공할 계획이 없다" 면서

딱히 경쟁사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스포티파이, 아마존, 구글 등 무료 광고 요금제를 서비스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싸잡아 비판하였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최근 스트리밍 시장으로 넘어가면서 수익성이 감소된 많은 전미음악출판협회 참가사들의 열렬한 찬사를 받았습니다.

댓글
52
NucKKi
3등 NucKKi
2025.06.17. 17:57

부정하진 않지만,,

무료 요금제가 생김으로 써 더잠재적인 수익이 더 생길 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NucKK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irFry
best StirFry
2025.06.17. 18:01

mp3 파일 무단 복제하는거 막으려고 아이튠즈 만든 애들이라

진심으로 저렇게 생각하는거라고 봐야...

[StirFr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ieNaTiZ
AlieNaTiZ
2025.06.17. 18:08

애플이 이해가 안되는건 아닌데, 수익성 목적에는 스포티파이가 맞긴 해요.

[AlieNaTiZ]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17PRO
2025.06.17. 18:12

엌ㅋㅋㅋㅋ 웃고 갑니다.

그런데 저 논리 한국 음저협도 그대로 하던데ㅋㅋㅋㅋ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치즈스콘
치즈스콘
2025.06.17. 18:13

불법스트리밍은 모르겠지만

광고요금제는....

[치즈스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17PRO
2025.06.17. 18:17

[최근 스트리밍 시장으로 넘어가면서 수익성이 감소된 많은 전미음악출판협회 참가사들의 열렬한 찬사를 받았습니다.]ㅋㅋㅋㅋㅋ

얘들이 착각하는게 그 소비자들의 돈은 하늘에서 떨어지는게 아니라는거죠ㅋㅋㅋ

뭔 한국 음저협이나 미국 음악 출판 협회들이나 소비자들은 하늘에서 돈 떨어져서 비싸게 들어주는줄 아나ㅋㅋㅋ

레진 코믹스 시절 독자 까던 애들이나 다를게 없는

왜 문화 사업 한다는 애들은 지들만 고고한줄 알고 진짜 현장 노동이던 사무직이던 해서 돈 벌어서 소비해주는 소비자는 바보로 알까요ㅋㅋㅋ

진짜 빡쳐서 한 몇 개월만 안 들어주고 광고 모델인거 안 사주면 기어야 할 애들이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17PRO
2025.06.17. 18:21

그리고 예술 작품을 무료로 나누는게 말도 안 된다???

바젤 시립 미술관 : ???

무려 16세기 경 시립 미술관이 되어 수많은 화가들 미술 작품이 공공에게 전시 되는데 말이죠.

바젤 시립 미술관 이전에 예술은 부자들의 전유물이었죠.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best 미국인턴
2025.06.17. 18:24

웃긴 논리라고 치부하기엔 애플이 음악에 상당히 진심이고 MP3 불법 복제를 퇴출시간 아이튠즈 스토어까지 만들었었으니까요. 

충분히 할 수 있는 발언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비자야 싼값에 음악즐기면 좋겠지만 창작자 입장에서 애호가 입장에서 사람들이 음악을 공짜라고 생각하고 무료서비스로만 즐기게 되는게 달갑진 않습니다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best Stellist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30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라고 저작권자에게 돈이 돌아가지 않는 공짜 자선사업이 아닙니다...

 

광고 보면 스트리밍 업체에서 그 돈으로 댓가를 지불하는 거에요... 

 

유료 가입자 1명이 음악 듣는것보다 무료 스트리밍 100명이 듣는것이 저작권자에게 돈이 더 돌아갈수도 있습니다.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best 미국인턴 Stellist 님께
2025.06.17. 18:33

그건 그냥 박리다매잖아요. 1회 재생당 돌아가는 돈은 유료가입에 비해 현저히 적지 않나요?

저는 음악이라는 저작물이 정당한 가치를 지불하고 이용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광고요금제는 그걸 깎아내고 있는거구요. 

 

너는 그럼 여태 음악 어떻게 들었어 라고 물어보신다면 애플뮤직 런칭전에는 CD를 사서 리핑해서 듣거나 MP3 개별구매로 듣고 애플뮤직 미국 첫 런칭때부터 지금까지 쭉 쓰고 있습니다.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신한대알바
best 신한대알바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33

그 가치를 왜 본인이 판단하시는지...

스포티파이가 불법으로 무료배포하는것도 아닌데 말이죠 

[신한대알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17PRO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33

그 박리다매가 규모의 경제를 만드는데요??

그게 싫으면 소수가 매니악하게 즐기면서 그냥 중소 규모에서 만족하면 되요.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best 미국인턴 A17PRO 님께
2025.06.17. 18:35

예~ 뭐 편하게 생각하세요. 전 무료 요금제가 절대 긍정적인 방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17PRO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43

그 박리 다매가 싫으시면 과거처럼 모차르트나 일부가 부자집에서 연주하던 시절로 돌아가면 됩니다.

사실 그게 예술가들이잖아요??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best Stellist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35

말씀하신 논리대로라면, 스마트폰 앱들도 광고 기반의 무료 앱들은 사라지고 전부 유료 앱이 되어야 겠네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Sparrow Stellist 님께
2025.06.17. 18:37

예술하는 분만 창작자가 아니죠 ㅎㅎㅎ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best 미국인턴 Stellist 님께
2025.06.17. 18:41

전 그 끔찍한 광고들이 사라지고 퀄리티 좋은 유료앱으로만 채워진다면 찬성입니다. 

 

덧붙이자면 전 모든 가치있는 유무형의 것들은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는게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광고니 뭐니 하면서 무료로 이용하는게 아니라요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best Stellist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43

위에도 같은 내용을 써서 결국 평행선만 달리게 될 것 같은데, 광고 기반 서비스는 무료 서비스가 아닙니다. 시간을 들여 광고를 보는것고 결국 댓가를 지불하는 거에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Stellist 님께
2025.06.17. 18:47

광고기반 서비스는 무료서비스가 아니죠. 하지만 광고 플랫폼이 사용자로 하여금 이 서비스는 무료야 라는 식으로 착각하게 만들면서 진짜 퀄리티 있는 유료앱들이 설자리를 없게 만든거죠. 전 그래서 모든 방면의 광고기반 무료 서비스가 이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서비스의 가치를 인식할 수 없고 소비자가 저평가하는 방향으로 유도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best Stellist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50

광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이건 무료라고 착각하게 될 거라는건 타인을 무시하는 늬앙스의 너무 성급한 일반화인 것 같습니다만..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17PRO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56

그런데 그 컨텐츠의 가치는 누가 정하나요??

소비자는 바보가 아닙니다.

유료라 해도 터무니 없는 가격이다 싶으면 안 사거나 도리어 어둠의 경로를 이용하죠.

그 가치의 가격을 절묘하게 설정해서 대박난게 스팀 아니던가요??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A17PRO 님께
2025.06.17. 18:58

그러니까요 그 가격은 잘 설정해야죠. 

제가 언제 무턱대고 비싸게 받으라고 했나요?

다만 광고 무료 요금제는 소비자의 평균적인 가격 저항선을 현저히 낮추기 때문에 문제라는겁니다.

그리고 스팀에 광고무료 게임 서비스가 있던가요? 왜 스팀이 나오는지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58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Yoneki
Yoneki 미국인턴 님께
2025.06.18. 19:04

유튜브 기본으로 보는것도 광고기반의 서비스인데요....
지금 유튜브는 업계 최강 넘사벽 갓오브갓이 되어있는데....
 

그래서 사람들이 프리미엄 아무도 가입안하고 
유튜브 서비스를 사람들이 저평가 중인가요???

[Yonek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신한대알바
best 신한대알바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44

세상이 본인 기준으로 흘러가기엔

가난하고 돈아끼는 사람들이 너무 많네요 ㅎㅎ

[신한대알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신한대알바 님께
2025.06.17. 18:59

전 그렇게 이야기한 적도 없고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소프트웨어, 예술 저작물 등에 광고 기반 무료가 없어지고 정당한 가치를 지불해야한다고 하는게 니들은 원하지 않으니까 가난하고 돈아끼는 놈들이야! 라고 하는게 되나요?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59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17PRO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50

그럼 당장 미코부터 유료로 이용하실건가요???

지금 하고 계시는 인터넷부터 광고 기반 무료인데요???

애초 인터넷이 지금과 같이 확산된게 광고 기반 무료라서입니다.

광고 차단이 그래서 문제가 되는거구요.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국인턴
미국인턴 A17PRO 님께
2025.06.17. 18:55

광고제거하고 유료화하면 가격과 미코가 저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비교해서 사용할지 안할지 선택하겠죠. 

그리고 둘중 선택하라면 광고없는 유료를 선택하겠습니다. 

[미국인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ransformer
best Transformer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9:20

창작자들이 괜찮다는데 본인이 왜..

스포티파이가 무슨 정재계에 압력을 행사해서 왜곡된 시장 구조를 만들고 창작자를 착취했나요?

 

그런게 아니면 무료 서비스로 받는 돈이좋으니까 음원 공급하는거잖아요.

[Transfor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best Sparrow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46

가치에 대한 비용이 꼭 달러, 원화 형태로만 존재하는 게 아닙니다.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eux11
deux11 미국인턴 님께
2025.06.18. 01:40

저도 15년 이상을 꼬박꼬박 음원 사서 듣던 입장에서, 지금처럼 스트리밍으로 광고와 같이 듣는게 익숙하지는 않지만, 세상은 음악을 이렇게 듣는 것이 일반적인 시대로 바뀌었더라구요.  무료 스트리밍 방식이 예전의 물리적 매체나 음원에 비해, 파급력도 더 크고 더 큰 비즈니스를 만든다고 본 듯 합니다. 어쩌면 소비자들과 플랫폼 사업자가 접근성을 이유로 창작자들의 비즈니스 방향을 강제했다(?)라고 볼수도 있겠지만, 덕분에 소비자 입장에서 접근성이 훨씬 좋아진것도 사실이고, 이걸 잘 활용하는 창작자들도 많고요. 

[deux1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17PRO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33

애초에 한국은 광고 보고 무료가 저작권료 더 비쌉니다.

그리고 싼 값에 즐기는게 싫다면 과거처럼 일부만 즐기는 소수의 문화로 전락하는거죠.

자동차 산업이 진짜 대형 산업이 된건 일부가 줄기던 차량 시절을 벗어나 포디즘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이후라는걸 보면요.

1,000명이 10만 원짜리 앨범 하나 사주는 시절로 다시 갈거냐 5,000원이지만 1,000만 명이 즐기는 경제 규모로 갈거냐는 뭐 음악인들이 알아서 하겠죠ㅋ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best Sparrow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34

사실 비즈니스 모델만 잘 굴러간다면 무료나 유료나 아티스트 입장에선 크게 상심할 일은 아니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히려 유명하지 않은 인디 아티스트들은 접근성이 더 좋아질 수 있는 광고 기반 무료 정책에 환영할 듯 하네요.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붕붕드링크
미붕붕드링크 Sparrow 님께
2025.06.17. 18:43

개인적으로 광고보고 무료같은것도 전부 아티스트(저작권자, 권리보유자)들과 저작권료 등의 협상은 전부 마치고 하는거라고 생각되거든요. 

 

만약 대부분의 아티스트나 그 권리를 위임받는 곳에서 광고보고 무료같은걸 싫어하고 거부했다면 광고보고 무료같은게 아예 나오지 못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유튜브 뮤직도 한국 서비스 초기에 국내 음원 유통사들의 정산 방식이나 계약 조건에서 이견이 있어서 저작권 계약 문제로 국내 가수들의 음원이 제공되지 않았던 일이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미붕붕드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est BarryWhite 미국인턴 님께
2025.06.17. 18:41

요즘 시대에 음악을 공짜라고 생각하고 즐기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창작자 입장이라니, 본인이 노력한 것에 대한 가치를 존중받고 싶어하시는 것은 이해합니다.

그러나 유튜브에 올라오는 수많은 영상들이 그 가치가 낮기 때문에 '광고'만 보고 시청할 수 있는 걸까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신한대알바
best 신한대알바
2025.06.17. 18:33

소비자 입장에선 정 뚝 떨어지는 소리를 자주 하는군요

[신한대알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17PRO
2025.06.17. 18:37

그냥 음악인들이라는 애들이 현실을 몰라요ㅋㅋㅋ

자동차 산업을 아예 못 보니ㅋㅋ

날고 간다는 슈퍼카 업체들 전부 결국 대중차 업체들 산하인데ㅋㅋㅋ

지들은 슈퍼카 업체인줄 아나 본데 그래봐야 대중차 업체 같은 애들 밑이라고ㅋㅋㅋ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best Stellist A17PRO 님께
2025.06.17. 18:47

이 기사는 중계업체인 애플이 발언했다는 거지, 가수들이 그런 말은 했다는 기사는 아닙니다. 

 

하긴 생각해보면 청취차인 저희들이 여기서 뭐라고 왈가왈부하던, 결국 파는 가수들이 동의 안했으면 무료 서비스도 없었을테니... 당사자인 가수들은 ok 라는 거겠지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17PRO Stellist 님께
2025.06.17. 18:49

[이러한 발언은 최근 스트리밍 시장으로 넘어가면서 수익성이 감소된 많은 전미음악출판협회 참가사들의 열렬한 찬사를 받았습니다.] 이거 보고 얘기하는거라서요.

뭐 스트리밍이 무료만 있는 것도 아니고 유료도 있을텐데 수익성 감소했다고 불만이시라니까요.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A17PRO 님께
2025.06.17. 18:54

협회 참가사들 = 아티스트 는 꼭 아닙니다.

한국도 그렇고요.

 

음저협이 정산을 제대로 안해줘서 함저협이라는 곳도 생겼습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17PRO
2025.06.17. 18:48

뭐 AI로 거의 모든 사람들 일자리가 사라지면 그 때 가서 애플이나 전미음악출판협회 • 음처협 같은 애들 원하던 대로 되겠죠ㅋㅋ

일론 머스크나 이런 애들 집 가서 전속 예술가 하는ㅋㅋㅋ

사실 예술가들 합스부르크나 메디치 가문 • 부르봉 왕가 전속이었잖아요??

일반 대중이 즐기는건 싫다시니 그렇게 되면 좋을 듯

[A17P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위드로우
best 위드로우
2025.06.17. 18:52

악기 때려부수는 광고 만들었던 게 애플 아닌가요?

[위드로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Qkooqq
Qkooqq
2025.06.17. 19:14

이거랑 비슷한 얘기를 한 기업이 있죠 EA라고 ㅋㅋ

[Qkooqq]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2025.06.17. 19:16

이게 다 저작권료 문제라 아티스트들은 달갑지 않을 겁니다...만 어쩔 수 없죠. (주변에 음악하시는 분들 많아서 물어봐도 돌아오는 건 욕입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tarlight 님께
2025.06.17. 21:26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2025.06.17. 23:41

BM이 사용자에게 직접 뜯어내는 유료 상품이어야만 하는건 아니죠. 광고로 수익이 날 수도 있고 다른 BM들이 있을수 있으니깐요. 네이버 검색이나 유튜브 광고를 봐도 그렇죠.

 

애플은 그냥 본인들 입장에서 얘기한거니 그냥 그려려니 하겠습니다. 공감은 안됩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41018 수정 file admin 18.08.04 161695 13
핫글 미니 삼성, 자체 AI 기능들에 대해 무료화 컨펌 [9] AquStar 25.07.13 1993 20
핫글 미니 8 엘리트를 엑시 2500으로 만들어 봤습니다..? [24] updatefile Daylight 25.07.13 1140 18
핫글 미니 플립7 사전사전예약구매 하고왔슈 [3] file 투야 25.07.13 827 17
232261 미니 낫싱폰(3), 스냅드래곤 8s Gen 4 탑재 예정 [11] AquStar 25.06.17 921 5
232260 미니 갤럭시 와이드8 내일 출시, 출고가 동결 file 운김 25.06.17 563 0
232259 미니 갤럭시 M36 5G 티저 이미지 공개 [6] file 운김 25.06.17 706 3
232258 미니 아티스트의 정당한 가치를 생각하는 애플이 했던 일 [13] Stellist 25.06.17 3270 42
미니 애플, 스포티파이 등 무료음악 서비스를 비판 [52] AquStar 25.06.17 1652 3
232256 미니 램플러스 끄면 확실히 부드러워지는군요 [4] AVCD 25.06.17 1469 6
232255 미니 IR카메라 (어두울때 작동 안함) [9] Alternative 25.06.17 802 4
232254 미니 폴드7나오면 가장 궁금한거 [7] file 치즈볼 25.06.17 1158 6
232253 음향 Nothing 헤드폰 한국에 빠르게 정발하려나봐요 전파인증 [2] file Stellist 25.06.17 893 4
232252 미니 S26에선 망원이 커질까요? [11] 바른말고운말 25.06.17 865 6
232251 미니 SKT 해킹, 최소 4년 전 시작됐나…악성코드 추가발견 가능성도 [4] A17PRO 25.06.17 898 5
232250 미니 폰 성지가 무조건 엄청 저렴한 게 아니군요 ㄷㄷ [9] file 하와와와와우 25.06.17 1140 3
232249 미니 데스크탑 갈아 엎었습니다. [10] file Aimer 25.06.17 1579 13
232248 미니 핸드폰 외장메모리 부활 좀.. [6] file 익명 25.06.17 659 2
232247 미니 조립식 스마트폰이 떠오르는군유 [4] 익명 25.06.17 695 2
232246 미니 에어팟 프로2 보청기 기능 강제 활성화?! [2] file 미기코리아 25.06.17 825 6
232245 미니 갤럭시 버디4, 엑스커버5, 탭 A9+ 펌웨어 업데이트 file 운김 25.06.17 257 0
232244 미니 스마트폰 이세계 유유자적 라이프 [26] file Alternative 25.06.17 2056 19
232243 미니 탭S11시리즈 나올 땐 탭S8 보상판매 낮게 쳐주겠죠? [4] 이라세오날 25.06.17 721 0
232242 미니 잡담: ... (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습니다) [5] FriedEggGalaxy 25.06.17 1004 0
232241 미니 워치 프레임이 사각형으로 변하는건 확정이니 [9] file AquStar 25.06.17 1011 6
232240 미니 갤23울 GCAM MGC버전 공유 [4] file 고민은배송을늦출뿐 25.06.17 468 7
232239 미니 IPadOS 26 며칠 사용해 본 후기 [7] file WayBack 25.06.17 1200 7
232238 미니 비교짤 보니 8클래식 디자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42] file 위드로우 25.06.17 1413 10
232237 미니 갤럭시 정품 레자 케이스 은근 내구성이 좋네요. [5] file 봄차 25.06.17 733 2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확장 변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