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반도체 정상품 비율, TSMC 80% 삼성 50%”
- 프로입털러
- 조회 수 1108
- 2023.01.26. 11:44

지난달 6일 미 애리조나주 피닉스시 TSMC 새 반도체 공장에서 열린 장비 반입식에서 애플의 팀 쿡(왼쪽부터) CEO와 TSMC의 웨이저자 CEO, 마크 리우 회장, 모리스 창 창업자가 건배를 하고 있다. /블룸버그
작년 2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갤럭시S22에 당초 담으려던 자체 두뇌 반도체(AP) ‘엑시노스2200′을 쓰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삼성은 부랴부랴 미국 퀄컴의 ‘스냅드래건8′ 반도체로 교체했다. 삼성전자가 자사 파운드리 4나노 공정에서 생산하려던 것이었지만, 낮은 수율(收率·생산품 중 정상품 비율)이 발목을 잡아 납기를 제때 맞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삼성 사정을 잘 아는 재계 관계자는 “당시 4나노 수율은 양산을 진행할 상황이 아니었는데 무리한 결과”라며 “당시 삼성 4나노를 기대했던 퀄컴도 이 상황을 보고 TSMC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1년이 지난 현재, 증권가와 반도체 업계에선 TSMC 4나노의 수율을 70~80%, 삼성은 50%대로 추정한다. 반도체 원재료인 웨이퍼를 100장 투입했을 때 TSMC는 정상품이 70~80장, 삼성은 50장 나온다는 뜻이다. 수율이 떨어지면 고객사가 요구한 납기를 맞추기 어렵다. 삼성전자는 지금도 최고급 스마트폰인 갤럭시Z플립·폴드에 TSMC에서 생산한 두뇌 반도체를 넣는다.
(하략)

Galaxy S22 Ultra
iPhone 13 mini
Galaxy Book3 Pro
Galaxy Tab S8 Ultra
Galaxy Watch4 Classic
Galaxy Buds2 Pro
iPhone 13 mini
Galaxy Book3 Pro
Galaxy Tab S8 Ultra
Galaxy Watch4 Classic
Galaxy Buds2 Pro
댓글
딱 돈 붓는 만큼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