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머리 식히고 다시 본 ARM 맥 발표 관람 소감

3FD36C5B-C049-43F8-95A5-B72BA03337C0.jpeg

 

우선 아이패드 프로따위에 들어간 A12Z가 로제타로 돌아가는 툼레이더를 1080P로 굴려버리는 파워를 내버리면서 좀 더 TDP가 높은 대형 애플 칩은 훨씬 강력한 성능을 보일거라는 건 확실해보입니다.

 

아마 당분간 맥북 시리즈는 윈도우 기기 대비 압도적인 성능과 전성비를 자랑하며 새 OS의 샤방샤방한 디자인 등을 자랑하며 꽤나 매력적인 기기가 될 거 같습니다.

 

다만 몇가지 걸리는 점이라면

 

 

1. 그래서 정말 ARM이 킹왕짱이고 인텔, AMD, 엔비디아는 한심한 회사인가? x86은 이제 짐 싸서 나갈 일만 남았나?

 

물론 이번 A12Z가 놀라운 성능을 보인건 맞습니다. 다만 과연 이게 ARM이 전통적인 x86 아키텍처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월한 아키텍처냐는 질문에 Yes라고 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결국 동시대의 비슷한 공정에서 생산되는 CPU이고 아직 고전력 고성능 칩에서는 x86이 우월한게 사실입니다. 

 

애시당초에 x86 자체가 스마트폰, 태블릿급의 저 TDP에서는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ARM이 고 TDP에서는 역시부진함을 보인걸 생각하면 더 높은 체급에서도 ARM이 압도적인 성능을 보일지는 의문입니다. 요새 x86이 ARM에 비해 지지부진했던 것도 사실이지만 라이젠 시리즈의 놀라운 성능 향상 같은걸 보면 과연 x86이 만만히 죽을지, ARM이 과연 x86을 대체하러 나온 상위 개념의 아키텍처라고 볼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다만 그래도 노트북급 저전력 프로세서에 있어서는 당분간 애플칩이 압도적인 성능차이를 보여줄 거 같기는 하니 윈도우 노트북 사는 사람들은 당분간 맥북 보면서 손가락 빨아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AMD프로세서라도 잘 나와야 할텐데..

 

 

2. 확장성은? 외장 GPU는?

 

애플은 아직까지 CPU와 GPU가 통합된 원칩 형태의 AP만 만들어봤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구조는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고, 기껏해봐야 엑스박스나 플스 정도의 적당한 APU정도가 그 한계로 보입니다.

 

애플이 진짜로 맥 프로 라인업까지 ARM으로 대체하려면 외장 GPU 역시 만들 수 있어야 할겁니다. 엔비디아 튜링 같은 초고성능 빅칩 GPU랑도 맞짱뜰 수 있는 외장 GPU를 애플이 직접 만들 수 있을까요? 그것도 2년 안에?

 

이를 포기하고 PCI-E 기반의 라데온 그래픽을 물린다고 해도 문제입니다. 일단 ARM에 라데온을 어떻게 연결시키냐도 문제고, 이렇게 패키징을 하게 되면 ARM AP에 비해 전성비가 떡락하는 결과를 낳을겁니다. 만일 맥북프로같은 놈의 상위 모델에 AMD GPU를 따로 단다면 인텔 맥 대비 그닥 나을것도 없어질 수도 있다고 봅니다. 

 

이런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썬더볼트라던지 하는 주변기기의 탑재는 그렇게까지 어려운 문제로 보이지는 않습니다만.. 뭐 amd에도 썬더볼트 탑재 보드가 나왔으니까요. 그래도 아이패드 시리즈의 확장성을 생각하면 ARM이 데스크탑급으로 PCI 주변기기를 주렁주렁 달만한 여유가 될지는 의문이네요.

 

게다가 인텔맥조차도 T2칩의 탑재로 ssd하나 맘대로 못 바꿔끼는 신세가 되어버린걸 생각하면.. 극단적으로는 모든 부품이 AP에 내장되어 CTO외에는 아무것도 못 바꾸는 원칩 연탄 맥프로 2 같은게 나올지도요!

 

 

3. 부트캠프는? 레거시는? 

 

일단 부트캠프는 사망이 확정이고, 패러렐즈는 arm맥에서도 에뮬레이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성능이 크게 의심되긴 합니다. 게다가 아무리 레거시는 죄다 버리는 애플이라지만 아키텍처의 전면 전환은 꽤나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가령 저 같은 경우는 맥북을 쓰면서 매트랩을 썼었는데 라이젠 해킨토시에서는 매트랩이 안 돌아가더군요. 컴파일시에 인텔 전용 라이브러리를 써서 만들었기에 아예 인텔 CPU 외에서는 안 돌아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런 부분까지 로제타가 해결해주지는 못할거 같은데.. 공대생 입장에서는 이제 맥북이 상당히 부담스러운 물건이 되게 생겼습니다. 예전에는 나름 어지간한 프로그램은 맥에서도 다 돌아갔고, 정 안되면 부트캠프라도 써서 돌리면 됐지만 이제는 쓰는 프로그램이 맥에서 안 돌아가면 노트북을 바꾸는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macOS의 진입장벽이 더 높아져버린거죠.

 

이게 맥의 판매량에 도움이 될지 반대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것 때문에 맥 구매를 포기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늘 것 같다고 봅니다. 당장저부터가 공대에서 앞으로 무슨 프로그램을 돌릴지 몰라서 씽크패드로의 전환을 고민중이니.. 애플 생태계는 하루하루 아름다워지지만 이제 점점 들어가기도 나가기도 힘든 극히 폐쇄적인 생태계가 되어가는 거 같습니다. 많은걸 포기하고 아름다운 애플 생태계에 빠지거나, 아니면 애플의 유혹을 뿌리치고 바깥에서 버티던지.. 저도 어느 쪽을 고를지 고민이네요.

 

 

4. 그래서 게임은..?

 

사실 이번 A12Z로 툼레이더를 돌리는거 보면 빅칩 애플 실리콘은 맥북프로 따위에 탑재되어서 적절한 TDP와 쿨링의 보조를 받으면 정말매력적인 게이밍 기기를 만들 수도 있다고 봅니다. 엄청 조용하고 가벼운데 현세대 콘솔과 비슷한 성능의 게이밍 성능을 보여주는 물건이라던지.. 이러면 무겁고 시끄러운 윈도우 게이밍 랩탑을 전부 비웃어줄수도 있겠죠. 그렇지만 아이패드와 아이폰이 그토록 좋은 AP를 가지고도 고작해야 피처폰 시절에도 나오던 퍼즐게임들이나 돌리는 신세가 된걸 생각하면 서드파티 개발사들이 맥에 게임을 낼만한 충분한동기가 없어서는 안되겠죠. 근데.. 안될거야 아마..

 

맥의 낮은 점유율이나, 맥 유저들의 성향, 낮은 확장성과 가성비 등등을 생각하면 여전히 맥이 게이밍 머신이 되기는 힘들어보입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애플이 언제까지 맥 시리즈를 애플 아케이드에 올라오는 폰게임만 돌리게 할 거 같지도 않습니다. 애플이 게이밍 시장에 아주 관심이 없는 회사는 아니니까 앞으로 자사의 강력한 칩을 기반으로 게이밍 시장에도 조금 푸쉬를 해주길 기대중입니다. 가능성은 낮지만..

 

---

 

어차피 저는 앞으로 한 1년 후에나 노트북을 살 예정이라 그때까지 애플이 ARM으로의 진척을 얼마나 보일지 등을 좀 관망하고 살 수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애플의 ARM 맥이 생태계의 철저한 폐쇄화를 가속시키는 행위라고 본다면 제 입장에선 어쩔 수 없이 윈도우로 건너가야 하지 않을까 싶군요.

댓글
6
엔당이희망입니다
1등 엔당이희망입니다
2020.06.24. 20:01

어떤 커뮤니티에서는 A12Z 성능 보고 X86 그런거 왜 쓰냐 이제는 ARM 시대이다 이러던데 저는 ARM하고 X86은 좀 다르게 본다만은...

[엔당이희망입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2등 RuBisCO
2020.06.24. 20:05

일단 애플은 악할지언정 무능한 치들은 아닌지라 인텔이 모바일에서, 퀄컴이 PC에서 한거 같은 삽질은 안하리라 봅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비온날흙비린내 RuBisCO 님께
2020.06.24. 20:09

근데 사실 퀄컴 인텔도 만만한 회사들이 아니고.. 파워맥 말아드신 역사도 있다보니까요

 

근데 요새 애플 물건 만드는 퀄리티 보면 왠지 잘 해낼거 같은 직감은 옵니다 ㅎㅎ

[비온날흙비린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200DMIPS
3등 1200DMIPS
2020.06.24. 20:06

저도 진짜 궁금한게 x86시퓨들은 정말로 arm에 비해서 전력소모도 많고 느린 시퓨인가 전성비가 엄청 후달리는건지 그게 궁금합니다. 상식적으로 arm이 커오는동안 그 좋은 구조 두고 x86기반으로 개발을 한건지 명확히 무슨 차이가 있는지 속시원하게 알려주실분이 없나요

[1200DMIP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무민조아
무민조아
2020.06.24. 20:13

저도 다른쪽 수요를 얻는만큼 기존 유저도 떨어져 나가서 결국 비슷한 점유율을 보일 거라 생각합니다

[무민조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맛깔나는밥
맛깔나는밥
2020.06.24. 22:33

전성비는 ARM 대비 X86이 밀린다지만 ARM특유의 빅리클 코어 구조가 올코어 상태에서 X86보다 나을 수 있나요? 지속연산이나 고성능 부분에선 ARM이 날고 기어도 동급 나노 공정으로 X86 절대 못 이길 것 같은데 말이죠. 특히 최대 클럭으로가면 전성비 큰 격차도 없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맛깔나는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0 13
핫글 미니 [잡담] PC 들일 때 맥이냐 윈도우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28] update 불심 24.06.01 908 11
핫글 미니 ios18 제어센터라는데 [18] file 오레오가좋아 24.06.01 1390 9
핫글 미니 갤럭시 문자 알림 아이콘 바뀌었네요. [3] file 바닐라라떼 24.06.01 844 5
151817 미니 갤럭시 언팩 옥외광고 [5] file Thomasp5675 22.02.04 722 2
151816 미니 태문!! [10] file PatGelsinger 22.01.29 722 6
151815 미니 루머 들리는 거 보면 [3] [성공]함께크는성장 22.01.12 722 3
151814 미니 울트라 램 8GB 소리가 많이나오던데 [4] 나랏미 22.01.06 722 1
151813 미니 워치4 클래식 사이즈 고민만하고 안사는 중인데 [8] file 시공 22.01.02 722 1
151812 미니 저 직각 디자인 계속 나올까요? [4] 나랏미 21.12.22 722 3
151811 미니 SD8 Gen1 탑재 아시아판 S22U(SM-S908E)긱벤치5 [6] file 흡혈귀왕 21.12.21 722 2
151810 미니 (스포) MKBHD 블라인드 카메라테스트 2021 결과 [10] file Stellist 21.12.18 722 2
151809 미니 BOE 디스플레이가 큰 개선점이 있었나요?? [9] 민초홀릭 21.12.07 722 6
151808 미니 S10베타는 벤치는 올랐는데 게임 프레임은 떨어졌네요 라테린 21.12.07 722 0
151807 미니 11마존 전자기기 사고 RMA할경우 유의해야겠네요 [4] file 여가어딥미코 21.12.02 722 3
151806 미니 근데 삼성 HM3 센서 자체는 12bit 까지만 지원이군요. [8] Stellist 21.11.24 722 4
151805 미니 삼성은 엘지모바일이 안중에 없는지 오래됐죠 [6] 천서진 21.11.21 722 5
151804 미니 분명 2.51kg인데 왜 더 가벼운 거 같죠. [15] Havokrush 21.11.16 722 2
151803 미니 e-심 나올거 같은데요..? [4] polorbear 21.11.04 722 0
151802 미니 픽셀 sd카드되나요?. [6] 대출받아서기변함 21.10.20 722 0
151801 미니 미코님들..애플고시 통과했습니다.. [2] file rollin 21.10.12 722 6
151800 미니 알리발 워치4 스트랩 후기 + 갤워치 사이즈 후기? [3] file 조바단 21.09.25 722 1
151799 미니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을 때 숙지하면 좋은 점 [7] file 선라이즈 21.09.24 722 12
151798 미니 저는 가장 좋아하는 케이스 브랜드. [4] file 달무리 21.09.21 722 4
151797 미니 아이폰 13 램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10] Kanata 21.09.10 722 0
151796 미니 애플 '아이폰 미니' 더 이상 못보나… 단종 예고 [3] Railgun 21.09.03 722 0
151795 미니 갤럭시 관련 꿀팁 위주 채널 좋은 곳 있슴까 [13] [성공]함께크는성장 21.08.16 722 3
151794 미니 갤캠스 특가 전체리스트 [3] file 씨코이주민 21.07.01 722 3
151793 미니 PC를 어려워하는 세대는 예견된 일이긴 했어요 [22] 땅콩항공호갱 21.06.29 722 0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