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브니엘

미니 출고가가 오르는건 당연한거 아닌가요..?

 

개인적으로

 

갤럭시 s가 95만원이었던 걸 생각하면

 

지금의 S20 125만원 출고가가 이해 되지 않는건 아니거든요.

 

2010년 물가나 임금을 생각해보면

 

더욱 그렇고요...

 

삼성의 S20 시리즈의 실패는 90~100만원대 제품이 부재했던 거겠죠..

 

이번 S20 fe의 출시로 그것도 어느정도 커버됐지만요...ㅎㅎ

 

여라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0980_57476_303.jpg

40980_57475_302.jpg

 

 

 

 

댓글
37
브니엘
글쓴이
1등 브니엘
2020.10.01. 12:51

자동차의 경우도 가격 많이 올랐죠..

모닝도 음청 올랐던데..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긴닉네임2002250504
2등 긴닉네임2002250504
2020.10.01. 12:53

피쳐폰때도 비싼제품들 많았었죠

 

그런데  갤s시절에는 한달만 사용하고  판매할수도있었는데

이젠 그렇게가 안된다는점..

[긴닉네임200225050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긴닉네임2002250504 님께
2020.10.01. 12:57

ㅋㅋㅋ자급제가 답입니당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3등 우주안녕
2020.10.01. 12:53

오 그래도 월급이 그동안 좀 올랐네요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우주안녕 님께
2020.10.01. 12:57

제ㅜ월급만 그대로죠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서린
2020.10.01. 12:54

적정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잘 돌아가고 있다는 신호라서 나쁘게 볼 일은 아니죠.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있는데 특정 국가만 디플레이션이 나타나면 오히려 그 국가를 걱정해야 하는 거니까요.

 

그래서 항상 불변하는 진리는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입니다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서린 님께
2020.10.01. 12:57

그러니까요..

 

10년간 빈부격차도 더 벌어졌뎄죠...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2020.10.01. 12:54

결국 발전의 한계에 도달하고,성능으로 차별회를 시키기 위해선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죠

사실 S20 4G 가격은 S10과 같은걸 보면,S20 라인업(울트라 제외)의 가격은 나름 이해 갑니다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Thomasp5675 님께
2020.10.01. 12:59

그러니까요 ㅎㅎ

 

가격을 유지하려면 성능을 너프해야하는...

 

딱 Fe 처람요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뱡카
2020.10.01. 12:54

저도 동의합니다

[뱡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뱡카 님께
2020.10.01. 12:59

동의합니다~~ㅎㅎ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2020.10.01. 12:57

S20 여려모로 괜찮았는데 너무 까인것 같아 아쉽습니다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MrHS 님께
2020.10.01. 13:00

S10처럼 재평가..

 

fe를 통해 완성 ㅎㅎ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브니엘 님께
2020.10.01. 13:00
브니엘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sssy
ssssy
2020.10.01. 12:58

더욱이 다양한 분야의 기술 집약체라... 이분야가 특히 발전속도도 빠르죠

오르는게 문제라기 보다는 5G 붙이면서 갑자기 확 뛴게 문제였습니다

사실 S10 5G나 노트10, +의 경우도 출고가가 갑자기 확 올랐지만 보조금빨로 상쇄시킨거고... S20은 그마저도 없었죠

[ssss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ssssy 님께
2020.10.01. 13:01

FE가 같이 나왔으면 덜 까이긴 했을듯 ㅎㅎ

 

이제라도 라인업 완성해서 다행이죠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sssy
ssssy 브니엘 님께
2020.10.01. 13:32

S10e 후속이 없는것도 한몫 했죠

엔트리가격이 주는 가격에 대한 느낌도 은근 커서..

[ssss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말티즈는참지않아 님께
2020.10.01. 13:01

ㅎㅎ단통법 사라지러ㅏ나..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프로입털러
프로입털러
2020.10.01. 13:04

물가가 오를수록 같이 오른다는 건 맞는데, 소비자 입장에서는 지나치게 비싸다는 인식 때문이겠죠. 전작하고 비교해도 성능 향상 말고는 크게 혁신이라 할 만한 것도 없어 보이는데 150만원이나 하니 납득이 쉽게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150만원 정도면 일반적인 노트북 한 대 값인데 노트북하고 스마트폰하고 1대1 대응아 안 되니깐요... 출고가가 계속 오른다면 수 십년 후에 스마트폰 한 대에 500만원 정도 해야 할텐데 그럴 것 같지는 않고, 언젠가 다시 내려가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제조사와 통신사, 그리고 소비자 셋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가격에서 출고가가 책정될테니 말이죠.

[프로입털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프로입털러 님께
2020.10.01. 13:07

수십년 뒤 임금이 어떠냐에 따라 다르겠죠 ㅎㅎ~

 

S10과 S20의 출고가는

20만원 정도 차이나고

 

스펙 차이도 꽤 나긴해요.

4G 에서 5G

램 8에서 12로

60hz에서 120hz

됐으니까요..ㅎㅎ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워런티비오루
워런티비오루
2020.10.01. 13:05

언제까지 플레그쉽이 100만 근처일순 없죠

[워런티비오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워런티비오루 님께
2020.10.01. 13:07

그러게요..ㅎㅎ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민초중립
민초중립
2020.10.01. 13:07

진짜 90~100만원 제품이 없어서지 S20U만 쫌비싼걸 빼면 S20도 가격대비성능은 좋은듯한데...

[민초중립]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민초중립 님께
2020.10.01. 13:07

맞습니다~ FE가 환영 받는 이유져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rop
Chrop
2020.10.01. 13:26

S20 스펙보면 가격이 이해가 안가는게 아닙니다

90-100대의 폰이 없었던게 문제였죠

[Chrop]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Chrop 님께
2020.10.01. 13:27

동의해요🤑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Qteam
best HQteam
2020.10.01. 13:34

전 소비자들이 실질적으로 느끼는 구입 비용 상승이 어느정도 비판의 원인이 된 것 같습니다.

단통법 이전엔 폰테크를 해도 될 정도로 플래그쉽 스마트폰도 싸게 나오던 시절이 있었고 요금제도 지금보단 싸다보니 플래그쉽을 유지하는데에 별로 부담이 없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자급제를 사든 음지에서 잘 타든 옛날보단 실질적인 통신비 부담이 증가했죠. 소비자 입장에선 실질적으로 플래그쉽을 사는데에 부담이 늘었다고 느낄 수밖에 없어요.

게다가 다른 물건과의 가격 비교/전세대와 성능과 가격 차이 비교 등등 여러 가지 측면도 이번 s20 가격적인 비판을 부르는데에 어느정도 영향을 줬다고 생각하구요.

그리고... 시간이 지난다고 모든 물건이 다 가격이 올라가는 건 아니에요. 처음엔 사치재였다가 나중에 필수재가 되는 경우 오히려 가격이 내려가는 현상도 발생하곤 해요. 스마트폰도 처음엔 피쳐폰대비 비쌌고 사람들에게 사치재로 구분되었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이 생활 필수재로 여겨지잖아요? 그런 생활 필수품으로 스마트폰이 자리매김한 데 반해 가격은 일반적인 소비자들이 선뜻 구매하기 어려운 선으로 가격이 올라가고 있으니, 플래그쉽을 강하게 선호하는 대한민국 시장에서조차 중급기들이 더 많이 팔리기 시작한다는 시장 반응이 나타나는 거죠. 플래그쉽 가격에 대한 비판도 그런 맥락 안에서 발생한 현상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HQtea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HQteam 님께
2020.10.01. 13:56

말씀하신 의견도 이해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글에서 얘기했듯이 임금이나 다른 물가 상승대비 스마트폰 출고가 상승이 유별나지 않다는거죠.

비슷한 전자기기들도 다 10년전과 대비해보면 상당 부분 오른 걸 알 수 있어요.

비싸다고 불평할 순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렇다고 제품 가격이 문제가 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ㅎㅎ

 

저도 10년전이나 지금이나 수입은 비슷해 스마트폰이 더 비싸게 느껴져 불평하곤 하는걸요.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HQteam 님께
2020.10.01. 16:01

확실히 말씀하신 것도 맞습니다

그래서 S7까지는 출고가가 계속 내렸죠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Aero
2020.10.01. 13:34

a0269656b64a4ccce0372c55505462e15890cdd221b0dd6b60aaa273d8932486c382b43768764fcfba108762a90f8f9b778e48382651fe4a1f0709c3388.png

그러기에는 s3부터 s7까지는 오히려 가격이 내렸습니다. 물가상승률도 이유가 있겠지마는 s8을 기점으로 스마트폰의 교체주기가 길어지면서 판매대수로 이익을 못 올리자 걍 판매당 마진을 높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위에서 다양한 부품업그레이드도 이유중 하나라고 했는데 3.5mm이어폰잭, DMB모듈, 심박센서등 빠진 부품도 많습니다.

[Aer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Aero 님께
2020.10.01. 13:51

개인적으로 S7까지는 안정화 느낌이 있습니다.

S3은 LTE 탑재하면서 출고가 상승했었고 

S7까지 가격 안정화를 거쳤죠. 

 

S8부터는 디스플레이 면적이 넓어지고 원가 상승이 있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사 출고가 올랐고, 비싼 부품 중 하나인 카메라도 2개, 3개로 늘어났죠..

 

s20은 5G의 탑재도 있고 하니.. s3 때처럼 확 오른거고요.

내년부턴 가격 안정화가 들어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환타바나나
환타바나나
2020.10.01. 14:30

근데 물가가 올라서 오르긴 했지만 무엇보다 아이폰이 출고가가 계속올라서 갤럭시도 많이 오른건 저만 그렇게 느끼는 건가요.. 아이폰11프로맥스 512기가 출고가 200넘는건 진짜.. 심한거 같아요

[환타바나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환타바나나 님께
2020.10.01. 14:34

아이폰은 X때 확 올랐죠. 출고가 142만원이에요...ㅎㅎ 지금 울트라 가격이죠..

페이스 아이디와 디스플레이 달라진걸로 확 올렸죠.. 아직  5G  버전 가격은 확장은 아니지만 들리기론 100달러 이상 오른다고... 충전기 이어폰 뺀거 생각하면...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엣헴쓰
2020.10.01. 20:36

2020070101286_1.png

판매량이 말해주는거죠.

갤럭시는 비싼거고 아이폰은 안비쌉니다.

잘 만들고 충성고객 잘 만들면 아무도 뭐라 안해요.

판매량으로 대답하는거지..

[엣헴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브니엘
글쓴이
브니엘 엣헴쓰 님께
2020.10.01. 20:38

ㅋㅋㅋㅋㅋㅋ그냥 지나가세요..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엣헴쓰 엣헴쓰 님께
2020.10.01. 22:30

^^ 출고가 오르는건 당연하면 삼성 판매량으로 보여줬아야죠

저가형 찍어내는거 말고 프리미엄라인 출고가 상승의 근거를 보여준적 있나요? 아이폰따라 올리다 안팔리니까 fe만들고 플래그쉽 이름 붙이고 중저가형 내놓기나 했지 뭘 근거로 당연히다 하나요?

오르는게 당연한건 소비자들의 반응으로 나타나야지 그저 빨아재끼는 일부 팬층이 근거는 아니잖아요

[엣헴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8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24] update [성공]함께크는성장 15:06 683 16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5] file AquStar 16:04 446 13
핫글 미니 토요일 미친날씨의 폰카 7선 📷 [7] updatefile 개구리 01:55 465 11
188863 미니 One UI 3 Beta Coming Soon~ [14] file BayDonuts 20.11.11 699 6
188862 미니 갤탭s7 in 카페 [10] file 뒷동산 20.11.10 631 6
188861 미니 WING 스위블 속도 개선 및 스크린간 앱 이동 업데이트 [2] file 운김 20.11.10 597 6
188860 미니 12인치 이상 태블릿은 16대10비율이 맞다고 봅니다 [24] 실바누스 20.11.10 1086 6
188859 미니 자기야 오늘 공기청정기 산거 오니까 뜯지마~ 내가 설치할게 [11] file 폴드투를쓰는겁니다 20.11.10 767 6
188858 미니 생각해보니 국내 한정으로는 카카오가 있군요 [11] [성공]함께크는성장 20.11.10 656 6
188857 미니 카톡 딜리버리 보니까 읏기긴 하네요 [25] 인헤리턴스 20.11.09 1641 6
188856 미니 삼성 인터넷.13.0.1.63.apk [10] aleji 20.11.09 594 6
188855 미니 S10 시리즈 떨이 케이스 삿슈 [25] file 배붕이 20.11.09 647 6
188854 미니 아이태니엄과 IA64의 실패는 그냥 짤방 한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5] file RuBisCO 20.11.09 634 6
188853 미니 64비트 명령어셋... 서로 다른 길을 간 x64와 AArch64 [10] ARMCC 20.11.08 3067 6
188852 미니 AMD는 이번에 금강불괴 신공을 얻은 셈입니다. [11] ARMCC 20.11.07 727 6
188851 미니 아이패드 리퍼글 보니 [12] 플롱 20.11.06 730 6
188850 미니 폴드2 서비스센터방문 후기 [12] 흑우얼리어덥터 20.11.06 1052 6
188849 미니 길냥이 찍는 폰 [8] file 배민 20.11.06 417 6
188848 미니 쌌슈...jpg [11] file LG팬보이 20.11.06 715 6
188847 미니 결국 샀슈 [3] file 메소쿤 20.11.05 436 6
188846 미니 하늘하늘2 [1] file 헬지가좀짱 20.11.05 189 6
188845 미니 오늘자 S20 사진 [13] file JamesBlake 20.11.05 476 6
188844 미니 마지막 이어폰 왔읍니다. [35] file 보거 20.11.05 844 6
188843 미니 디자인은 호불호의 비율로 평가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2] file Niflheimr 20.11.05 557 6
188842 미니 S20 광각 12MP로 찍은샷들 [16] file 흡혈귀왕 20.11.05 344 6
188841 미니 LG가 빨리 살아나야 합니다 [9] Niflheimr 20.11.05 382 6
188840 미니 2+2주 간의 격리 중 태블릿 패드 사용후기 [4] MiCasaEsSuCasa 20.11.05 575 6
188839 미니 노트 20U 광학 쓸만하네요 [5] file Pepsi베어 20.11.05 399 6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