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흐음 뭔가 ToF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점 계륵이 되가는거같네요...

지금 탑재하는 회사도

애플이나 화웨이 소니정도만있습니다.

 

원래라면 AR콘텐츠에 써먹겠다고 탑재한건데

그 애플조차도 아직 이렇다할 AR콘텐츠 소비로 ToF를 활용하기 보단

AF보강쪽을 좀더 강조하고있죠....

 

 

게다가 지금 ToF 없더라도 정밀하게 트래킹할수있는 AR기술들도 나오고있어서

더더욱 계륵이되가는중입니다....

 

여러 들리는 소문만 보면 장기적으로 적어도 안드로이드쪽 디바이스에서

3D ToF 탑재된 제품은 더이상 찾기 힘들어지고 사장될듯한 느낌입니다...

 

AF보강할거면 사실 더싸고 발열도 덜한 레이저AF가있고 심지어 이건

IR센서가 dToF랑 같은 방식입니다.

 

사람이 dToF랑 iToF 차이를 인식하긴 어렵지만서도

소비전력+발열+단가 3박자 생각하고 딱히 AR콘텐츠 활용도 제대로 못하는거 생각하면

ToF 센서는 더이상 고집할 필요도 이유도 없어보이긴합니다 현실적으로...

 

 

다만...저는 적어도 3D ToF로 나이트비전이라도 구현해주길 바랬는데...아쉽네요.

 

 

 

 

<요약>

- ToF 센서 탑재 회사들이 점점 적어지는 추세

- 그 애플조차 AR콘텐츠보단 AF보강을 더 강조

- 요즘은 ToF없이도 정밀하게 트래킹가능한 AR기술들 나옴

- AF보강 강조할거면 ToF 대비 소비전력+발열+단가 3박자로 착하고 dToF랑 IR센서가 같은

  방식인 레이저AF가 있음

- 이 상태로본다면 적어도 안드로이드 시장에서 ToF 탑재 디바이스들은 점차 사라질것으로 보임

- 이런 이야길 적는 이유는.....뭐...그렇습니다.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27
헤페바이쎄
1등 헤페바이쎄
2021.05.27. 14:28

LiDAR 센서가 3D ToF랑 같은 기술인가요??

[헤페바이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헤페바이쎄 님께
2021.05.27. 14:29

네 3D dToF 기술입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2등 reador...
2021.05.27. 14:29

s22 ultra : ㅎㅎㅋㅋ ㅈㅅ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reador... 님께
2021.05.27. 14:30

그 친구만 안달리면 다행이죠...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성공]함께크는성장
3등 [성공]함께크는성장
2021.05.27. 14:32

AR로 쓰기에는 AR이 아직 애매하고

끽해봤자 얼굴인식 정도인데

아이폰은 자체 센서 있는 거 같고 안드로이드는 전면에 안 넣으니..

UDC 기술 좋아져서 ToF 들어간 걸로 얼굴인식 살아났으면 싶네요

 

얼굴인식 되게 편한데 참...

[[성공]함께크는성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성공]함께크는성장 님께
2021.05.27. 14:34

그래서 더더욱 계륵이라고 하더군요

할수있는건 많은데 정작 활용은 못하고

단가는 오지게 비싸면서 발열이랑 소비전력은 쳐묵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수플레
수플레
2021.05.27. 14:33

앱스토어 보면 라이다 사용한는 앱이 많기는 한데...

3d 스캔 앱도 많고 AR도 처음부터 라이다를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Focos Live라고 인물 동영상 촬영할 수 있는 앱처럼(결과물 좋음) 활용도 좋은 앱도 있기는 해요...

번외로 해당 앱에서 셔터버튼에 작게 라이다 미리보기가 있는데 암실에서도 작동해서 나이트 비젼으로 쓸 수 있습니다(...)

[수플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수플레 님께
2021.05.27. 14:35

네 사실 할수있는건 많은데 생각보다

적극적으로는 안쓰이는거 같습니다...

 

애플도 AR보단 AF보강을 더 강조하고있으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22U까지존버또존버
S22U까지존버또존버
2021.05.27. 14:40

AR은 애초에 관심도 없고 인물사진에서 심도 처리 문제로 좀 채택됐으면 좋겠습니다.

[S22U까지존버또존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S22U까지존버또존버 님께
2021.05.27. 14:42

근데 앞으로 되게 힘들어보이네요 적어도 제가 좋아하는 회사(?)에선 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존버합니다
2021.05.27. 14:42

애플도 뭐 새로운걸 보여주진 못하고 그나마 신기한건 방모양따서 led뿌리듯 꾸미는거였는데 과연 어찌될지 궁금하네요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존버합니다 님께
2021.05.27. 14:45

애플 계속 탑재해서 갖고갈듯한데

안드로이드 시장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일.칠칠이사오삼팔오
일.칠칠이사오삼팔오
2021.05.27. 14:43

헨드헬드 AR 자체가 별 활용도가 없기도 하고 다들 외부 센서보단 카메라 위상차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가닥을 잡고 통합 API 같은것도 없어서 앱개발도 힘든 상황이죠

[일.칠칠이사오삼팔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일.칠칠이사오삼팔오 님께
2021.05.27. 14:45

정확히 지적하고 계시네요.

딱 그런 상황이라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심도나 AF보강인데...이건 ToF 아니라도 할수있어서 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좌상탄아홉발이상무 님께
2021.05.27. 14:52

사실 차에선 정말 필요한 기능이긴하죠 ㅋㅋ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좌상탄아홉발이상무
좌상탄아홉발이상무 흡혈귀왕 님께
2021.05.27. 14:54

그런데 애플 라이다센서랑 s10 5g나 s20에 들어가는 tof랑은 무슨차이가있나요?

[좌상탄아홉발이상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좌상탄아홉발이상무 님께
2021.05.27. 14:56

라이다센서는 dToF 방식이고 소니, 화웨이, 삼성의 ToF는

iToF 방식입니다.

 

dToF가 성능도 좀 더 좋고 단가도 비쌉니당.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좌상탄아홉발이상무
좌상탄아홉발이상무
2021.05.27. 15:02

dtof가 레이져af를 많이 박아놓는 방식으로 보면 되나요?

[좌상탄아홉발이상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좌상탄아홉발이상무 님께
2021.05.27. 15:07

dToF 빛 쏘는 방식이랑 레이저AF가 빛 쏘는게 완전

같은 방식입니다. 핀포인트로 강하고 얇게쏘고

 

iToF는 퍼지듯이 은은하게 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럭시派
갤럭시派
2021.05.27. 15:03

사실 명확히 써먹기 좋은곳이...

3d scan app 다운받아서 한번 활용은 해봐야 겠군요...

[갤럭시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갤럭시派 님께
2021.05.27. 15:06

예전에 사물 스캔하는거 강조했죠 ㅋ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멀라이즈
노멀라이즈
2021.05.27. 15:08

업무때문에 좀 더 대형 3D 센서들 보고 있는데요.

나이트 비전용으로 쓰기에는 거리가 하나같이 짧아요.

솔직히 AR도 저는 애초부터 별로라고 생각했고 

센서 자체가 극히 특수용도 외에는 별로라고 생각했습니다.

[노멀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노멀라이즈 님께
2021.05.27. 15:10

사실 거리가 IR센서 특성상 6m정도로 굉장히 짧긴하죠.

그래서 할수있는데 안하는거 같습니다.

 

AR은 레알 계륵상태 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089 13
핫글 미니 Urging Samsung to improve its camera [11] update iceuniverse 11:00 804 10
핫글 미니 S24+는 지금까지 써본 폰중에서 가장 만족스럽네요. [16] updatefile Gottago 13:32 769 9
핫글 미니 한국에서는 볼 수 없는 환상의 갤럭시 옵션 [16] file GLaD 05:18 1600 6
119380 미니 상남자 케이스 샀슈 [3] file 카밀리아 20.12.29 420 3
119379 미니 '그 이어폰'은 다 좋은데 [13] 오토카모 20.12.29 1161 11
119378 미니 폰만은 갤럭시를 썼는데.. [11] 므트므트므트 20.12.29 690 6
119377 미니 요즘 S20이나 노트10 마려워서 [2] file 워런티비오루 20.12.29 326 1
119376 미니 카메라 범프를 이런식으로 가리네요 [12] file 크루원 20.12.29 810 0
119375 미니 노트10 빌드업 [1] 감비아산도나츠 20.12.29 194 0
119374 미니 Z 플립 LTE 6차 베타 배포 [2] file Thomasp5675 20.12.29 286 2
119373 미니 S시리즈, 노트 시리즈 스탠딩 커버들 [5] 오토카모 20.12.29 449 1
119372 미니 드디어 A 퀀텀 왔슈 [10] file LG산흑우 20.12.29 515 7
119371 미니 샤오미 MIUI 12.5 영상 2종 공개 [3] file AlieNaTiZ 20.12.29 289 1
119370 미니 MIUI로 뜨거운 가운데 21때 나올 ONE UI 3.1에 기대하는 점 [10] S22U까지존버또존버 20.12.29 411 1
119369 미니 이제 삼성도 "완모아띵" 말고는 보안 신경 안쓰는게 아닐까요 [1] 세로쓰기 20.12.29 410 0
119368 미니 삼성브라우저 완전 리얼블랙화면 모드 없나요 [5] 카밀리아 20.12.29 603 0
119367 미니 아... 이것이 UFS 3.0이군여 [10] file 감비아산도나츠 20.12.29 893 1
119366 미니 삼성도 게이밍폰같은거 하나 내줬음 좋을듯 해보이는데.. [16] 나랏미 20.12.29 441 0
119365 미니 맥의 진입장벽 [12] sourire 20.12.29 539 0
119364 미니 샤오미가 HMX로 뽕뽑으면서 품질 올리는거보면... [6] 흡혈귀왕 20.12.29 471 1
119363 미니 갤럭시S21 시리즈 공식 케이스 렌더링 이미지 유출 [11] file 프로입털러 20.12.29 869 2
119362 미니 A 퀀텀과 윙이 굉장히 비슷한 기기네요 [16] LG산흑우 20.12.29 490 0
119361 미니 칠흑은 센서빨 [11] file 선라이즈 20.12.29 738 3
119360 미니 직구한 s6라이트가 왔습니다 ^^ [2] file ZEROZERO 20.12.29 583 13
119359 미니 역시 저전력 프로세서는 arm인가 봅니다 [1] sourire 20.12.29 484 0
119358 미니 21+ [31] file 레제르바 20.12.29 922 6
119357 미니 아... 게임 끝났습니다. [15] file 선라이즈 20.12.29 1567 3
119356 미니 8년전 갤럭시플레이어70 카메라 성능..jpg [17] file 이라세오날 20.12.29 875 5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