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스퀴니

미니 찌라시 추가 내용이 등장했네요 AMD..

  • 스퀴니
  • 조회 수 1178
  • 2021.09.14. 15:08

24년도에 나올 Zen5는 인텔처럼 빅리틀을 도입할거라는군요

 

흠.

 

그전까지 단일 기반으로도 문제없다는 AMD의 행보인가요 ㄷㄷ

댓글
24
오꾸리
1등 오꾸리
2021.09.14. 15:14

CCD 하나에 빅리틀 8+8 일테고 2개 박으면 ㅓㅜㅑ~

초격차!!!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아누라
2021.09.14. 15:14

데스크톱에서 빅리틀은 진짜 하등 쓸모도 없는데 이해가 안가네요 전

[아누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글쓴이
스퀴니 아누라 님께
2021.09.14. 15:17

빅코어에게 저전력 관련 파트의 크기를 줄이고 대신 고성능 파트에 다이 분배를 넓히는 등의 최적화를 하려는거 아닐까요

 

리틀코어는 그 반대로 하고요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누라 스퀴니 님께
2021.09.14. 15:20

그럴바엔 그냥 빅코어 다 넣고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우선순위가 낮은 코어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하는게 더 낫거든요.

[아누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글쓴이
스퀴니 아누라 님께
2021.09.14. 15:21

제가 여러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하는말이 있습니다.

 

팔방미인은 각분야의 전문가를 못이깁니다.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누라 스퀴니 님께
2021.09.14. 15:24

그게 바로 빅리틀에 적용되는 이야기죠. 빅코어몰빵이라는 성능분야의 전문가를 빅리틀이라는 팔방미인이 못이깁니다.

[아누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데밋
데밋 아누라 님께
2021.09.14. 15:17

CPU가 데스크탑만 쓰는건 아니니까요

[데밋]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누라 데밋 님께
2021.09.14. 15:19

그러기위한 apu가 있으니 apu 라인업에 들어가는건 전 돠랴 환영이지맘 데스크톱 라인업엔 절대 도입 안되었으먼 좋겠습니다. 실리콘 낭비에요 솔직히.

[아누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땅콩항공호갱 아누라 님께
2021.09.14. 15:19

데스크톱에서도 쓸모 없진 않습니다. 게임을 할 때도 자잘한 프로세스들 전부다 리틀로 몰아버린 다음 메인 코어는 게이밍 몰빵이 가능하고... 리틀 코어가 면적이 그렇게 큰 것도 아니고요.

[땅콩항공호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누라 땅콩항공호갱 님께
2021.09.14. 15:22

인텔만 보더라도 8코어 리틀코어 면적이 빅코어 두개 면적을 먹고 있고 자잘한 백그라운드들 우선순위가 낮은 빅코어에 몰아주는 스케줄링으로 하면 애초에 리틀코어가 필요없죠.

애초에 리틀코어라는 개념자체가 베터리로 구동하는 전력리소스가 한정적인데서 절전을 목적으로 도입한거라 전력리소스가 넘쳐나는 데스크톱엔 아예 필요가 없습니다.

[아누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reador... 아누라 님께
2021.09.14. 15:25

그 아예 필요 없는 것을 애플, 인텔, amd  모두 다

시간의 차이만 있을뿐 데스크탑에 도입할려고 하죠 😎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데밋
데밋 아누라 님께
2021.09.14. 15:27

뭐 엘더레이크 곧 나오니까 그거보면 결론 나오지 않을까요?

[데밋]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땅콩항공호갱 아누라 님께
2021.09.14. 15:31

게임처럼 코어를 많이 못 쓰는 경우는 그럴지 몰라도 게임이 전부는 아니잖아요.

굳이 고성능이 필요 없는 프로세스를 빅코 코어 하나 할당해서 빅 코어 굴리면 그게 전력 낭비고 의미 없는 추가 발열로 이어지는데요. 지금 인텔이나  AMD나 코어 늘리는 것 만큼이나 발열 줄이는 게 절실한 상황이니 데스크탑이라도 이는 말이 됩니다. 그리고 영상이나 기타 코어가 많으면 그걸 다 활용할 수 있는 분야면 빅 코어에 모든 자원을 다 할당해도 다른 하위 순위 프로세스는 리틀 코어가 하니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동되겠네요.

 

M1 들어간 미니, 아이맥, 맥북 써 보니까 왜 PC에서도 빅리틀 소리가 나오는지 대번에 알겠던데요..

[땅콩항공호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누라 땅콩항공호갱 님께
2021.09.14. 15:46

그게 데스크톱에서 아예 신경을 쓸 요소가 아니라는겁니다. 애초에 데스크톱은 다 코어로 점점 가고 있고 그만큼 성능에서 어느정도 백그라운드를 전부 처리하는 빅코어 하마 할당해도 전체적인 성능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반대로 빅리틀의 경우 인텔 한정이라지만 리틀 8코어가 빅코어 2개분의 실리콘면적을 잡아먹고 있고 인텔발표상 리틀8코어가 빅2코어의 성능을 못따라갑니다. 즉 같은 실리콘 면적을 쓰는데 절대성능은 떨어지는 상황이라는거죠. 여기서 이득이 도대체 뭘까요? 전력리소스와 쿨링시스템 빠방항 데스크톱에서 그 쪼끔의 전력감소와 발열감소?

 

애플의 빅리틀에서도 그렇습니다. 빅리틀 구조에서 리틀에 백그라운드 할당한다 해도 하드한 연산이 필요한 작업에서는 리틀코어도 전부 연산에 끌려가기 때문에 어차피 연산자원 부족해서 버벅거리는 상황 연출되는건 똑같습니다.

 

누누히 말씀드리고 있는 이야기지만 빅리틀은 전력 리소스가 한정적인 플랫폼에나 절전을 위해서 만든 개념이지 데스크톱같이 그런거 필요없는데서 막 가져다 쓰기엔 실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아누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땅콩항공호갱 아누라 님께
2021.09.14. 16:53

그 전력 감소와 그로 인한 열 감소가 쬐금이 아니니까 애플/인텔/AMD 할 것 없이 다 빅리틀 하려고 하는 거죠. 빅코어 키우거나 클럭 빠르게 해서 얻는 성능 이득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면야 당연히 빅코어 다 키우겠죠. 근데 그게 아니잖아요. 세 회사들이 바보도 아니고 한정적인 트랜지스터 자원으로 설계하는데 셋 다 빅리틀 하고 싶어하는 건 이유가 있습니다. 득 없고 실만 있는 것을 왜 셋 다 하려 할까요? AMD도 예전에 대놓고 연구는 다 하고 있는데 윈도우 스케쥴러 때문에 제품을 내놓고 있진 않다고 말 한적이 있고요. 

[땅콩항공호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누라 땅콩항공호갱 님께
2021.09.14. 17:03

쬐끔입니다. 현세대 amd zen3의 빅코어 전력소모는 10w수준인데 여기서 줄여봐야 얼마나 줄어들까요? a14리틀코어가 0.5w수준으로 고작해봐야 9.5w고 같은 면적의 리틀 4코어면 8w로 엄청나게 미미한 수준입니다. 전체 5950x기준 200w에서 8w 밖에 안 줄은건데요.

 

다코어로 갈수록 빅리틀의 의미도 적어지고 절대적인 퍼초먼스에서 실리콘 면적 대비 절대적인 손해인데 그냥 멍청한 짓 하는겁니다. 데스크톱만 바라보는게 아니라 노트북에도 같이 쓸생각으로요. 데스크톱은 데스크톱만의 영역이 있고 노트북은 노트북만의 영역이 있는건데 그걸 혼동하는거 밖에는 안됩니다. 그 똑똑한 기업들이 그런 안일한 생각 하냐고 말하신다면 지금의 인텔의 성능 위상을 보면 그 똑똑한 사람들이 멍청한 짓도 잘하죠.

[아누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best reador... 아누라 님께
2021.09.14. 17:05

나오고 까셔도 됩니다.

 

애플, amd, 인텔  기조가 다 빅리틀로 넘어가는데

 

레밍즈마냥 3사 모두가 xxx하지는 않을꺼니까요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글쓴이
스퀴니 아누라 님께
2021.09.14. 17:08

그렇게 말하면 전 이렇게밖에 이해 못하겠군요

 

저 수~~많은 사람들이 다 멍청하다고 하시는 거라고..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레이셔폭포
글레이셔폭포 아누라 님께
2021.09.15. 09:41

"인텔발표상 리틀8코어가 빅2코어의 성능을 못따라갑니다." → 인텔 공식 발표자료(올해 핫칩스 슬라이드)에 따르면 빅 4코어 대비 빅2+리틀8 조합의 멀티쓰레드 성능이 50% 이상 좋다고 합니다. 즉 리틀 4코어 모듈 하나가 대체로 빅 2코어분의 일을 하는 셈이죠.

IPC 격차 대략 40% x 최대 클럭 차이 25% x 하이퍼쓰레딩 30% 고려시에도 리틀 1코어가 빅코어 성능의 40% 정도는 내 주니 (스케줄링이 적절히 된다는 가정하에) 빅8+리틀8 조합은 10코어분 면적에 12코어급 성능을 낼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후속작인 랩터레이크의 경우 빅8+리틀16 조합인데 이 경우에는 12코어 면적에 16코어급 성능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글레이셔폭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Kerubim
2021.09.14. 15:20

저전력 라인업 전력소모가 좀 더 좋아지려나요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
개🐶
2021.09.14. 15:22

빅리틀은 그래도 좀 된 찌라시죠

이 빅리틀을 한다는게 깡성능보다는 전성비라는게 문제죠 뭔가 다른 목적이 있을지...

[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다물
다물
2021.09.14. 15:25

데스크탑은 빅리틀 안했으면 좋겠는데,

빅리틀 적용한다면 인텔처럼 8+8, 8+16 이런거 하지말고

빅코어 8+스몰코어 4 정도로 해줬으면 좋겠어요.

 

[다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레이셔폭포
글레이셔폭포 다물 님께
2021.09.15. 09:50

칩렛, 전성비 위주 설계인 AMD 젠 시리즈 코어 대비 모놀리식, 고클럭 위주 설계라 멀티코어 성능을 AMD만큼 팍팍 늘리기 어려운 인텔 입장에서 성능 밀도가 높은 (1코어 면적에 2코어급 멀티쓰레드 성능을 내는) 리틀코어를 섞어 멀티쓰레드 성능 경쟁력을 갖추려는 의도같습니다. 게임 등 빅코어를 활용하는 작업은 6~8코어보다 코어수를 더 늘린다고 하더라도 성능 차이가 오차범위 수준이고 자잘한 백그라운드 작업들은 6~7세대 수준 싱글쓰레드 성능으로도 잘 돌아가니까요... HEDT는 빅코어만 있는 사파이어 래피즈를 내년 출시한다고 합니다.

[글레이셔폭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글레이셔폭포 님께
2021.09.15. 09:50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953 13
핫글 미니 이건 좀 심하네요;; [22] file 애애앵 11:05 1419 14
핫글 미니 일본여행 Day2-3 file 후루꾸루 09:21 242 9
핫글 미니 OneUI Watch 6 충전 애니메이션 [7] newfile 일.칠칠이사오삼팔오 16:46 233 7
193966 미니 "울트라" [11] file Thomasp5675 21.07.20 1186 24
193965 미니 하도 갤럭시에 익숙해져서 못 느끼는 겁니다. [25] Havokrush 21.07.12 1186 20
193964 미니 윈도우11 설치 인증 받을려고 별짓 다 했네요. [5] file 엔당이희망입니다 21.06.25 1186 0
193963 미니 애당초 아이패드에 XCODE가 나왔다고 해도 [6] 룬룬 21.06.08 1186 0
193962 미니 내년 갤럭시는 역대급입니다. [16] reador... 21.06.01 1186 7
193961 미니 갤노트10 디자인 넘나 이쁘죠 [20] file 카밀리아 21.05.20 1186 19
193960 미니 애플페이 국내상륙! [15] file qazsdf 21.04.01 1186 13
193959 미니 신형 엑시노스 관련 케빈 소식 [23] file aleji 21.01.09 1186 0
193958 미니 빅서게이트는 일본도 피해갈수없었다 [10] 음란마귀 20.11.28 1186 9
193957 미니 갤럭시S21 3개 모델 출시 예정 색상 라인업 [13] 슈갤럼 20.10.24 1186 2
193956 미니 ??? : 삼성은 Next Nokia가 될 것이다!! [18] file AGRS 20.10.15 1186 14
193955 미니 아이폰12 추가 스펙유출 [28] file 한국과맞지않은애플 20.10.09 1186 3
193954 미니 레딧 애플 정보 유출자의 질답 [24] 팝카드있으세요 20.09.10 1186 0
193953 미니 쿠팡에 당한 잇섭.jpg [1] file 레제르바 20.08.26 1186 1
193952 미니 BOE디스플레이 갤럭시 피하는 방법 [8] file Aimer 20.05.03 1186 1
193951 미니 갤럭시 홈(+홈미니)와 스마트싱스 차이가 뭔가요? [12] [성공]함께크는성장 19.09.27 1186 0
193950 미니 Sgpu 썰 [24] 바보중 19.08.08 1186 5
193949 미니 에어팟 펌웨어 업데이트 하고 싶어서 쓴 방법.. [6] 라시드 19.05.02 1186 0
193948 미니 폴더블 시장 근황 [6] file 카더 24.03.12 1185 9
193947 미니 갤럭시 워치/핏 삼성헬스를 무시할수 없는 이유. [7] file 깃때모욕감맨 24.02.22 1185 13
193946 미니 애플의 RCS지원은 EU가 아닌 중국 때문이라는 소식 [7] AquStar 24.02.18 1185 13
193945 미니 S22+ OneUI6.0 최근 너무 버벅이고 리프레시가 심해져서 [5] 미붕붕드링크 24.02.04 1185 0
193944 미니 s24 색상 이정도로 나올까요?? [9] file maMeong 24.01.14 1185 7
193943 미니 마크 거먼) 애플 차기 에어팟 관련 소식 [2]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23.12.18 1185 5
193942 미니 one ui 6에서 뭔가 이상하신 분들 한 번 굿락 꺼보셔요 [9] 익명 23.11.19 1185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