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Havokrush

미니 베이퍼챔버에 대한 환상이 랩톱에서 시작된 거 같습니다.

  • Havokrush
  • 조회 수 1065
  • 2022.03.18. 10:20

랩톱에서는 히트 파이프가 (특히 울트라북 제품군에서) 부실한 경우가 많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 고성능을 지향하는 제품군에서는 베이퍼챔버 넣어서 열 설계가 나아진 경우도 많았죠.

 

기억나는 사례로는 XPS 17하고 레이저 블레이드 정도네요.

 

그런데 이건 말 그대로 물리적인 크기가 있고 팬까지 있으니까 해피 엔딩인 거지, 스마트폰에서는 그게 성립이 안되죠.

 

당장 물리적인 크기만 넣고 봐도 랩톱이 열이 배출될 공간이 훨씬 여유롭고 그걸 또 팬으로 식혀주기까지 하는데 스마트폰은 안 그래도 공간도 좁아터졌는데 팬 같은 것도 없으니까요.

 

게다가 스마트폰은 손에 쥐고 쓰는 물건인데 대책도 없이 냅다 크게 박아 넣으면 히트 파이프 대비 넓은 면적에서 열 배출이 고르고 빠른 특성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죠.

 

스마트폰에서는 그냥 전성비가 좋아지는 거 외에는 답이 없...

Havokrush
💻DELL XPS 17 9710
📱Samsung Galaxy Z Fold5
⌚️Samsung Galaxy Watch6 Classic 47mm
🎧Samsung Galaxy Buds2 Pro
🖱Logitech MX Master 3 / Logitech MX Master 3S
⌨Logitech MX Keys Mini / Logitech MX Mechanical Mini
댓글
22
서린
1등 서린
2022.03.18. 10:26

AP제조사들이 최대성능도 좋지만 유지율과 전성비를 좀 신경써야 될텐데 말이죠..🤔 전기 많이 먹으면 엄청 뜨겁고 유지율도 고꾸라지고 배터리도 살살 녹고 참 거시기한데 말입니다.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서린 님께
2022.03.18. 10:28

마케팅 포인트가 최대성능인 게 크죠 ㅎㅎ

 

이쪽을 설명하는 게 더 쉽기도 하고 말이죠 ㅋㅋ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서린 Havokrush 님께
2022.03.18. 10:34

이런 거 보면 소비자가 잘 알아야 기업들도 그쪽으로 따라가주는데.. 그렇지가 않다보니 다들 편한길로만 가려고 하네요..😇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서린 님께
2022.03.18. 10:34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quStar
best 2등 AquStar
2022.03.18. 10:30

e87bc8d0bd6a226c1d01106e48cc76e8.jpg

 

당장 스마트폰의 대형 VC 무용론을 대놓고 보여주는게 중국제 스마트폰인데, 실제 테스트 결과를 배제한 채 VC크기만 가지고 선동하는건 악질이죠, 그런데 그게 겉으로 보기에 너무 잘먹히는 프레임이라 ㄴㅁ위키를 비롯한 언론사 등도 이 VC 크기가 문제다 라는 식으로 작성하는게 솔직히 보기 좋진 않습니다.

[AquSt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AquStar 님께
2022.03.18. 10:30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quStar
AquStar AquStar 님께
2022.03.18. 10:34

이렇게 말하면 또 벤치마크 등에서 안정성이 중국이 더 좋다 라는 소리가 나오던데

중국 브랜드 스마트폰들과 갤럭시의 기본 설정 자체가 달라요, 커널단에서 온도와 전력소모를 최대한 느슨하게 풀어서 사용자가 뜨겁든 말든 최고 성능을 어떻게든 유지하려 하는게 중국 브랜드들의 특징이라면 갤럭시는 커널단에서 온도를 꽤 제한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벤치마크상 성능이 떨어져보일 수 밖에 없죠

그런데 지금 S22 평가 어떻습니까? 아직 여름도 아닌데 뜨겁다는 말 나오고 있는데 중국제 처럼 커널단에서 아얘 발열제한 풀어버린다? 이건 결코 소비자가 원하는게 아닐텐데요

[AquSt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AquStar 님께
2022.03.18. 12:01

손에 쥐고 쓰는 물건에서 최대성능 뽑겠다고 쓰로틀링 널널하게 잡고 불타든 말든 상관 없다는 식의 정책이 더 문제죠.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루옹
3등 하루옹
2022.03.18. 10:31

환상을 만들어서 관심을 끌고 이익을 얻는 사람들이 있어서 더 확산되는거죠..

[하루옹]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하루옹 님께
2022.03.18. 12:01

그냥 이때다 싶어서 물고 보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겁니다 ㅎㅎ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erminus
Terminus
2022.03.18. 10:32

결국 액티브 쿨링이 들어가지 않는 한 지금의 상태에선 뭘 해도 불덩어리가 될수밖에 없죠...

[Termin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Terminus 님께
2022.03.18. 12:02

그런데 스마트폰에서는 게이밍 기어 이쪽 아니면 사실상 답이 없죠.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affeineJuice
CaffeineJuice
2022.03.18. 11:10

요즘 드는 생각인데 벤치하고 고성능 게임을 스마트폰에서 돌리는건

경량 내장그래픽 노트북에서 고사양 게임 돌리는 수준 아닌가 싶습니다.

고사양 AP는 가끔 강한 퍼포먼스 뽑을때 필요하다고 해도

그만큼 게임을 원하면 쿨러 딸려 나오는 게이밍 폰 사는게 맞지 않을까요?

[CaffeineJui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CaffeineJuice 님께
2022.03.18. 12:04

이게 랩톱하고는 또 성질이 다른 물건이라 더 그런 거 같습니다.

 

랩톱은 성능 별로 급나누기뿐만 아니라 용도도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스마트폰은 그냥 좋은 놈이 좋다는 식이다 보니...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지나가던호갱
지나가던호갱
2022.03.18. 11:15

베이퍼 챔버가 아무리 좋아도 결국 패시브라서 용량 이상의 열이 발생하면 결국 온도가 오르는데 말이쥬 

[지나가던호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지나가던호갱 님께
2022.03.18. 12:06

어느 순간부터 베이퍼챔버가 만능통치약처럼 여겨지더라고요 ㅋㅋ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2.03.18. 11:46

안드AP는  그냥 이제 애플칩하고는 차원이 다르다.. 거리가 멀다 정도는 이제 인정하고 넘어가야 하지 아느까 시프요

다음 AP는 최대성능 포기하고, 에버러지로 싱글 900대, 멀티 3000대 중반만 꾸준히 나오게 만들어주면 될것같아요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vokrush
글쓴이
Havokrush 나르자 님께
2022.03.18. 12:07

그건 아예 경쟁을 포기하겠다는 말이니까 말이 안 될 거 같고, 쓰로틀링이든 열 설계든 적당히 잘 짜서 나오는 방법 외에는 없겠죠.

[Havokrush]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Havokrush 님께
2022.03.18. 12:07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영어공학과
영어공학과
2022.03.18. 12:14

이게 게이밍폰들 같은거 보면 스냅드래곤865 까지는 확실히 효과가 있었던거 같은데....

888을 지나 8 gen1이 되면서 방열판으로도 불가능한 수준이 온거 아닌가싶습니다

[영어공학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WORKS_2018
SWORKS_2018
2022.03.18. 13:16

순간 성능을 필요로 하는 케이스가 상당부분일테니 발열이 있더라도 최신 ap를 안쓸수는 없었을거에요. 

S22U 쓴지 3주는 된거 같은데 실제로 발열로 문제 있다 느껴본적도 없고요. (원신 제외) 

 

GOS 안타협으로 삼성에 어이없긴 했지만 지금 상황은 다들 발열 전문가들인척 하고 있어 좀 황당합니다.

 

[SWORKS_201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후추
후추
2022.03.18. 13:33

그냥 시장에선 시속 120km/h 찍는 치타가 짱인것입니다

[후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8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32] update [성공]함께크는성장 15:06 949 20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5] file AquStar 16:04 620 16
핫글 미니 노트7으로 회귀 [5] file 빅코 07:55 905 11
187367 미니 잡담: 결국 4LPP/4LPP+ 의 현재 세부상황을 모르는 상태라서 [10] Section31 23.03.09 1067 3
187366 미니 갤럭시s23울트라 링케 케이스 이쁘네용 [7] file 순살파닭 23.02.23 1067 10
187365 미니 ARM이랑 퀄컴은 서로 상반된 주장이네요 [12] 갠냑시 23.02.05 1067 1
187364 미니 갤북 3 프로 가격 미쳤네요. [19] file 인헤리턴스 23.02.01 1067 4
187363 미니 iOS도 버그는 상당하지 않았었나요? [18] 갠냑시 22.12.26 1067 13
187362 미니 대륙 짝퉁 수준 [7] 걸리면하이킥 22.12.23 1067 8
187361 미니 우효~~ 서피스에 중독 [13] file 오토카모 22.11.30 1067 10
187360 미니 s22u 개기월식 종결 expert raw [1] file 씨샾 22.11.08 1067 10
187359 미니 가끔 버그없고 느려짐 없는 ios라는 분들이 있던데 [13] Qkooqq 22.10.28 1067 15
187358 미니 이거 완전 young하고 mz같은 홍보방법인데요? [5] file kiicq 22.10.25 1067 5
187357 미니 삼성페이 패스 운전면허증.jpg [8] file 스퀴니 22.10.25 1067 0
187356 미니 라이젠 7950X 230W와 142W 성능차이는 단 5% [5] file PatGelsinger 22.09.27 1067 4
187355 미니 플립은 접어서 패키징하면 더 이쁠 거 같습니다 [11] 당신말이맞습니다 22.07.25 1067 4
187354 미니 s23울트라 메인카메라 성능이 유출되고있는데 [2] 출사표 22.07.19 1067 1
187353 미니 WSJ의 아이폰 베이비 다큐멘터리에 재밌는 부분이 나왔습니다 [23] file AquStar 22.06.29 1067 12
187352 미니 내년 S 시리즈는 리스크가 좀 적지잖을까요? [19] 흡혈귀왕 22.06.23 1067 3
187351 미니 삼성 마이크로sd 256이 2만원대애 [8] 슈피리어 22.06.23 1067 15
187350 미니 이번 애플 결론은 M1 에어 산 사람이 승자다 [5] Ap좋은놈 22.06.07 1067 2
187349 미니 리디페이퍼 4 느낌 [4] 숨겨진오징어 22.03.21 1067 0
187348 미니 해외 레딧이나 커뮤에서 흔한 밈중에 [5] MiKor82 22.03.19 1067 9
187347 미니 별풍 내역 랭킹 보여줘 [19] file 오토카모 22.02.22 1067 20
187346 미니 탭 울트라는 걍 완전 노트북이네요; [5] 뚜시뚜시 22.02.15 1067 2
187345 미니 [루머] 삼성 갤럭시 듀얼 폴딩 폴드 스마트폰 개발중 [15] 프로입털러 22.02.12 1067 1
187344 미니 초능력이 생겼습니다 [13] file Alternative 22.02.06 1067 8
187343 미니 이 영상보고 서피스 뽕이 좀 빠졌네요 [17] 닉포토 22.01.15 1067 2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