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tdpc

미니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이 애플의 A 칩셋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 때문인가요?

  • tdpc
  • 조회 수 2404
  • 2022.05.31. 13:31

특히 CPU 쪽이요.

 

여러가지 종합적인 원인이 있겠지만 그 종합적인 이유에는 크게 구체적으로 무엇무엇이 있고 선생님들께서 보시기에 각각의 사유가 지금의 상황에 얼마나 큰 지분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미코의 여러 선생님들께서 올리는 글 포함 여러 프로세서 설계, 반도체 생산 쪽 글을 찾아서 읽어본 결과 정말정말 간단히 요약해서,

 

1. 아키텍처 설계 단계에서

특히 최근의 빅코어 X 시리즈처럼, ARM의 코어텍스 시리즈 설계가 미숙했음.

금년 AP의 경우, Cortex-X2 & Cortex-A710이 좋은 CPU 설계이지 못함.

 

2. 칩셋 설계 단계에서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 모두 시스템 캐시 용량을 적게 탑재하는 기조를 이어감.

특히 삼성 엑시노스에서, 칩셋 단가 절감을 위한 솔루션으로 다이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시스템 캐시 용량을 감소시키고 CPU 클럭을 올리며 땜빵

스냅드래곤의 경우도 시스템 캐시 구성이 짬.

 

3. 칩셋 생산 단계에서

최근 2년간 삼성 파운드리의 5nm 공정 역량이 미숙했음.

그 결과 성능편차도 굉장히 심하거니와, 칩 설계 단계에서 의도한 성능이 충분히 나와주지 못함.

 

4. 경쟁사의 경우

1) 애플의 칩 설계능력이 고도화됨. 아키텍처도 ARM기반 자체 커스텀을 만들어 사용함.

2) 시스템 캐시도 후함.

3) 삼성 파운드리가 삼성전자 산하 기관이므로, 애플이 설계한 칩을 삼성 파운드리에 수주했다가 노하우가 경쟁사에게 자세히 참고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A칩을 쭉 TSMC파운드리에 수주해온 것이 도움이 됨.

여러모로 안드로이드 진영에 비해 변인 통제가 잘 됨.

 

로 정리되는 것 같은데,

그래도 경쟁사와의 성능 격차는 칩셋 제조사들로서 분명 신경이 쓰일 텐데 말이죠.

삼성은 엑시노스를 접고 갤럭시 특화 AP를 만든다는 (강력한) 루머가 있지만야 퀄컴은 낼 수 있는 솔루션이 있을까 의문이기도 합니다.

 

퀄컴은 파운드리를 옮겨보았고 분명 개선점이 있으나 TSMC 4nm의 SD8+G1이라고 해서 A15와의 격차 (피크 성능이 아니라 전성비와 유지력을 포함한 모든 지표에서) 는 여전히 차이가 크다보니,

오히려 안드 진영의 한계점 윤곽선이 더 명확해지는 모양새라 왜 이렇게 됐을까 궁금하게 되네용

댓글
27
tdpc
글쓴이
tdpc 갤럭시Z플립4 님께
2022.05.31. 13:36

엥 진짜 그렇게 썼네요... 수정했습니다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럭시Z플립4
갤럭시Z플립4 tdpc 님께
2022.05.31. 13:45

언급하신 퀼컴도 CPU 설계업체인 누비아를 인수해서 2025년에 완전새로운 ARM CPU를 내놓는다고 하니 기대할만하죠 ㅎㅎ 뭐 어디까지나 기대이지만...🤣

[갤럭시Z플립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글쓴이
tdpc 갤럭시Z플립4 님께
2022.05.31. 14:32

오 모르고 있었는데 갤럭시 커스텀 칩 출시 목표 년도와 시기가 같네요?

그 사이 스냅드래곤 성능은 어떨지.. 다시 좋은 모습 보여주면 좋겠는데...ㅠㅠㅠ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IMOSHI
2등 NIMOSHI
2022.05.31. 13:35

애플은 os도 같이 만들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Ap에 맞춰 os도 같이 제작하니 효율성 측면에서 안드로이드 보다 좋은거 같습니다.

[NIMOSH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애용
3등 김애용
2022.05.31. 13:37

M칩도 그렇지만 호환성 차이도 상당하죠..

[김애용]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STRAY
best ASTRAY
2022.05.31. 13:38

ARM설계가 원흉이죠... 8 GEN 1+랑 디멘 9000이 TSMC인데 성능을 못 따라잡은 시점에서 공정 문제는 신경을 끌 수 있는 문제입니다.

 

애초에 같은 IP 기반인 애플이 더블클러스터에 더적은코어로 트리플 클러스터를 이기는 시점이고 그게 레퍼런스 코어를 쓰니까... 그냥 그저 arm설계가 원흉인겁니다.

 

애초에 애플이 더블 클러스터로 저정도 성능을 내는걸 이미 보야줬는데 X코어를 내서 전체 전성비를 조져버리는 선택을 한건 진짜...

[ASTRA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글쓴이
tdpc ASTRAY 님께
2022.05.31. 14:31

코어텍스 X 시리즈가 3세대를 바라보고 있는데 들려오는 이야기는 하나같이 또 안 좋네요...;

아키텍처 설계가 쉬운 일은 아니고, 사실 아주 어려운 일이지만 결과적으로 3세대째 멸망중이니 이게 무슨 상황인지 이해가 잘 안 갑니다. 😥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STRAY
ASTRAY tdpc 님께
2022.05.31. 14:25

시작 부터가 잘못된거라고 봅니다.  X코어 개발 얘기를 하기전에 미들 코어 성능을 확실히 챙겨서 빅코어로, 스몰코어를 확실하게 전성비 끌어올려서 멀티성능 받쳐줄수 있게 설계를 해야하는데...

이게 진짜 절망적인게 최소한 올해 IP들 자기네들 말대로라면 ARMv9으로 IP 버전이 올랐는데 리틀코어 멀티성능 따지면 애플에 절대적으로 밀리고...(심지어 여긴 X랑 미들코어까지 합쳐서 멀티성능 내는데 코어수도 더 적은 상황에 발리죠...) X코어 싱글성능도 결국 애플 빅코어에 절대적으로 밀리잖아요...? 

 

거기다 회사 자체 상황만 보더라도.. 저기 연구 능력이 이젠 존재하는게 맞나 싶을 정도인 상황에... 퀄컴이든 삼성이든 안일하게 레퍼런스 걍 씀 이런게  문제죠..

 

그나마 퀄컴이야 이래선 안된다 하고 누비아 인수라도 했다지만.... 이제사 삼성 TF만든다 하는거 보면...

[ASTRA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kekimi
Likekimi
2022.05.31. 13:40

자사 소프트에 맞는 전용 칩셋이라면 기능이 높을수밖에요

+ 하드웨어고 소프트웨어고 누적된 경험치가 타업체랑 급이 다르기도 합니다

[Likeki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Likekimi 님께
2022.05.31. 13:40
회원님 5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yanpen
Cyanpen Likekimi 님께
2022.05.31. 13:49

Arm의 원조맛집이 애플인것도 한몫한다고 봅니당

Acorn Risc Machine 인수해서 Advanced Risc Machine으로 개명했던것도 애플이니..

[Cyanp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2.05.31. 14:34

1. ARM 측에서 X 의 개발 방향이 스마트폰 타겟이라기보단 랩톱에 가깝다고 많이 얘기가 나왔읍니다. 결과적으로 전성비보단 절대적 성능에 치중하기도 했고요.

 

2. 캐시의 경우 ARM 레퍼런스에 못미치게 넣었는데 이건 공정 영향이 컸다고 봐요. 캐시 자체가 사이즈 줄이기가 매우 어렵고.. 그래서 한정된 다이사이즈에 우겨넣기에 실패한 걸로요. 킹리적 갓심으로 SD8G1이 제품 기준으로 한세대 건너뛰어서 적용되기도 했구요. 반면 디멘시티는 레퍼대로 들어갔습니다. 샘성은 알고 있..

 

3. 2번과 이어지는 걸로..

 

4. 이 부분에서 삼성이 매우 아쉬운게 그전까지 애플과의 위탁생산 관계 때문도 있겠지만 몽구스 프로젝트도 늦게 시작했고요. A칩이 탄탄하게 성장할 수 있던 계기는 설계회사를 인수하고 ARM기반을 쌓아온 경험 덕분이이기도 하고, 삼성은 개발 시도도 늦고, 인수합병도 없고, 팀 해체 이후 움직임도 없었고. 뭐 그렇게 보입니당.

 

여담으로 퀄컴이 누비아를 인수하고 자체 코어 개발을 하고있는 걸로 아는데 (2025년 적용? 이라는 기사를 본적있어요) 참고로 누비아쪽 코어는 타겟이 일반적인 컴퓨터들이라 전성비에 얼마나 유리할지가 관건입니다. 저는 살짝 비관적.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글쓴이
tdpc Butzed 님께
2022.05.31. 15:20

1. 와 코어텍스 X 개발 초점은 처음 들어봅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2. 시스템 캐시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도 같이 작용을 했었군요 요것도 잘 알아갑니다 선생님

4. 그래서 지금 갤럭시 전용 커스텀 AP를 만들겠다는 게... 진짜로 그렇게 일사분란하게 움직이고 있다면 응원하고 기대도 하지만 한편으론 의심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시기적으로 늦지 않나요.

 

윗 선생님께서도 퀄컴-누비아를 말씀해 주셨는데 이쪽은 오랫동안 알아본게 아니라서 알아볼만한 요소가 굉장히 많은데 재밌네용. 퀄컴쪽 소식도 앞으로 가끔 찾아봐야겠습니다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2022.05.31. 14:40

모든 건 규모의 경제로 요약이 가능합니다.

때려박는 돈도 차원이 다르고

과감한 투자의 근거가 되는 휴대폰/태블릿 판매량도 애플이 한참 우위에 있죠.

갤럭시 S 시리즈의 판매량이 3천만대 근처에서 몇 년째 주춤거리는 동안,

애플은 1억대 '따위'는 금방 팔아치우고 2억대를 가느니 마느니 이러고 있습지요.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1q2w3e4r! 님께
2022.05.31. 14:45

따라서 애플은 1억대 이상 팔리는 아이폰의 핵심 부품인 ap 개발에 갖은 노력을 다 했고

이 회사가 돈이 없는 회사도 아니다보니 자연스레 그 격차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생각해볼 게 있습니다.

갤럭시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퀄컴과 엑시노스의 탑재 비중을 50:50 ~ 60:40 정도로 유지해왔는데

갤럭시 S 시리즈 판매량은 연간 3천만대에 불과합니다.

그러면 엑시노스를 많이 찍어봤자 1500만개 남짓인데

이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삼성의 높으신 분들이 과감한 투자를 집행할 수 있을까요?

전 좀 회의적으로 생각합니다. 

요약하자면...

삼성 : 공부도 못하는 애가 집안에 돈이 없어서(어디까지나 상대적) 학원이나 과외도 받지 못한 채 전교 1등을 넘어서야 함.

애플 : 공부도 잘 하는 애가 집안에 돈도 많아요. 그래서 시험만 쳤다 하면 1등 성적표를 받아옴.

정도로 갈무리할 수 있겠네요.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1q2w3e4r! 님께
2022.05.31. 14:52

이건 해석을 다르게도 보셔야하는데 문제는 애플은 만들면 무조건 애플 생태계 안으로 판매대상이 제한됩니다. 맥, 맥프로 등에서도 쓸 수 있고 모바일에선 제일 크다고 해도 그게 끝이에요. 프로세서가 필요한 디바이스 전체로 보면 한계가 명확합니다. 반면 퀄컴/삼성은 거기에서 아주 자유롭죠. 서버도 되고 웍스도 되고 데스크탑도 되고 IoT도 임베디드 되고 필요하다면, 의지가 있다면 분명 시장은 있었습니다. 그걸 당장의 회계상의 지표를 맞춘다고 기존에 투자했던 부서까지 공중분해시켜버린건 "집안에 돈이 없어서" 라고 비유되기엔 전혀 맞지 않는 이야기죠.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글쓴이
tdpc 1q2w3e4r! 님께
2022.05.31. 15:13

우선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 제가 이해하고 있던 내용이 대강 맞는 것 같네요.

그런데 그럼 엑시노스와 달리 전세계 대다수의 스마트폰에 탑재되고 수익의 상당수가 개발 역량에 투자될 수 있는 퀄컴의 경우는? 하고 의문이 남습니다.

요건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가진 퀄컴이 안일해서" -> 라고만 하기엔..., 이해가 되면서도 A 칩셋이 비교 대상이 굳건하게 있어서인지 납득이 잘 안 갑니다.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tdpc 님께
2022.05.31. 15:10

안일한거 맞습니다. 본래 16~17년 즈음엔 퀄컴이 서버시장 진입 예정이었고, 이에 따라서 커스텀 아키텍쳐 부서 역시 서버/데이터센터 부문과 한덩어리가 되어있었습니다. 그랬던것을 신규 시장 개척과정이라 돈이 많이 드는걸 감수하는 대신에 제품이 시장에 안착하기도 전에 1세대만에 단숨에 공중분해시켜버렸습니다. 벤더들이 완제품 전시할때 되니까 사업부서가 완전히 해체되어있는 골때린 상황이 벌어졌죠.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글쓴이
tdpc RuBisCO 님께
2022.05.31. 15:20

아 그런 일이 있었군요...;;

노골적으로 일부 기능이 블락된 채 출시되는 중급기용 스냅드래곤 보면서 저런 마인드로 장사를 하는 게 맞나 싶었는데

두 선생님께서도 그렇지만 다른 곳에서도 같은 말을 하는게...

말씀 감사합니다 선생님들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tdpc 님께
2022.05.31. 15:16

애플한텐 통신칩 팔아서 쏠쏠하게 벌어먹고 있고(a 시리즈 칩셋보다 퀄컴이 납품하는 통신모뎀의 단가가 더 높다는 썰이 있습니다)

애플은 어차피 안드로이드 진영한테는 ap 판매를 안 하는 데다가

삼성도 계약 관련으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7032166721 엑시노스 외부 판매에 족쇄를 달아놨죠.

즉, 엑시노스가 제아무리 잘 뽑혀서 나온다고 한들 다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사가 스냅드래곤 대신 엑시노스를 쓸 일은 0%에 가깝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이쯤돼서 머리에 단어 하나가 떠오를 텐데요... 

네. 바로 그겁니다. 땅 짚고 헤엄치기. 나쁘게 말하면 독과점.

찔끔찔끔 성능 향상만 시켜주면 알아서 스냅드래곤을 구매해줄 흑우들이 넘쳐나는데 왜 피같은 돈을 때려박아서 커스텀 코어를 만들어야 하죠?

...이게 누비아 인수 이전에 퀄컴의 스탠스였다고 봅니다. 지금은 누비아 인수로 뭔가 끄적거리는것 같긴 하지만요.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1q2w3e4r! 님께
2022.05.31. 15:18

AP가 소요되는 곳은 "스마트폰" 만 있는게 아닙니다. 스마트TV, 데스크탑, 랩탑, 각종 임베디드 기기, 자동차 뭐 아주 다양하죠. 그리고 그런 다른 시장들은 삼성이 거의 대부분 걷어찼습니다. 그나마 자동차에 찔끔 찔러보면서 간을 본 정도가 끝이군요. 퀄컴은 말씀하신 대로 그냥 현실에 안주해서 꿀빠는 안이함 그 자체였고요. 누비아 인수는 뒤늦게 실책을 깨닫고 다시 수습하려는 모양새인거 같긴 한데 근시일내엔 힘들겠죠.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2022.05.31. 14:43

퀄컴/삼성은 그냥 노오력 자체를 안했으니까요. 다른게 아니라 그냥 진짜 글자 그대로 1센트어치 노력조차도 안했습니다. 부서를 공중분해시켰으니 뭐...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글쓴이
tdpc 두유 님께
2022.05.31. 16:09

아 이 글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요런것도 있네요 참...복잡하군요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p좋은놈
Ap좋은놈
2022.05.31. 16:33

기술격차 설계죠. 애초에 os까지 다 지들이 만들고 근본오 sw회사입니다

[Ap좋은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p좋은놈
Ap좋은놈
2022.05.31. 16:46

그리고 이제와서 규모의 경제로 끼워맞추는데 애초에 초기 아이폰은 삼성이 설계했고 gpu도 이미지네이션사 꺼였죠. 아이패드 프로2까지 이미지네이션입니다(2017~18) 자체 설계 A칩이 생각보다 오래되지도 않았어요. 맥북도 인텔이었고 m1칩 보급 3년차 가는 시점이죠 이 모든게 규모의 경제라기에는 차근 차근 R&D 투자해서 장기플랜 만들고 애플 생태계 만든거지 애초에 안드로이드나 삼성이 급격하게 플래그십에서 밀린게 X나오고나서부터죠. 진짜 7까지는 비벼볼만 했어요 성능이나 이런면에서 말이죠. 8부터 애플에 기울더니 애플 A칩과 M칩의 성공으로 일원화했죠. 규모의 경제가 먼저가 아니라 규모의 경제를 만들기 위해 장기 플랜을 성공시킨겁니다

 

 그 시기에 삼성이 한건 타이젠 만들다 이도저도 아니게 버리고 몽구스 커스텀실패 해체 안일했죠. 허밍버드시절에는 삼성이 ap에 사활을 걸었고 지금 망한 텍사스 오스틴이랑 설계 경쟁 열심히했습니다

 

결국 투자 안하고 이것저것 하다 버린게 크죠. 구글도 A칩 만들어지는 동안 태블릿 생태계 버리고 스태디아니 뭐니 이것저것 문어발 삽질만하다 망했고 인텔은 최근까지도 정신 못차리다 이제 정신차린 시점입니다. 

 

 

[Ap좋은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332 13
핫글 미니 엑시노스 응원하는 분들은 딱 이런 마인드죠 뭐 [19] Stellist 24.06.22 1150 25
핫글 미니 애플이 유럽에 단단히 삐졌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9] Stellist 24.06.22 1831 21
핫글 미니 솔직히 저도 엑시에서 뭔가 큰 기대를 하는 단계는.. [35] 흡혈귀왕 24.06.22 1188 17
3990 미니 투고가 무슨 뜻인가요? [4] 심플리 21.01.08 2103 0
3989 미니 Wh-xb910n 구매했읍니다 [4] 럼펌펌 22.06.03 2103 5
3988 미니 삼성 로고가 이상하다? [33] peekaboob 23.12.29 2103 23
3987 미니 갤럭시 S22 vs 타 플래그쉽 [14] file Thomasp5675 22.01.01 2104 7
3986 미니 아이폰SE3 예상 렌더링이라네요. [14] file 바라보다 22.02.02 2104 3
3985 미니 발열은 진짜 한번 제대로 당해보면 치를 떱니다 [18] 크나앙 23.09.27 2104 22
3984 미니 웹개발하면 애플이 그냥 웬수입니다 [13] ONNURI 23.12.22 2104 38
3983 미니 유튜버가 끼고 있는 링 이거 [13] file 펄럭펄럭 24.03.01 2104 1
3982 미니 안드 직구폰 쓰고 싶어도 장벽이 너무 높네요. [4] file 비온날흙비린내 20.05.03 2105 1
3981 미니 역시 아이폰 배경화면 이쁩니다. [4] file 이시우배찌 20.10.23 2105 1
3980 미니 라인도 멀티 디바이스가 안되는군요 [14] [성공]함께크는성장 22.04.12 2105 2
3979 미니 진지하게 S24+ 생각중입니다 [16] 우리애는깨물어요 23.05.23 2105 18
3978 미니 뭔가 제대로 잘 모르는 기자님... [15] file Stellist 23.12.19 2105 26
3977 미니 플렉슬 간단후기 [12] 여우같은하비 21.02.25 2106 1
3976 미니 워치류 착용하구 절대 비눗물엔 닿지 않게 하세요...ㅠㅠ [5] 스프레이 21.07.01 2106 2
3975 미니 논문으로 보는 TSMC/삼성 4나노 [2] file 좌지우건 23.07.05 2106 10
3974 미니 갤럭시 버즈 라이브 착용샷입니다 [27] file S20울트라짱 20.08.01 2107 1
3973 미니 갤럭시 탭 떡상이네요 [16] Thomasp5675 20.08.21 2107 15
3972 미니 맥세이프 vs 일반 무선충전 완충시간 비교 [11] file Stellist 20.11.16 2107 0
3971 미니 로지텍 플로우 쓰시는분 있나요? [10] 좌상탄아홉발이상무 21.05.12 2107 0
3970 미니 M1 아이패드 원신 그래픽 깨짐 현상 발생 [14] 배붕이 21.06.01 2107 3
3969 미니 Samsung Continuity Service(멀티 컨트롤) [12] file moosoon 22.04.05 2107 3
3968 미니 사전구매 SC+ 파손1회 자기부담금 보험금 청구, 폴드4 파손 보험 삼케플 처리 후 자부담금까지 환급 과정 [4] Minny 23.06.11 2107 12
3967 미니 꺼무위키 진짜 기를쓰고 애드가드 막네요 [13] Aimer 22.04.20 2108 1
3966 미니 “소시지나 끼워라” 갤럭시 조롱한 월 저널 칼럼니스트 근황 [26] file 크로아츠 23.09.15 2108 38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