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3나노 수율은 뭐 TSMC 높은건 FinFET인것도 감안해야겠죠

삼성은 MBCFET이니깐요..

 

일단 삼성은 아직 수율을 크게

기대하기보단 목표 성능 대비 테스트 베드에서

성능 안나오는 문제 잡는게 시급할겁니다.

 

다행히도 SF4(4LPP)부턴

테스트 베드에서 성능이 곤두박질치는

이슈는 잡은듯하네요.

 

수율은 아직이지만

4LPE때처럼 20% 같은 말도안되는 수치는 아닌듯합니다.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22
나르자
1등 나르자
2023.01.02. 22:11

엊그제 부터 도는 SF3 수율에 대한 루머들은, 한귀로 흘려야 할거 같은 느낌이군여 ㅇㅇ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2등 MaxPax
2023.01.02. 22:15

삼성이 3나노에서 GAA를 택한 이유가 비슷한 수준의 PPA를 FINFET으로 달성하려면 삼성의 기술 수준으론 어려워서라는 소리가 있던데 사실이 아닌 걸까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MaxPax 님께
2023.01.02. 22:16

그냥 FinFET보다 성능 올릴려고 한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best gamma MaxPax 님께
2023.01.02. 22:22

구조나 물질 변경있을 때가 위기이자 기회인데 어차피 GAA로 가야하는건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니 남보다 조기도입하는걸로 승부수 띄운거겠지요.

잘 넘어가면 몇 년동안 안정적으로 공정 미세화 끌고 갈 수 있고 그 사이 상대가 전환에 삐걱거리면 확실히 격차 벌릴 수 있으니까요.

핀펫 베이스에서 공정 성능이 뒤쳐진 삼성에서는 밑져야 본전이니 선택할 수 밖에 없고, 앞서있는 TSMC는 무리수 둘 필요 없겠고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gamma 님께
2023.01.02. 22:27

그쵸 삼성 입장에선 레알 밑져야 본전이니 밀고가는 수밖에 없는 상황 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gamma 님께
2023.01.02. 22:32

마이크론은 우리가 뒤쳐졌으니 EUV 늦추고 DUV로 베타급까지 가자는 전략이던데 삼성은 반대군요.

메모리와 파운드리의 시장 차이에서 기인한건지... 여튼 감사합니다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꾸리
오꾸리 MaxPax 님께
2023.01.02. 22:38

DRAM은 아직도 10nm 중반부터 중후반까지 포진하고 있어서 아직 버틸만 하거든요.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오꾸리 님께
2023.01.02. 23:11

제 생각은 반대인게 파운드리는 분야가 많고 구공정에 대한 시장수요 또한 강합니다. 매출기준 점유율을 보면 10nm 16nm는 물론이고 십수년도 더 된 28nm 이런게 한 따까리 하고 있습니다. 60nm 90nm도 여전히 활발합니다.

반면에 메모리 시장은 선단, 차선단 공정의 매출 점유율만 기형적으로 높습니다. 표준화가 잘 되어있고 생산성이 중요한 까닭입니다. 그리고 마이크론은 현재 1알파, 1베타 등 그야말로 컷팅엣지 분야에 DUV를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중입니다. 3사별 1알파 노드의 비트기준 점유율도 마이크론이 제일 높고요.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MaxPax 님께
2023.01.02. 23:20

DRAM에 EUV 도입은 장단점이 얽혀있어서 로직하고 비교하기 좀 힘듭니다.

 

일단 메모리는 공정 개선에 따른 효과가 생각보다 엄청 크지 않습니다.

제조사 입장에서 쉬링크 효과로 원가절감되는게 필요하니까 하는거지, 공정 미세화로 얻어지는 소비전력 감소, 스피드 향상이 고객 입장에서 그렇게 크리티컬한 선택 요인이 아닙니다.

호환성때문에라도 jedec 표준 스피드만 보증되면 충분하다는 느낌.

 

시장 측면으로보면 파운드리는 공정성능, 수율로 어필해서 주문 못 받으면 공장 가동률 망하지만 메모리는 제품별 수요 예측해서 미리 찍어놓으면 언젠간 팔 수 있거든요.

사실상 기본 가동률이 파운드리랑 비교가 안 되고 그 엄청난 캐파를 상시 돌리고 있다는겁니다.

이걸 전제로 깔면 이해가 되는 부분이, 어설프게 공정 미세화했다가 불량 터지면 해당 물량이 엄청나서 수습하기 힘듭니다.

귀책 문제 제대로 처리 못 하면 물량 교환이든 향후 계약 패널티든 고객사한테 내줘야되는게 크고요.

그래서 공정 미세화해서 양산성공했다고 이전 공정 제품 다 빼는게 아니라 이후 몇 년동안 여러 세대 제품이 같이 생산됩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메모리에서 공정 미세화는 개발은 계속되고 빠르지만 양산 적용과 세대 교체는 엄청 보수적으로 진행된다는거.

 

여기에 EUV 공정이 끼어들면 장비 수급문제, 상대적으로 삼성보다 부족할 EUV 공정 노하우, EUV 장비가 있어봐야 충분하지 않으면 제품 한 종류 캐파도 감당 못 하게 되는 점 등등 발목잡을 이유가 늘어나고요.

다만 EUV 공정 도입 지연이 불리하게 작용하는 시점은 분명히 올겁니다.

메모리 시장 전망이 안 좋아서 삼성 빼고는 투자 감축에 감산까지 계획하는 상황이라 당장은 두드러지지 않겠지만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gamma 님께
2023.01.02. 23:26

메모리와 파운드리의 시장 차이라는 거군요.

마이크론이 1감마부터 EUV 5개 레이어가 적용된 D램을 생산할거라는데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낸드에서 FG->CTF의 전환은 마이크론이 경쟁사대비 늦었어도 결과론적으로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평가받던데 D램은 어떨 지...

매번 좋은 뉴스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꾸리
오꾸리 MaxPax 님께
2023.01.03. 00:08

DRAM의 경우 선폭이 좁아지면 케페시터를 형성하는게 힘들기때문에 아직도 10nm대 공정을 유지하고 있는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DUV와 EUV의 경우는 생산 단가의 문제가 있는데 아래 링크에서 대략적인 정보를 얻을수 있을듯합니다.

 

https://tristanchoi.tistory.com/54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패주초
3등 패주초
2023.01.02. 22:32

삼성은 뭔가 공정에 신기술을 이르게 많이 적용하는데

어째 시간이 지나도 그 신기술에 적응을 못하는 느낌이네요

 

[패주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패주초 님께
2023.01.02. 22:38

EUV때 첫단추 잘못끼운탓이죠.

논EUV땐 TSMC랑 경쟁 가능하고 더 나은 부분도 있었으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케이비어
케이비어
2023.01.02. 22:39

삼모바일에선 수율 60퍼라던데요

그리고 저 80퍼 출처도 대만 황색언론으로 악명높아서 신뢰가 영...

[케이비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케이비어 님께
2023.01.02. 23:14

절대 60% 아닐겁니다.

SF4(4LPP)가 그보다 낮거든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axPax
MaxPax 흡혈귀왕 님께
2023.01.02. 23:33

샘모바일에서 나온 수율이 현재 생산하는 채굴 칩 기준이라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칩 스팩이 떨어진다는데

[MaxPax]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MaxPax 님께
2023.01.02. 23:51

아 그놈 기준이면 맞을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yon
Aimyon
2023.01.02. 23:11

DRAM도 EUV 땜시 수율문제로 고생 좀 하는 것 같더라고요... 여기도 어차피 맞을 매 미리 맞자 전략 같던데 ㅋㅋ

[Aimy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Aimyon 님께
2023.01.02. 23:14

EUV에서 참 고생하네요 ㅋㅋ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51 13
핫글 미니 엑시노스에는 그래도 낭만이 있네요 [27] file 212212 24.05.30 1362 14
핫글 미니 Real Fold6 and Fold5 comparison [14] file iceuniverse 24.05.30 981 14
핫글 미니 생각해보면 키오스크는 기술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지도. [10] update RuBisCO 24.05.30 878 8
182370 미니 갤럭시 A54는 SK 단독 출시가 맞나보네요 [9] file 운김 23.01.12 1717 5
182369 미니 요즘 애플페이 때문에 짜증나는점 [5] 우주안녕 23.01.12 1360 38
182368 미니 갤북3 기대를 많이들 하시는것 같네요 [21] seoteize 23.01.12 1472 14
182367 미니 대중교통 위젯은 영 마음에 드는게 없네요 [5]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12 305 0
182366 미니 컨투어 컷 설문 올려봅니다 [7] S.R 23.01.12 366 0
182365 미니 근데 엣지 s20정도면 괜찮지 않나요? [6] 패주초 23.01.12 400 1
182364 미니 폐휴대폰과 배터리 처리방법 조언 부탁드립니다. [3] 도저히못참겠다 23.01.12 365 1
182363 미니 금융위 이번 페이 결정 제대로 못내리면 큰일나겠네요. [28] WayBack 23.01.12 1083 6
182362 미니 안드 태블릿은 다 비슷한가오? [12] file 찌그렁오리 23.01.12 785 1
182361 미니 이 모든 상황을 해결할 단 한가지 [13] 냥냥18세 23.01.12 818 2
182360 미니 갤럭시가 유일하게 아이폰보다 좋은 점. [12] 요기조기 23.01.12 1258 6
182359 미니 12/128GB 이란 변태옵션도 나왔으면 좋겠어요 [6] choijm0715 23.01.12 482 0
182358 미니 카트 드리프트 간단후기 [8] file 출사표 23.01.12 1021 10
182357 미니 스마트 스위치 미치겠네요 찌그렁오리 23.01.12 360 2
182356 미니 루머)샤오미 홍미노트12T...? [5] 스퀴니 23.01.12 535 3
182355 미니 애플페이 금융위 심사 관련 내용 [14] Futuristics 23.01.12 1248 3
182354 미니 S 시리즈가 플립이랑 패밀리룩이었다면 어땠을까 싶네요 [3] 하루살이 23.01.12 544 2
182353 미니 TSMC 4분기.. [1] 스퀴니 23.01.12 519 2
182352 미니 저는 S23 디자인 불호입니다. [17] Geronimo 23.01.12 1247 15
182351 미니 화면에 기스난거 사진 잘찍는 법 아시는 분 [5] 어리아리 23.01.12 612 0
182350 미니 안드로이드 13 QPR2 베타2 에서 변경된 태스크바 [9] file AquStar 23.01.12 575 3
182349 미니 외장S펜이 좀 빡세긴 빡셉니다 [6]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12 649 3
182348 미니 s23 유출사진보고 느낀점 [2] 출사표 23.01.12 944 2
182347 미니 윈도우 애플뮤직 무손실 음원 지원합니다 [1] file 올챙떡국 23.01.12 873 3
182346 미니 큰트라 & 작트라 / 큰애 & 작은애 [17] 오토카모 23.01.12 755 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