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김마루

미니 Micro LED 관련 주저리주저리 ver.2

  • 김마루
  • 조회 수 1286
  • 2023.01.14. 08:52

Mirco LED(uled) 쪽에서 먹고 사는 유저입니다

 

역시 많은 유저분들이 uled 관심 많으신거랑 댓글 달리는거보고 

 

조금 더 썰을 풀려고 합니당

 

# uled와 장단점

uled 장점 : 수명, 색재연율, 휘도, 콘트라스트 등등 

     단점 : cost, yield

 

단점을 좀 더 풀어서 쓰자면 현재 led 만드는데 쓰이는 MOCVD 는

VEECO, AXITRON 두회사가 양분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이제서야 8inch 공정이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Led 공정에는 많은 양의 수소, 암모니아가 쓰이고 있구요, 최대 1300도에서 공정을 하기에 아무 기판을 쓸수없습니다. 게다가 lattice constant 고려해야해서 더욱 어렵구요

그나마 맞는 사파이어 기판을 쓰면 되지만 얘는 커지면 커질수록 가격이 ..매우 비싸짐..

결론은 led epi때 1run (1run에서 여러장 나오지만..)자체가 비싸짐...

그리고 성장잘되고 잘만들어진 uled...기판에서 어떻게 분리할껀가..

Laser lift off 방식(LLO)가 제일 좋습니다만 LLO 장비가 엄청 비싸요..

 

여기까지가 cost

 

uled size 걱정하시는 분도 계셨는데 개발단계에서는 5um까지 가능하고 증거도 있습니다.

다만 문제가 되는건 5um이건 50um이건 얘를 어떻게 실장할건지이고

이 부분이 제일 걸림돌입니다. 솔직히 유저분들 쓰시는 휴대폰에 dead pixel이라던지

색안맞는 pixel보이면 섭센터 가실거잖아요. 저도 포함이고

 

실장이 hell인데 그 이후 yield는..? 더 박살남..

 

Q: 삼성 소니는 만드는데요?

A. 엔지니어를 갈아서 만들면 됩니다. 데모용이니깐요...데모용 한두개만 잘만들면됨

   양산은 이렇게는 못함....

Q.삼성은 양산해서 팔잖아요

A.가격자체가 비싸니 사는 사람도 얼마 없죠..데모용처럼 만드는거에요..

 

지금 알려진 디스플레이와는 만드는 방법이 완전히 다르고 비싼녀석이라고 생각하시믄 됩니다...

 

갤23도 아이폰도 부품 단가 올라가면 가격올라가고

유저들 부담느끼고 기업 니네 판매안할꺼야? 그러는 사람들 대다수라

 

uled 관련된 공정이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이상...글쎄요..

 

Stretchable, flexble, bendable 기존 디스플레이로도 다됨...

기존 디스플레이가 안되는건 uled 할아버지가 와도 안됨...

 

질문 남겨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해드릴게요

 

감사합니다

댓글
30
Aimyon
1등 Aimyon
2023.01.14. 09:27

마이크로 LED VS 삼성 QNED(나노로드 LED) 어느쪽이 상용화가 더 어렵다고 보시나요? 나노로드도 전압 걸어서 일정하게 정렬한다고 하는데 이거 겁나 어려워 보이던데요...

[Aimy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Aimyon 님께
2023.01.14. 09:31

전 qned쪽이 더 어렵다고 봅니다..

나노로드 성장해보면 uniformity가........

Size가 uniform하지 않으면 발광하는 색도...다ㅠ달라짐..

 

나노로드는 성장부터 엄청 힘들어요..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yon
Aimyon 김마루 님께
2023.01.14. 09:58

아 기판에 성장시킨 현미경 사진 보니까 균일하지 않고 각각 자기주장이 다 강하긴 하더라고요 ㅋㅋㅋㅋ

[Aimy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갠냑시 Aimyon 님께
2023.01.14. 09:37

사실 QNED도 마이크로LED의 상위 호환격 기술로 봐도 될정도라 진또배기 QNED가 나오려면 고생좀 할겁니다  

 

현재 삼성이 준비하는 QNED가 OLED 백광원을 대체하는걸 하려고 하고 있죠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2등 갠냑시
2023.01.14. 09:30

그래서  이야기는 꾸준히 나오죠 소형패널은 OLED 대형패널은 MLED로요 OLED와 달리 소형화에 더 난항이란걸 듣고 처음에 ? 했던 기억 있었네요

 

근데 설명들으니 바로 알겠더라구요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6X8BVYV1WH7T
3등 X6X8BVYV1WH7T
2023.01.14. 09:34

양질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X6X8BVYV1WH7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서린
2023.01.14. 10:57

OLED의 획기적 수명개선과 uLED 상용화.. 자강두천이네요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서린 님께
2023.01.14. 10:57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나쓰
도나쓰
2023.01.14. 10:59

현업에 계신분이 설명해 주시니 좋네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도나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북극여우
북극여우
2023.01.14. 11:00

uled의 기대수명은 보통 어느정도 되나요?

[북극여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갠냑시 북극여우 님께
2023.01.14. 11:36

번인 없으니 OLED 보다 좋고 이론상 LED백라이트보다 좋습니다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북극여우 님께
2023.01.14. 12:00

Led는 이론상 10만시간은 넘어갑니다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3.01.14. 11:16

광기술원쪽에서 실장 쪽 성과가 좀 나오는거 본거같은데.. 비전문가라 잘 모르지만 재미있게 보고갑니다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패주초
패주초
2023.01.14. 11:31

1. 워치용 정도면 양산이 현실성 있을까요?

2. 만약 미래에 상용화가 된다면 어떤 기업이 시장을 차지할까요?

삼엘이 지금처럼 과점할수있을까요?

 

 

[패주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갠냑시 패주초 님께
2023.01.14. 11:39

마이크로LED는 소형화에 더 어렵습니다 그 이유가 본문에나온 크기 문제가 있습니다

 

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지만 상용 제품을 말한다면 삼엘소가 그래도 잘나갈거라 생각합니다.

 

삼성은 QNED 상용화를 빨리하고 싶겠지만 마이크로LED도 난도가 있어서 당장은 QD-OLED 대응용으로 쓸것 같습니다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갠냑시
갠냑시 패주초 님께
2023.01.14. 11:41

QD OLED와 WOLED는 백광원이 OLED지만 현재 삼성이 설치한다고 했던 QNED 파일럿 라인은 백광원을 OLED를 대체하는거니까요

[갠냑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패주초 님께
2023.01.14. 11:50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1. 워치 판매량을 커버할 만큼 생산과 yield가 되느냐가 중요한데 저는 부정적으로 봅니다..

2. 제 생각엔 uled는 디스플레이보다는 광원으로서 쓰일것같아요. 무엇보다 cost가 안맞아도 너무 안맞습니다...

 

번외로 말씀드리자면...삼엘 둘다 led안해요...장비 안돌림...

Q.삼성led파는데요

A.택갈이라고 들어보셨을까요...중국산 led는 가격경쟁력이...어마어마해서..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패주초
패주초 김마루 님께
2023.01.14. 12:24

중국 led가 싸긴 할텐데 그 강점이 마이크로led대에서도 유효한가요?

납땜이나 부품용 트랜지스터, 나노단위 아닌 회로칩들은 중국이 더 싸긴하겠지만

5나노에서 회로 그리고 트랜지스터 넣고 이런데에선 의미없는 일이잖아요?

개념이 잘 이해 안가네요

 

[패주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패주초 님께
2023.01.14. 12:41

Led를 얼마만한 크기로 자르느냐로 크기가 결정됩니다...

100um이냐 10um이냐 그런식으로 결정되는거죠...

 

Led는 4인치 웨이퍼에서 통짜로 성장되고 거기서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기판에서 떼서 쓰는 겁니다

 

원하는 사이즈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면적당 손해보는 영역이 커지긴하지만

(자르는데도 필요한 면적은 고정이라서)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led가 성장된 웨이퍼 단가가 중국에 압도적으로 싸기때문에

uled에서도 유효합니다..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패주초
패주초 김마루 님께
2023.01.14. 13:50

그냥 통짜로 만들고 잘라서 하는군요...

생각보다 단순하게 하네요

그래도 asml은 네덜란드고

정밀 장비는 일본, 모래 같은건 중국(뇌피셜)

이 꽉 잡고 있지만 oled시장을 잡은건 한국인거처럼

Led가격은 중국이 싸도 중요한건 그걸 자르고 배치하고 하는 작업이니까 led를 만드냐 마냐는 시장점유에 덜 중요한거 아닐까요? 물론 중국이 돈은 벌겠지만...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닐까요?

[패주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패주초 님께
2023.01.14. 14:28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가격때문에 대기업이 쉽사리 덤빌것같진 않습니다

 

엘지건 삼성이건 애플이건 팔수록 손해인 제품을 굳이..?

 

님께서 생각하시는 비용적인 문제가 생각보다 많이 커요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erubim
2023.01.14. 12:56

얼마전에 뜬 워치나 폰에 적용한단건 그냥 근거없는 소리로 봐도 되겠군요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Kerubim 님께
2023.01.14. 12:56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2023.01.14. 13:02

솔직히 성능과 내구성과 소비전력으로만 보면 가장 이상적인데 양산이 어떻게든 좀 답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만 이게 물리적인 문제니...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너겟
감자너겟
2023.01.14. 13:26

양산성이 안 나오죠.

웨이퍼로 옮기고 또 불량이면 리페어 답도 없고

[감자너겟]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감자너겟 님께
2023.01.14. 18:11

그쵸 양산성이 진짜 낮죠..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닉포토
닉포토
2023.01.14. 16:55

더현대에 전시된 마이크로 led티비 보면 엄청쨍하고 선명하긴한데 이음새가 너무 눈에 잘보이고 죽은 픽셀만 10개은 발면한것 같습니다 

[닉포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닉포토 님께
2023.01.14. 18:07

모듈형이라 더 그런부분이 있지요..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주
미주
2023.01.14. 18:02

실장하고 픽셀별로 휘도 제각각인건 크게 문제 안될겁니다

다른 문제는 고ppi로 가면서 uled 발광 자체가 힘들어진다는점이죠

[미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마루
글쓴이
김마루 미주 님께
2023.01.14. 18:10

고ppi로 간다는건 led size가 작아진다는 것이고

 

Chip size에 따라 허용되는 한계치 전류값도 낮아지기는 합니다.

 

Chip size가 작아져서 발광이 어려워지는건 GaAs template면 그럴순있는데

 

InGaN base led는 size가 작아져도 발광부분은 크게 문제될건 없습니다

[김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977 13
핫글 미니 솔직히 갤탭S에 디멘시티쓰는건 [26] gamma 00:05 1335 13
핫글 미니 엑시 최대의 적은 역시 수율이네요 [24] 흡혈귀왕 24.06.13 1317 9
핫글 미니 세로 폴더블 디자인은 아직 얘만한 게 없네요 [6] updatefile Niflheimr 09:31 461 7
183574 미니 크리스탈 텃치 보호필름 소재가 pet인가요? [5] 별빛정원 23.01.28 511 0
183573 미니 S23+ 생각중이었는데... [2] scjang01 23.01.28 693 1
183572 미니 폴드4나 플립4가 반사이익을 보겠네요 [4] 클루이드 23.01.28 753 0
183571 미니 갤북3 프로 360 울트라 판매준비 다되어있네요?? [5] file 하늘목장 23.01.28 749 5
183570 미니 솔직히 s23 판매량 망할 거 같습니다 [19] 크나앙 23.01.28 2986 16
183569 미니 한국에서 노트북은 텐키있는 게 잘 팔리나요? [7] 고기마스터 23.01.28 561 1
183568 미니 갤북3 프로 360 외관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네요. [4] 당신말이맞습니다 23.01.28 537 0
183567 미니 S23으로 시끄러울때 전 아이폰14 프로 고민이 되네요 [15] 미세먼지주의보 23.01.28 794 2
183566 미니 S20때 가격정책 유일하게 좋았던 것 [3] file 하루살이 23.01.28 714 2
183565 미니 토스 요금제 공개된대로면 누가 협박한거같지 않나요? [3] S7엣지 23.01.28 802 1
183564 미니 S23 부드러움은 더 좋아졌는데 배터리는 극적인 향상은 없다네요 [16] file rofl 23.01.28 1417 7
183563 미니 항상 보면 한국보다 해외 삼성영업장이 더 예쁜… [1] 어디로가야합니까 23.01.28 792 9
183562 미니 갤북3프로360 32기가 옵션은 없으려나요 [7]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27 362 0
183561 미니 갤럭시북3 프로 예쁘네요. [8] file 우주안녕 23.01.27 922 1
183560 미니 솔직히 23시리즈 디자인 자체는 20 21 22 중에 가장 예쁜것 같습니다. [1] 어디로가야합니까 23.01.27 626 4
183559 미니 그러고보니 이번에도 45W는 의미 없겠죠? [12]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27 736 2
183558 미니 미국 겁나 부럽네요 [3]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27 917 4
183557 미니 가격적인 면이야 거의 꼬우면 미국으로 옮기던지 수준이라 라테린 23.01.27 297 6
183556 미니 S23 홍보 이미지 추가 유출 [17] file rofl 23.01.27 1469 8
183555 미니 저렇게 가격 뻥튀기를 할거면 [5] 그루비 23.01.27 648 4
183554 미니 S23U 구매 보류할까요 [5]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27 717 3
183553 미니 S23 시리즈 판매량이 어떻게 나올 것 같으신가요? [3] rofl 23.01.27 380 0
183552 미니 낸드/램 하락이 계속 가속화될것으로 보여서... [8] 흡혈귀왕 23.01.27 666 3
183551 미니 갤북3 프로도 16:10인 것 같네요 [9] file Icebear 23.01.27 536 1
183550 미니 그동안의 기대감이 가격루머로 팍 식네요.. [14] 코크니코알라 23.01.27 881 4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