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이시우배찌

미니 한국은 중국 일본과 달리 qr결제가 활성화 안된이유가 있습니까?

중국의 위챗페이

 

일본의 페이페이

 

간편결제 점유율 각 나라 1위

 

nfc 기반 애플페이 구글페이 삼성페이 등등 있어도 점유율이 엄청 낮던데

 

전부 qr결제 기반이라는데

 

가깝지만 중국과 일본은 한국과는 참 다르군요...

 

댓글
17
에피
1등 에피
2023.01.15. 22:21

이게 한국이 신용카드 보급률이 imf 시절에 많이 올라서 그랬던게 아닐까 싶네요

[에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best 2등 스퀴니
2023.01.15. 22:25

다른 나라는 다 현금에서 간편결제(무현금)로 변경된 케이스인데

우리나라는 카드(무현금)에서 간편결제(무현금)로 변경할 이유가 그렇게 없어서 그렇죠

처음부터 무현금 시스템이라..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kekimi
Likekimi 스퀴니 님께
2023.01.15. 22:39

맞습니다. 아직도 동남아같은쪽은 현금결제도 필수인대

 

어짜피 폰은 전부 보급이 되어 있으니 qr결제로 바로가는게 여러모로 이득이고 이쪽으로 가겠죠

[Likeki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스퀴니 님께
2023.01.15. 23:06

맞습니다. 항상 모든건 그 사회안에서 상호작용하며 발전하는 것이죠. 그 상호작용에는 needs도 포함되구요 :)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들총각
3등 요들총각
2023.01.15. 22:25

우리나란 카드 사용이 많아서 그렇죠

[요들총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best 나르자
2023.01.15. 22:32

카드에 대한 업무 전산화가 워낙 잘 돼있었으니까, 불편함이 크게 없는 상태였어서 말이죠

발급도 쉬운편이었고.. 온라인으로 조회도 쉬웠고, 쓰기도 나쁘지 않았거든요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2023.01.15. 22:44

카드대란이 날 정도였던 나라가 우리나라 하나니까요.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ikekimi
Likekimi Eomjunsik 님께
2023.01.15. 22:51

길거리에서 왼손엔 카드 오른손엔 현금 삼만원을 들고 흔들던 그때....

[Likeki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럭시S2
갤럭시S2
2023.01.15. 23:08

그 어느나라보다 노캐시가 빠르게 퍼진 금융선진국이라서요?

[갤럭시S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존버합니다
2023.01.15. 23:15

중국은 아예 지폐를 못 믿어서 바로 qr로 갔고 일본은 지폐위주로 쓰다가 qr로 가고 한국은 카드가 워낙 활성화 되있어서 qr이나 NFC로 변화 해야할 필요성이 적어서 그랬던거같아요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앗싸구리
앗싸구리
2023.01.16. 00:27

기존에 구축된 인프라를 뒤엎는것보다 새로 까는게 훨씬 용이하고 빠른 경우가 많죠. 

 

그리고 중국은 신용결제 보다는 현금이체 형식의 결제가 기본인것 같던데 이게 선진적인건지 전 잘 모르겠고요 

[앗싸구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IKIRAKA
KIKIRAKA
2023.01.16. 01:20

한국은 카드가 정말 잘 되어 있습니다. 중국 일본은 현금 쓰다가 중간에 카드를 뛰어 넘어서 QR로 넘어간거구요. 한번 인프라 깔리면 이거 바뀌는거 한참 걸립니다.

[KIKIRAK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나쓰
도나쓰
2023.01.16. 03:34

우리나라는 카드 안되는곳이 거의 없는 수준이라 가맹점이 제한되는 qr페이보다는 카드 꺼내는게 편하긴 하죠

[도나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피스구글
서피스구글
2023.01.16. 05:10

일본, 대만 가면 몇 년전만 해도 편의점에서 대부분의 손님이 현금으로 계산하시고 계셨었던 것 같아요. 알바는 동전 세느라 정신없어보여서 충격적이었습니다.

[서피스구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붕붕드링크
미붕붕드링크
2023.01.16. 05:32

우선 일본의 경우엔 2017년 여름 맥도날드에서 카드결제를 지원하기 시작했을 당시 5ch반응만 봐도 상당히 부정적이였습니다. 

 

Screenshot_20230116_051538_Samsung Internet.jpg

(출처)

국가에게 지출수입을 감시당하는 느낌이라거나, 카드 사용은 현금으로 사기엔 비싼 물건을 살때 사용하는 느낌정도로 현금사용이 기본인 동네였지요. 

 

Screenshot_20230116_051810_Samsung Internet.png

(출처)

이러한 배경에는 일본사람들이 디지털 결제의 신뢰율이 낮은것도 한몫했지만 한편으로는 높은 수수료의 문제도 있었던것으로 보입니다. 

 

Screenshot_20230116_052237_Samsung Internet.jpg

(출처)

페이페이의 경우 일본 시민들의 의식변화보다는 페이페이에서 먼저 돈을 풀어서 홍보하여 사용자를 늘린 케이스라고 보시면 될거같아요. 

 

Screenshot_20230116_053037_Samsung Internet.jpg

(출처)

여담으로 페이페이 결제시 페이페이 소리나는것을 이용한 범죄도 있었다고 합니다. 

[미붕붕드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붕붕드링크
미붕붕드링크
2023.01.16. 05:48

Screenshot_20230116_053808_Samsung Internet.jpg

(출처)

중국의 경우엔 잊을만하면 터지는 위조지폐사건에 현금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낮은상태에서 이를 대체할 무언가가 필요는 했는데,

 

카드의 경우엔 은행별, 카드사별 전산망 파편화가 너무 심해서 한 거래처에 카드단말기가 여러개 되는 상황이였고, 유니온페이라는 통합규격은 너무나도 늦게 나와버린탓에, 

 

그 사이 은행보다 신뢰도가 높은 알리바바나 텐센트등의 대형 IT회사가 별도의 결제단말기도 필요없는 스마트폰하나로 모든 단점을 해결하는 핀테크를 제시함으로서 이게 급속도로 퍼져나가 자리를 잡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미붕붕드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붕붕드링크
미붕붕드링크
2023.01.16. 06:07

우리나라의 경우엔 옛날엔 종종 위조지폐 범죄 소식이 있었지만 대부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조잡한 형태(컬러 복사기로 복사등)로 바쁜시간대의 시장 상인들을 타겟으로 하는 범죄여서 지폐에 대한 신뢰도가 낮지않고, 

 

신용카드 또한 초반에 각종 신용카드사에서 사회초년생들에게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마구발급해줘서 절제력이 부족한 사회초년생들이 카드값을 감당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카드 발급이 예전보다 까다로워진 일도 있을정도로 보급을 적극적으로 했었고, 

 

여신금융법으로 카드가맹이 되어있는곳이라면 현금과 카드를 차별해서 받지 못하도록 하고, 현금만 받거나 현금가를 차별하는경우의 신고 및 처벌도 적극적으로 했고, 

 

카드가맹이 되어있는곳이라면 사용중인 카드사를 구분해서 받는것도 아니고 그냥 결제단말기 한대로 전부 해결이 가능해서(물론 특정 카드사만 가맹한 경우에는 특정카드만 받는곳이 있긴 합니다) 

 

현금과 카드로 크게 불편함 없는 삶을 살고있는데, 여기에 삼성페이처럼 실물카드를 모바일에 등록해서 카드를 들고다니지 않아도 실물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으니 더더욱 다른 핀테크 결제방식이 보급되기 힘든 상황이죠. 

 

또한 개인간 금전거래도 은행모바일앱들이 잘되어있어서 별도의 핀테크앱을 거치지 않고 은행앱에서 바로 송금할수도 있고 말이죠. 

 

이번에 애플페이까지 들어와서 NFC결제마저 자리잡으면 한국에서 QR등의 다른 결제방식은 일본의 페이페이처럼 큰돈풀어서 경쟁하지 않는이상 힘들지않을까 싶습니다. 

[미붕붕드링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784 13
핫글 미니 아래 란즈크발 블로그 반박 [30] 흡혈귀왕 24.06.18 1853 19
핫글 미니 역시 최후의 승자는 엑시노스 2400이네요 [12] file LG산흑우 24.06.18 1160 18
핫글 미니 S24 울트라 6개월 쓰면서 별로였던 것들 [11] file Beoplay31 24.06.18 820 14
184789 미니 아이폰 사용하시는분들 혹시 저만 이런가요? [10] file 쏘고보니선임 23.03.15 1020 2
184788 미니 s23시리즈 디스플레이M11이 아이폰M12보다 개선된건가요? [7] 열두발자국 23.02.15 1020 1
184787 미니 긱벤치6 아이폰14프로 (A16 Bionic) [7] file Stellist 23.02.15 1020 7
184786 미니 S23U 광각 모듈이 S22U 대비 확실히 커졌네요 [13] file 흡혈귀왕 23.02.09 1020 10
184785 미니 왜 엘지노트북은 해외에서 못 나갈까요? [15] 닌자닌자 23.02.06 1020 0
184784 미니 아이패드 왜이렇게 비싸졌죠..? [22] 버거킹아메리카노 23.01.07 1020 3
184783 미니 OPPO가 확실히 폴더블폰 카메라에 힘주네요 [12] file Stellist 22.12.15 1020 5
184782 미니 하루에 두가지 기기지원 불가 소식을 들은 심정 [4] file 펄럭펄럭 22.11.07 1020 7
184781 미니 s7+렌즈커버+gcam8.4=? [13] file 곰장수 22.11.04 1020 8
184780 미니 빙냥이 트윗을 보니 할말은 많은데 말이죠 [12] file sourire 22.11.02 1020 1
184779 미니 빙우주:확인결좌 S23U도 상하단 베젤 비대칭 [6] 다람쥐 22.10.10 1020 0
184778 미니 공간음향 헤드트래킹은 정말 이해가 안가는 기능입니다... [14] Stellist 22.09.26 1020 21
184777 미니 이번 4000번대는 충격과 공포네요 [12] 오스트리아산캥거루 22.09.21 1020 0
184776 미니 14 프맥 유투브 비율 테스트 [15] file 회기동길냥이 22.09.16 1020 2
184775 미니 다이내믹 아일랜드 vs 노치, 상단바 비교 [7] file 노태문 22.09.15 1020 4
184774 미니 N4 -> N4P는 성능 6% 개선이군요. [5] file 흡혈귀왕 22.09.09 1020 2
184773 미니 삼파 논란 정리합니다 [14] 감이어디감 22.08.20 1020 13
184772 미니 원신으로 이름바꾼 긱벤치 이제는 의미없나요? [11] 솔베르 22.08.08 1020 0
184771 미니 폴드4 사전예약 행복회로 [7] 민초홀릭 22.07.31 1020 3
184770 미니 더 썬 발.. 포브스 경유 애플 아이폰 14 시리즈 가격 루머 [15] 스퀴니 22.07.18 1020 3
184769 미니 S23엔 센서쉬프트 들어가겠죠? [13] 이라세오날 22.07.01 1020 1
184768 미니 키+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6] Kanata 22.05.08 1020 0
184767 미니 버즈2 신규 색상 추가군요 [3] 피스 22.05.02 1020 0
184766 미니 카카오톡 앱 내부에서 별도로 글꼴 못 바꾸는 거 너무 열받습니다. [15] Havokrush 22.03.30 1020 0
184765 미니 인싸 좋은점: 매주마다 데이트🥰 [6] file Alternative 22.03.19 1020 8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