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WayBack

미니 CPU는 절대 성능 보다는 전성비 먼저 챙겨야한다고 봅니다.

  • WayBack
  • 조회 수 1601
  • 2023.02.01. 01:29

사실 암맥 쓰면서 느낀건데 물론 데스크탑으로 가면

인텔 CPU들이 ARM 칩들에 비해 절대 성능은 훨씬 높지만

이건 진짜 클럭과 전력과 발열을 미친듯이 희생해서 만든 결과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전성비가 엄청 좋고 성능 적당히 나와준다면

사실 코어만 늘려도 그 "절대 성능"은 충분히 커버 치고도 남는다고 생각합니다.

 

M1 울트라만 봐도 그 전성비 좋았던 칩을 빅코어 기준 4배로 확대시켜놨더니

데탑 하이엔드 뺨다구 후려치는 성능인데도 M1 스튜디오 본체 총 전력 소모가 215W 입니다.

그것도 울트라에 48코어 GPU에 64GB 램에 1TB SSD 다 박고도요.

칩 자체는 60~70W 정도 소모한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밑 선생님들 말씀처럼 적당한 제한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다 노트북이나 데탑이 전기 미친듯이 먹어대는 괴물로 바뀔까봐 무섭네요. ㅎㅎ;

WayBack
Remember 416
일본불매/NO JAPAN

MacBook Pro Early 2015 13"
iPhone 11 White
Mac Pro 2019
iPad Pro 12.9 Space Grey (2021, M1)
AirPods Pro (2nd generation)
MacBook Pro 14" Silver (M2 Max)
iPhone 15 Pro Natural Titanium
댓글
28
흡혈귀왕
1등 흡혈귀왕
2023.02.01. 01:36

어차피 모바일은 15W 내외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흡혈귀왕 님께
2023.02.01. 01:38

근데 그것도 요즘 좀 이상한게 TDP 15W에요~ 하지만 실제로 PL2 찍는게 대부분이라 이게 뭐하자는 건지 모르겠어요... 28W 짜리 인텔 칩은 대부분 60W는 넘더군요. 15W는 그냥 아무것도 안하는 상태인듯...;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IME:TRAVELER
2등 TIME:TRAVELER
2023.02.01. 01:45

그래봐야 현실은 그렇게 좋다는 애플실리콘은 랩탑에서나 의미있지 웍스, 서버쪽은 택도 없죠..

[TIME:TRAVE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TIME:TRAVELER 님께
2023.02.01. 01:51

사실 암드도 애플 만큼은 아니지만 나름 전성비 좋은 편인 것 같습니다. 근데 서버는 택도 없긴 하지만 맥 프로나 맥 스튜디오는 나름 잘 쓰이던데요. 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IME:TRAVELER
TIME:TRAVELER WayBack 님께
2023.02.01. 11:02

영상이나 사진편집에서는 애플 실리콘이 유리한 부분도 많습니다만, 그 외의 작업들에서 웍스로 맥스튜디오 쓰는걸 본 적이 없네요.. M1울트라 GPU가 RTX3090이랑 맞먹는다하고 텐서플로우를 애플에서 최적화 하고 파이토치도 애플실리콘 지원한다고 하지만 머신러닝/딥러닝 하는 랩에서 전성비 좋고 가성비 좋다는 맥스튜디오 쓸까요.. 

[TIME:TRAVE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학점암살자
학점암살자 TIME:TRAVELER 님께
2023.02.01. 02:14

ARM 서버도 야금야금 파이가 커지고 있긴 하죠 아마존도 자체 ARM 서버로 전환하고 있고요

 

서버 외에도 일본 슈퍼컴 후카쿠도 ARM이죠

[학점암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IME:TRAVELER
TIME:TRAVELER 학점암살자 님께
2023.02.01. 11:03

애플실리콘으로 한정했을때로 말씀드린겁니다. 최근에 ARM 기반 서버가 나오고 있다는건 본 적이 있네요...

[TIME:TRAVE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3등 범퀴
2023.02.01. 02:34

노트북은 전성비중요한데 보통 전원모드 3개로 제조사마다 기준은 달라도 제한가능하지않나요? 

데탑 전성비도 중급기는 전성비 괜찮은데 

플래그쉽은 전성비가 후순위로 밀리는게 정상이죠;;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범퀴 님께
2023.02.01. 02:26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3.02.01. 08:04

모바일만 아니면 사실 전성비보단 성능이죠. M1 칩은 누누이 말하지만 랩톱 환경을 제외하면 성능이 구립니다. 해킨으로도 그 정도 성능나오는 데탑은 충분히 가능하거든요. 거기다 범용 시스템이고.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utzed 님께
2023.02.01. 09:51

M1은 완전 엔트리에요. 전성비가 워낙 좋으니끼 코어를 미친듯이 늘려도 전력 소모가 미친듯이 착하죠. M1 Ultra 쓰레드리퍼 뺨다구 치는 수준인데 CPU 파트가 60W 소모라고 합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WayBack 님께
2023.02.01. 10:11

M1칩은 M1 시리즈를 말하는거에요. 제 말은 랩톱을 제외하고 데스크톱에선 M1 칩의 전성비가 의미가 없단 얘깁니다. 데스크톱 단에서 전성비가 좋다라고 얘기하려면 랩톱과 다른 세팅으로 더 높은 클럭, 더 높은 성능을 낼 수 있어야합니다. 코어수만 늘리는 수준이나 가속칩을 추가하는 수준이 아니라요.

아무리 60W 소모한다 한들 절대 성능이 부족한건 사실입니다. 절대적인 성능 더 높게 뽑아낼 수 있었다면 전력소모가 더 들어가더라도 코어수 늘리기와 더불어 클럭이며, 전력소모며 더 올렸을 겁니다 (발열이 감당가능한 한도로) 가속칩같은 영향 다 빼고 컴퓨팅 성능에 더 가깝고 구조상 애플이 유리할 수 있는 ML/DL 성능만봐도 매우 부족하죠.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utzed 님께
2023.02.01. 10:16

흠... 근데 M2가 그 전력 소모로 싱글을 거의 2000점을(이미 2000점 넘은 벤치도 있습니다.) 바라보는 상황에서 맥 프로 신형 나온다는 거 보니까 솔직히 데스크탑에서 밀린다는 것도 잘 모르겠네요. ㅎㅎㅎ;; 전성비가 좋으니까 맥 프로에도 코어 미친듯이 늘려서 때려박는구나 싶어서 맥 프로 나오면 볼만 하겠다 싶습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WayBack 님께
2023.02.01. 10:30

M2까진 그저 리프레시 수준이라 M2 3나노 기대해볼만하죠. 지금까진 사실상 맥북용 칩셋 수준이고.. Max Ultra는 별로인 수준입니다. 그렇게 때려박아도 전력을 이것밖에? 발열이 이것밖에가 아니라 발열이 이것밖에 안되고 전력도 이것밖에 안먹는데 왜 성능을 더 못올림? 이라고 반문하는게 성능의 영역이니까요. 그렇게 순수 컴퓨팅 성능이 좋았다면 이미 각종 머신들은 맥스튜디오가 다 먹었을걸요 크기도 작은데 ㅎㅎㅎ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utzed 님께
2023.02.01. 10:32

근데 맥은 성능은 좋을 지언정 시장 못먹습니다. ㅎㅎㅎ;; 일단 웍스는 윈도우가 너무 월등해서요... ㅎㅎㅎㅎ;;;;;;;;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WayBack 님께
2023.02.01. 10:41

랩톱은 지금대로 잘되면 충분히 가능성있을거같은데 웍용은 아직.. 서버쪽도 arm이 슈퍼컴 1위 달성한게 언젠데 지지부진합니다 ㅠ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Butzed 님께
2023.02.01. 10:41
회원님 5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utzed 님께
2023.02.01. 10:45

제가 영상 때문에 맥을 쓰긴 하지만 노답입니다. ㅠ_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WayBack 님께
2023.02.01. 10:48

VFX 하시는 분들도 개인 취향이나 개발쪽으로 쓰는분들이 있긴하던데 작업용은 절레절레 하시더군요..실 유저 정보 좀 캐볼랬더니 실패했읍니다 ㅠ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Butzed 님께
2023.02.01. 10:49

3D는 무조건 윈도우입니다. 맥 절대 바라봐서는 안되요. ㄷㄷㄷㄷ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croLED
microLED
2023.02.01. 09:59

코어만 늘리면 절대성능이 정비례해서 늘어나는건 병렬화가 잘 될때 얘기인데 GPU는 몰라도 CPU는 병렬화가 잘 안되는 작업들이 좀 있어서...

[microL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microLED 님께
2023.02.01. 10:01

뭐 그렇기는 한데 요즘에는 딱히 체감될 정도는 아니지 않나요...? 사실 그 생각으로 코어 미친듯이 늘린 프로, 맥스, 울트라 봤을 때 걱정했는데 그런 얘기 별로 없는 거 봐서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raway
Haraway
2023.02.01. 10:39

마이닝이나 그리드 등으로 개인단말기에서 전체 네트워크에 성능기여하는 경향성이 앞으로 커질거라 생각해서, 전력효율은 저도 좀 앞으론 개선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Harawa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Haraway 님께
2023.02.01. 10:40

저도 공감합니다...; 이러다 데탑은 무슨 에어컨 뺨치는 수준까지 갈거같은 느낌이랄까요. 아니 이미 비슷한 수준일 수도..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raway
Haraway WayBack 님께
2023.02.01. 10:50

IT커뮤니티에서 별로 좋아하는 얘기는 아니라서 그냥 안하고 살지만
EU가 내연기관차량도 씨를 말릴 작정으로 규제를 먹이고 있는데 고전력 하드웨어라고 못할건 없지 않나 싶어요

단순히 가정용 개인PC가 장기적으로 얼마나 전력을 빨아먹는가보다는, 민간시장에서 코인채굴이나 AI붐이 언제 어느때에 뜰지를 예측할수 없는게 좀 크기도 해서요. 전부는 아니지만 중국에서도 채굴 때문에 석탄사용이 좀 더 앞당겨지기도 했고요

[Harawa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Haraway 님께
2023.02.01. 10:50

이제 1000W도 바라보는 것 같던데... 좀 빡세게 규제 좀 해야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무슨 본체 하나가 에어컨 하고 맞먹을 수준이라니...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Kor82
MiKor82
2023.02.01. 14:23

코어 하나 하나하나의 성능을 올려서 절대성능을 땡기는 건 애플처럼 같은 코어만 4배!!이걸 못해서가 아니라 프로그램 코어수 지원 장벽 때문아니었나요? 암드 쓰레드리퍼가 어도비에서 생각보다 별 위력을 발휘하지 못 하는 것처럼..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orbear
polorbear
2023.02.01. 21:46

CPU,GPU 모두 전성비를 챙겨야 하는데.. 별로 관심이 없는거 같죠..

[polorb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322 13
핫글 미니 소비자가 기업에 맞춰줄 필요 없는것 맞죠 [28] 가로쓰기 00:27 834 27
핫글 미니 삼성 편의적인 시각이 있는건 아무래도 [1] update SM-G986N 04:41 550 16
핫글 미니 이번 란즈크 블로그 글보니깐 [9] 흡혈귀왕 24.06.21 1830 15
185194 미니 어머니 폰을 주문해드리고 나니 저도 사고 싶어지네요. [4] file Polishe 23.02.07 355 1
185193 미니 ChatGPT에게 삼성 Exynos를 물어보았습니다. [4] file 텐에스맥스씁니다 23.02.07 1079 7
185192 미니 갤럭시 A24, A34 전파인증 [5] file 운김 23.02.07 571 1
185191 미니 구형 노트북에 퀵쉐어는 언제 해줄건지 [2] 엣지 23.02.07 306 0
185190 미니 얼추 성능은 따라왔으니 대기전력 잡아주세요 퀄컴형님 GNXY901TW 23.02.07 322 1
185189 미니 갤북프 가지고 섭센 갔는데 쎄한데요 [10] 인헤리턴스 23.02.07 1260 5
185188 미니 세상에서 가장 긴 1주일이 지나고 있습니다. [17] 후루꾸루 23.02.07 831 5
185187 미니 ??? : 사실 애플 A칩 시리즈 거품임 [6] file HSC 23.02.07 1319 5
185186 미니 갤캠스 사전예구 해보신 분들께 질문 [3] 코크니코알라 23.02.07 387 0
185185 미니 그라파이트 vs 스카이블루 [3] 샤크바프론 23.02.07 616 0
185184 미니 픽셀4 vs S23U 카메라 다시 비교했습니다 (데이터 주의?) [8] file RASBI 23.02.07 872 11
185183 미니 많은분들이 TSMC에 대해 잘못알고 있는거 [13] 갠냑시 23.02.07 1182 4
185182 미니 스냅 8gen2 와이파이7 지원인데 [7] dlwlrma 23.02.07 685 0
185181 미니 ios 다이얼러는 제발 좀 서드파티 허용하면 좋겠습니다 [3] Qkooqq 23.02.07 462 1
185180 미니 ‘갤럭시S23’ 사전판매 ‘라방’서 역대 최다 기록 달성 rofl 23.02.07 504 0
185179 미니 근데 그 1000과 1024 문제는 [8] microLED 23.02.07 509 1
185178 미니 갤북대란 탑승에 실패해서 [5] file 겅래민 23.02.07 714 5
185177 미니 현재 시스템 용량60관련 잘못된 소식이 여기저기 퍼져 나가네요 [4] NeoSeven 23.02.07 770 3
185176 미니 결국엔 1년 총판매율 거기서거기일것 같은데 [13] 어디로가야합니까 23.02.07 861 12
185175 미니 갤럭시 One UI 시스템 차지 용량 문제 [6] file rofl 23.02.07 1189 1
185174 미니 S23울트라 스카이블루vs크림 [9] dlwlrma 23.02.07 1308 0
185173 미니 삼성 갤럭시 S23, 인도 사전예약 신기록… 하루 만에 14만대 판매 [6] file rofl 23.02.07 988 9
185172 미니 S23 사전예약 11번가 첫 라방 판매 규모 128억 (S22는 132억) [9] file rofl 23.02.07 886 4
185171 미니 S23울트라를 어디에서 사야 잘삿다고 소문이 날까요... [4] HSC 23.02.07 566 0
185170 미니 TSMC의 살인적인 가격은 이미 체감했죠 [2] 경전철(이엿던것) 23.02.07 789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