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다시 외나무다리(?)에 서게 된 2400...?

즉, 지금까지 이곳에서 목격했던/목격한 루머들을 종합해보면 이렇게 추측해볼 수도 있겠습니다.

 

1) 4LPP/4LPP+는 성능개선 이야기가 꾸준히 들리는데,

 

2) 엑시노스 2400은 갤럭시 S24 시리즈에 탑재하기에는 'for Galaxy' 전용칩으로서 매력이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하고,

-> 칩을 단일화하기에는 매력이 부족 (그러나 이전대로 지역별 이원화를 채택할 가능성도 있을 수 있음)

 

3) 그렇다면 설령 개선된 공정 등으로 발열 및 스로틀링이 확연히 개선되어도,

 

4) 어떻게 될 지는 장담할 수가 없게 될 수도....

(Worst-case scenario: 기(旣) 2400의 양산 승인 취소)

 

이렇게 해석을 할 수 있겠네요.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20
NeoSeven
1등 NeoSeven
2023.03.19. 17:50

드라이버에 달렸다고 생각 합니다. 불칸으로 변화한게 성능만 오르는게 아니라 드로우콜이 낮아지면 게임에 더 유리해질꺼라 생각이 되고 opengl이 분리한 부분도 해결될꺼라 충분히 경쟁력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드라이버가 잘나온다면 말이죠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NeoSeven 님께
2023.03.19. 17:53

그건 이제 순전히 S.LSI 몫이지만, 그간 LSI 쪽이 많이 데미지를 입었다 보니...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Section31 님께
2023.03.19. 17:57

그렇죠. 일단 무조건 욕심보다는 브랜드 신뢰도를 회복하는게 우선이겠죠. 사실 스마트폰 ap만 장사하는게 아니라서 자사도 안쓰는칩 이미지가 굳게 박히면 다른분야도 힘들고 앞으로 반도체 시장에서 힘들어질꺼라고 보입니다.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NeoSeven 님께
2023.03.19. 18:08

다만, MX는 그런 사정에 있어선 별개(...)라는 거죠. 단적으로, MX는 자신들의 기준에 안 맞다고 판단하면 안 쓰겠다고 결정을 내릴 겁니다.(자신들의 입장에서 보면 이것이 당연할 것이고요) 결국 S.LSI 입장에선 브랜드 신뢰도도 회복시켜야 하는데 MX에서 요구하는 기준도 만족해야 하는 까다로운 임무를 부여받은 상태라 봐야...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Section31 님께
2023.03.19. 18:13

삼성전자 입장 회사단위에서는 큰문제이지요. 아무리 다른 부서지만 압박이 올껍니다. 그럼 거절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꺼구요. 물론 엑시가2400가 무조건 잘나온다는 전제 조건 입니다. 지금상황에서는 되도않는 성능이라면 밀어붙이지 못하는게 당연할꺼구요. ㅎㅎ 저는 무조건 제대로 퀄컴하고 경쟁이 되는 칩이 나와 제대로된 경쟁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NeoSeven 님께
2023.03.19. 19:07

뭐 그나마 다행인 건 이전에는 추정 클럭이 3.1, 2.5, 2.3, 1.8이어서 매우 불리했었지만 최신값은 3.1, 2.9, 2.6, 1.8이어서 그나마 미들코어 클럭 올라서 연계되는 NPU연산성능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2등 propeller
2023.03.19. 18:14

MX도 원가 생각하면 결함급 아닌이상 2400을 쓰지 않을까요? 전용칩으로의 매력이 부족한건 애초에 전용칩처럼 개발한게 아니니까 당연한거고요.

 

990처럼 성능이 한 세대 이상 밀리거나, 2200처럼 수율이 낮아서 탑재할 물량이 안나오는 극단적인 경우들만 아니면 국내나 유럽, 글로벌 모델은 엑시 쓸 것 같네요.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propeller 님께
2023.03.19. 18:16

저도 의견에 동의합니다. 4nm 공정의 수율이 60%대라는 말이 나오는 상황에서 성능개선까지 되었다면 정말 극단적인 경우가 아닌 이상 엑시노스/스냅드래곤 지역별 이원화를 할 것 같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김행복
2023.03.19. 18:15

그냥 마음편하게 스냅드래곤으로 달았으면 좋겠네요. 그동안 너무 산업폐기물로 나와서.. 기대도 안됩니다 

[김행복]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김행복 님께
2023.03.19. 18:20

엑시로 나와도 지금 공정 소식에 의하면 절대로 못쓸정도로 나오지는 않을꺼고 오히려 메모리나 디스플레이 진동모듈등 다른곳에 더 돈을 들일수 있지 않을까하는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생각 합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어느것으로 나와도 저는 만족할꺼같습니다.ㅎㅎ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NeoSeven 님께
2023.03.19. 18:31

게다가... 또 스냅 단일화를 한다면 가격이 참으로 (안좋은 의미로) 볼만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번에 S23U 1TB가 196만원(...)이었는데 또 그랬다간 S24U 1TB가 210만원 이상(...) 되는 모습이 연출될지도...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eoSeven
NeoSeven Section31 님께
2023.03.19. 18:42

사실 끔찍한 상황이죠 퀄컴에 끌려다니는 것을 보기가 싫어서 엑시를 응원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Tsmc만봐도 선단공정 거의 독점화되니 발생하는 상황만봐도 ㄷㄷ 합니다.

[NeoSev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비둘기야먹자
비둘기야먹자
2023.03.19. 18:29

솔직히 지금까지 해왔던걸로 보면 걍 tsmc제 스냅 넣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점정  엑시 비중을 줄이다가 어느순간 플래그십 ap에서 철수하거나, 혹은 아예 엑시노스 자체를 접어버리진 않을까 무섭네요

[비둘기야먹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비둘기야먹자 님께
2023.03.19. 18:30

소비자 입장에서는 누구든지 성능 좋은 걸 원하는데, 기업 입장에서는 변수들이 너무 많으니까요.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2023.03.19. 18:38

엑시노스가 부활할려면 스냅에 비해서 압도적인 성능차이 정도는 나야 여론들이 깨갱하죠.

그게 아니라면 등장조차 안하는게 맞습니다. ㅎㅎ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우주안녕 님께
2023.03.19. 18:47

그러나, 위에서 모 회원분께서도 말씀하셨듯이, 일단 브랜드 신뢰도의 회복이 급선무입니다. 그 다음에 전용칩에서 성능을 압도적으로 차이내든가 하는 식으로 단계적으로 해나가야지, 한번에 확 하려고 하면 급히 먹다가 체하는 법입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ection31 님께
2023.03.19. 18:47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Section31 님께
2023.03.19. 18:49

그러니까요. 브랜드 신뢰도 회복이 급선무이면 엑시노스2200 처럼 채택 하면 안되죠. ㅎㅎ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우주안녕 님께
2023.03.19. 19:18

여기서 브랜드 회복이란 건 엑시노스라는 AP 브랜드를 뜻합니다. (갤럭시 S2x 시리즈라는 디바이스가 아니고요...)

 

먼저 2400에서 스냅드래곤 8젠3에 약열세~동급 정도로 그래도 경쟁력 있음을 보이는 것이 급선무이고, 성능을 압도하는 건 2500/2600에서 목표로 하는 것이 정석적인 방법이라 봅니다. 그렇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일 것 같습니다.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19 13
핫글 미니 다른 거 부실해도 램은 빵빵했던 그 녀석 [38] file RacingMiku 14:39 898 16
핫글 미니 천하의 애플도 AI에는 별 수 없네요. [8] 적당히하자 14:00 912 10
핫글 미니 갤럭시 버즈3 프로 렌더링 유출 [25] updatefile 노다 16:22 849 8
189198 미니 생각해보니 A90은 왜 그렇게 고사양으로 출시한걸까요? [34] propeller 23.04.02 1396 1
189197 미니 샀(었)슈 [2] file 워런티비오루 23.04.02 362 3
189196 미니 알뜰교통카드 티머니 드디어 지원하나 보네요? [1] file MrGom™ 23.04.02 823 1
189195 미니 용자만 입장 가능한 곳 입니다 [13] file 잇흥 23.04.02 1560 10
189194 미니 23는 AP 혁신, 24는 램 혁신인데 [9] aleji 23.04.02 1237 2
189193 미니 S23 판매량 놀랍긴하네요 [10] 찌그렁오리 23.04.02 2130 13
189192 미니 갤럭시 절전모드 일반적 사용시에도 [4] 적당히하자 23.04.02 513 0
189191 미니 2200 VS 8젠1 삼디막 와일드라이프 테스트 [3] Section31 23.04.02 563 2
189190 미니 애플스토어에선 그리 안커보였는데... [8] file 아이폰14프로 23.04.02 1003 1
189189 미니 S10 5G → A34 옆그레이드일까요? [11] choijm0715 23.04.02 5113 0
189188 미니 농) 휴대폰 교체의 딜레마 [6] MrGom™ 23.04.02 895 3
189187 미니 잡담: Arm 말리 GPU의 연산성능 계산법 Section31 23.04.02 444 0
189186 미니 삼성 1위 모빌아이 자율주행칩 생산, 테슬라도 수주 [8] 갠냑시 23.04.02 881 0
189185 미니 잡담: 다시봐도 신기한 당시 엑시노스 2100의 긱벤치 점수 [19] Section31 23.04.02 1252 7
189184 미니 갤럭시S23 50MP로 벚꽃찍기 [10] file 엔당이희망입니다 23.04.02 842 4
189183 미니 (혐) 샤오미 13프로 [5] file 카더 23.04.02 1267 2
189182 미니 엑시노스2200 솔직히 말해서...; [5] 흡혈귀왕 23.04.02 1018 1
189181 미니 오랜만에 카페 나들이 왔읍니다 (s23울트라는 사랑입니드) [5] file 애상 23.04.02 640 10
189180 미니 잡담: 이쯤에서 다시보는 엑시노스 2200 스펙 [12] Section31 23.04.02 684 1
189179 미니 A54 하고 a52s랑 앱실행 테스트네용 [7] NeoSeven 23.04.02 732 0
189178 미니 소니: 다음 APS-C 카메라는 FX30 센서 채용 [4] PaulBasset 23.04.02 431 1
189177 미니 메이주20 드디어 나왔네요 [6] Geronimo 23.04.02 736 4
189176 미니 s23U 카메라 어시스턴트 초점 우선을 켜서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2] 또하나의인연 23.04.02 894 1
189175 미니 S23울트라 Spring (feat. Gcam) [15] file 씨샾 23.04.02 927 8
189174 미니 FE...... [18] 흡혈귀왕 23.04.02 1117 5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