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CaffeineJuice

미니 TPM 같은 보안 체계가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가요?

PC 보안에 대해서 아는건 평소에 윈도우 디펜더 끄고도

랜섬웨어나 바이러스 안걸리고 나름 잘 사용하는 정도입니다.

TPM 이놈이 난수생성이나 암호화 관련 작업을 담당한다고 알고 있는데,

비트락커나 생체 보안정도 되면 그정도 암호화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일반 가정집 기준으로 윈도우 패스워드조차 없는 환경이 많은게 현실인데,

그런 상황에서도 TPM이 필요가 있긴 한가요?

 

마소에서 윈11에 TPM 강제한게 보안때문이라고 해도

자기네 운영체제 사용하는 대다수 유저들 보안수준은 알고 한건지 궁금하네요.

 

참고로 본문의 "일반 윈도우 소비자"라는 표현은 관대하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댓글
5
바다감초커스타드크림
best 1등 바다감초커스타드크림
2023.03.20. 19:20

암호화 관련 작업이니 더더욱 필요한 법이죠.

우리가 보는 레벨에서 나오는 암호화 레벨도 있지만, OS 내부에서 돌아가는 암호화 레벨도 매번 업데이트 할 때마다 높아지는 중입니다.

 

특히 윈도우10때 핫했던 랜섬웨어나 여러 보안 공격들에 많이 데인 MS이기 때문에, 이번에 그 수준을 높이려고 TPM 2.0을 걸었던 거죠. 

 

말씀해주신 부분 이해는 됩니다. 일반 사용자 입장에선 그게 다 무슨 소용이며, 업그레이드를 막는 장애물에 불과하기 때문이죠. 그 조건 찾는 것도 귀찮고, 비용도 드니 볼멘소리가 나오는 게 이해는 됩니다.

 

다만, 보안은 항상 좋아지면 좋아질 수록 귀찮음을 동반합니다. 2차 로그인이라던가, Google에서 사용하는 기기인증 방법 등등 예전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여러가지 귀찮은 보안 요소들이 등장하고 있는 중이죠. 

그리고 그 보안 수준은 일반인들도 서서히 익숙해져가는 중이구요. 

 

TPM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윈도우11이 이전 윈도우10에서의 광범위한 랜섬웨어 및 좀비PC 공격이 많이 줄어든게 사실 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여러 '키값'들이 숨겨져 있고, 이를 통해 방어를 해나가는 거거든요.

아예 없을 수는 없습니다. 언제나 창과 방패의 싸움에서 창은 유리한 입장이니까요. 

 

TPM은 그런 의미에서는 가장 낮은 레벨에서 움직이는 방패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아이폰이나 갤럭시 등과 같은 스마트폰에도 동일한 역할을 하는 여러 하드웨어 칩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외부에서 사용자 몰래 들어오는 여러 공격을 열심히 막는 중입니다.

 

일반 소비자들에게 이러한 공격이 오니 열심히 "예"를 눌러서 막아요! 하는 것보다는 TPM과 같은 하드웨어를 통해 저수준에서 공격을 사전에 막는 게 가장 효과적이고, 그나마 덜 귀찮은 일입니다.

 

MS도 멍청한것은 아니기에 TPM 도입에 고민이 있었을 겁니다. VISTA 꼴은 안 날지 걱정하면서 말이죠. 하지만, 개인 사용자의 저수준의 보안레벨을 올리는 게 후에 있을 여러 랜섬웨어 등과 같은 사용자 몰래 공격하는 것들을 효과적으로 막는 것임을 알고 있다면 이 선택을 해야만 했을겁니다.

[바다감초커스타드크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다감초커스타드크림
best 2등 바다감초커스타드크림
2023.03.20. 19:40

아... 그리고 노파심에서 말씀을 드립니다만, 

윈도우 디펜더는 꼭 켜시길 부탁드립니다.

 

요새는 웹 서핑을 하면서 나도 모르게 바이러스에 감염 될 수 있는 시대입니다.

1차적으로 웹브라우저에서 막으려고 노력을 합니다만,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들어오는

무차별적 바이러스 공격은 윈도우 디펜더를 통해서라도 막아야합니다. 

 

윈도우 디펜더가 과거의 오명은 없고, 현재는 백신프로그램의 최전선에 있는 프로그램이죠.

 

꼭 켜셔서 최소한의 보안은 챙기셨으면 합니다. 

 

내 컴퓨터가 좀비PC가 되거나 랜섬웨어로 먹통이 되거나, 바이러스로 난리가 나는 것보다는 항상 예방하는 백신 하나가 중요합니다.

[바다감초커스타드크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anata
best 3등 Kanata
2023.03.20. 19:54

문 잠구는 걸 자주 깜빡하는 사람들에겐 오토 도어락이 최고죠

[Kanat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ieNaTiZ
AlieNaTiZ
2023.03.20. 21:42

나중에 감염, 털리고 나서 후회할 바에 대기업에서 만든 기능 쓰시는게 백배 천배 낫습니다.. 

[AlieNaTiZ]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702 13
핫글 미니 요즘 삼성 디자인 진짜 심각합니다 [53] updatefile Geronimo 16:02 1681 52
핫글 미니 사실 중국게임의 사례를 보면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잘 만들어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10] Qkooqq 15:03 475 12
핫글 미니 중국폰이 국내시장에서 먹히려면 중국물을 지워야죠 [11] 하루살이 14:33 638 10
188475 미니 아크의 눈물 [7] file 인헤리턴스 23.03.21 449 1
188474 미니 큰거 삿슈 [2] file 배붕이 23.03.21 1003 4
188473 미니 애플 AP 설계 능력이 지나치게 고평가 받았던게 맞겠죠? [21] 히트맨 23.03.21 1362 3
188472 미니 애플페이 제발 내일은 써볼수 있었으면... [7] Stellist 23.03.21 403 1
188471 미니 애플페이 다이소에서 하려고 하니 안되네요 [5] 미하엘무야허 23.03.21 1509 0
188470 미니 현카는 EMV 수수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한 건지 궁금하네요 [13] Geronimo 23.03.21 970 1
188469 미니 tsmc 3nm 별로 안괜찮나보네요 [21] file 김치피자탕수육이좋다 23.03.21 1805 5
188468 미니 신작겜 아키에이지워 상황이라는데...jpg [11] file aleji 23.03.21 1125 9
188467 미니 4070 749$루머가도네요.. [15] xclear 23.03.21 676 0
188466 미니 애플페이 화제성이 장난아니긴하네요 [7] file biller 23.03.21 1103 9
188465 미니 애플페이 교통카드가 불편하시다구요? [18] file 목적격관계대명사 23.03.21 1546 14
188464 미니 과거로 한 번 돌아가서 [2] [성공]함께크는성장 23.03.21 355 0
188463 미니 삼페x네페가 내일 모레라는 얘기가 있네요 [12] [성공]함께크는성장 23.03.21 957 4
188462 미니 워치 교통카드 불편함 해결은 [7] [성공]함께크는성장 23.03.21 524 0
188461 미니 애플워치 교통카드 은근 불편해요 [12] RBPT 23.03.21 1234 0
188460 미니 글로벌 스마트폰 프리미엄 부문 매출 점유율 2021 VS 2022 [8] 요트맨 23.03.21 564 7
188459 미니 애플페이 인식 동영상인데 엄청나네요. [13] WayBack 23.03.21 1298 4
188458 미니 애플페이 진짜 편하네요 와... [11] 크나앙 23.03.21 1186 4
188457 미니 충전만 안 가린다면야 MFi는 상관 없는데 [2] [성공]함께크는성장 23.03.21 373 0
188456 미니 15프맥 나오면 보내줄 아이지만 file 도저히못참겠다 23.03.21 347 3
188455 미니 유튜브 프리미엄 가족공유 잘 아시는 분들 [2] 유각수23 23.03.21 466 0
188454 미니 애플페이 세븐일레븐 결제해봤습니다 [6] file 닮은살걀 23.03.21 1189 3
188453 미니 오늘 애플페이 쓰긴 글른것 같습니다. [4] Stellist 23.03.21 533 0
188452 미니 애플페이 문자 받았는데도 결제 실패 뜨네요? [15] 화이트갤럭시 23.03.21 910 0
188451 미니 애플페이가 과연 [4] 룬룬 23.03.21 308 0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