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참깨돌이

미니 CXL 과 PIM 기술이 게이밍에 도움이 될 수 있나요?

요새 반도체 관련 회사들은 모두 ai에만 투자하는 느낌입니다. 국가적으로 기업적으로 그런 투자들 모두 가치가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일반인으로서 그런 기술의 발전이 사실 그리 크게 와닿지는 않습니다.

 

그런 일반인인 저도 기술의 발전을 느낄 수 있는 분야가 게이밍입니다. 고화질 텍스쳐는 눈으로 바로 체감이 되고 고주사율은 단순한 숫자로 잘 표현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궁금한 것이 ai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 게이밍 성능에 작용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목에는 cxl과 pim을 적긴했지만 다른 기술도 상관없이 궁금합니다.

 

다만 dlss처럼 ai를 통해 네이티브 정보를 가공하는 방식은 제외하려고 합니다.

댓글
5
경전철(이엿던것)
1등 경전철(이엿던것)
2023.05.15. 11:35

CXL은 게이밍에 쓰라고 만든 건 아니고.. PIM은 먼 미래에는 어떻게든 응용이 될 수 있다 봅니다.

[경전철(이엿던것)]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tares
2등 Antares
2023.05.15. 11:48

https://research.nvidia.com/labs/rtr/neural_texture_compression/

뭐 가까이 보면 xbox에서 쓰는 오토hdr이나 엔비디아가 이번에 발표한 뉴럴 텍스쳐 압축정도고

https://www.youtube.com/watch?v=kHZM5Dgyjwk

멀리 보면 생성 ai 이용한 npc 구현 및 개발환경 구축인데 이쪽은 개인 pc단과 관련은 없을테고요

 

개인pc 단에서 ai써서 dlss 이상으로 npc 행동양식 구현이나 모션 생성 이런건 연구 단계이긴하지만
2018년 튜링 시절부터 있던 메시 쉐이더 뭐 이런게 게임에 도입된거 아직 없는거 보면 아시겠지만
pc든 콘솔이든 현역 장비에 전부 ai 가속 기능 의미있게 탑재되는 시점이나 되어야 시도하네 마네 
하지 않을까 싶네요 아직도 1060 1650 gpu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 보시면..

최소한 콘솔은 지원했어야 게임사들이 시늉이라도 했을텐데 xbox은 int4,8 같이 ai 가속 기능을 넣었어도 ps5은 그런 말이 없었으니 최소 다음세대 가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시점이면 cpu든 gpu든 pc들도 ai가속기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테니

[Antare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가로쓰기
2023.05.15. 11:49

예전부터 일반 소비자는 신경도 안 쓰고 알 방법도 별로 없는 서버/데이터센터용 인터페이스나 신기술은 계속 나왔다 없어졌다 하고 있었습니다. 요새는 회사 보도자료가 나오니 그나마 일반인 접근성이 생겨서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은 거고요. 일부 기술은 데이터센터용으로 만들었다가 일반 소비자용 기술로 쓰이기도 하지만 이런건 극히 드뭅니다.

 

일반 소비자용 SSD는 CXL이 지금 있는 M.2 인터페이스 대비 단점 대비 큰 장점이 없고, 일반 소비자용 DRAM도 CXL을 쓸만큼 램슬롯 물리공간이 부족할 턱이 없죠. 당장 개인PC 램슬롯에 풀뱅 채우는 사람이 얼마나 되나요? 다 떠나서 CXL같이 고대역폭 인터페이스는 컨트롤러칩 비용 때문에 소비자들은 기존 규격을 쓰는게 압도적으로 유리할겁니다.

 

PIM도 마찬가지로 로직회로가 공짜로 들어가는게 아니라 메모리 용량을 희생하면서 로직회로를 넣은 것이기 때문에 일반소비자 입장에선 손해보는 용량 대비 큰 이득이 없습니다. 

 

어차피 소비자용 제품 시장이란 것은 데이터센터용 제품에 비하면 아주아주아주 가격에 민감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기존 규격 대비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낼 수 있는 물건 (예: NVMe SSD 등)이 아닌 이상 도입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아예 컴퓨터 패러다임 자체가 바뀔 정도로 큰 대격변이 오면 또 모르겠습니다만 지금 보도자료 나오는 데이터센터용 규격이나 신기술들 중 대부분이 한 5년만 지나도 잊혀지고 다시는 안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가로쓰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코에서사는중
미코에서사는중
2023.05.15. 13:10

데이터 처리 단위가 4비트 같이 엄청 작아지는 추세라 게임 연산 도움은 잘 모르겠네요

[미코에서사는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
개🐶
2023.05.15. 14:02

cxl은 거대한 용량의 io 데이터 처리에 도움이 되죠

게임같은 개인용도면 복잡한 데이터 수준은 아닙니다.

[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88 13
핫글 미니 애플 제품들이 중고판매도 잘되네요. [20] update 잇흥 10:45 669 12
핫글 미니 갤럭시 무충 솔직히 쓸모없습니다. [25] 윤이 24.06.02 1516 12
핫글 미니 iPhone 16 Pro Max [7] file iceuniverse 13:02 583 9
191898 미니 갤럭시 F54 5G 6월 6일 공개 예정 [1] file 운김 23.05.30 542 0
191897 미니 6월부터 SKT LTE 쓰시는 분들은 0플랜으로 바꾸십셔 [17] file MrGom™ 23.05.30 1004 4
191896 미니 맥북 사용중 상당히 이상한점.. [5] 댕밤 23.05.30 606 0
191895 미니 Intel, Nvidia에게 차기공정 Test 칩 공급 중 [7] 좌지우건 23.05.30 647 2
191894 미니 갤럭시 usb 메모리 인식 질문드립니다 [5] 인헤리턴스 23.05.30 225 0
191893 미니 갤럭시 S22 시리즈, A23, A13, A32 펌웨어 업데이트 [2] file 운김 23.05.30 812 3
191892 미니 잡담: 9300의 다이사이즈는 상상이 안 되네요. [2] Section31 23.05.30 448 0
191891 미니 ALLY 국내 리뷰 영상 본 소감 [10] BarryWhite 23.05.30 1032 5
191890 미니 맥북을 들이면서 [8] 룬룬 23.05.30 532 1
191889 미니 삿슈 [5] file 마키세크리스 23.05.30 418 11
191888 미니 기기 전체 초기화랑 공장 초기화랑 다른 건가요? [11] file 햄버거조아 23.05.30 698 0
191887 미니 미디어텍의 접근이 틀리지않았다 봅니다. [9] astra 23.05.30 1054 7
191886 미니 S23U에 다이소 그립톡 괜찮네요ㅎㅎ [5] RASBI 23.05.30 745 1
191885 미니 애플워치 빨리 도입 되었으면 하는 특허 [2] file 에피 23.05.30 722 5
191884 미니 플렉슬 동기화 베타테스터 모집.link [1] 존버합니다 23.05.30 352 0
191883 미니 코파일럿이 이제 코타나(AI 비서) 대체 하겠죠? file 블랙리스트 23.05.30 220 2
191882 미니 스냅8cx Gen4 OEM 벤더에 샘숭이 있네요 [3] 흡혈귀왕 23.05.30 660 1
191881 미니 갤럭시에 다이소 맥세이프 충전기 쓰시는 분들 계실까요? [4] RASBI 23.05.30 607 2
191880 미니 디씨펌) 8 Gen3 1차 물량 단가 많이 오른 듯 [4] Section31 23.05.30 995 3
191879 미니 잡담: 요즘 삼파 SF4/SF4P는 소식이 없군요. [5] Section31 23.05.30 786 0
191878 미니 한국 공정위. MS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무조건 승인 [13] 스퀴니 23.05.30 998 11
191877 미니 잡담: MTK-엔비디아 협력이 자동차반도체 뿐이라... [4] Section31 23.05.30 423 0
191876 미니 S23 이벤트몰에서 살만한 거 있을까요 [1] [성공]함께크는성장 23.05.30 446 0
191875 미니 류우머 류우머............. [31] 흡혈귀왕 23.05.30 2368 8
191874 미니 잡담: 9300의 구성을 보니... [4] Section31 23.05.30 453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