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rofl

미니 이번 한국갤럽 스마트폰 조사에서 아이폰 20대 점유율 사상 최대네요

  • rofl
  • 조회 수 2222
  • 2023.07.18. 12:06

 

20대 아이폰 사용률은 역대 최대치 (65%), 갤럭시 사용률은 역대 최저치 (32%) 기록이네요. 작년대비 아이폰은 +13%p, 갤럭시는 -12%p입니다. 아이폰은 20대 사용자층에서 10~20%대에서 40%대로 확 치고 올라온 2016년에 이어 또 한번 대폭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아이폰 14 프로 라인이 다이나믹 아일랜드로 큰 주목을 받은 점, 국내 애플페이 지원 시작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대신 30대는 여성층의 아이폰 증가폭보다 남성층의 갤럭시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나 최근 4개년 조사 중 갤럭시 사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40대 LG 비율은 올해 조사에서는 삼성으로 거의 다 이동한 걸로 보입니다.

 

그 결과 전체 연령층에서의 아이폰, 갤럭시 점유율은 모두 3%p씩 올랐지만 실질적으로는 갤럭시는 5%, 아이폰은 15% 성장했습니다.

 

 

    갤럭시 아이폰 LG
2013.11 20대 47% 25% 16%
  30대 63% 18% 12%
  40대 63% 8% 17%
2014.8 20대 53% 15% 24%
  30대 55% 16% 21%
  40대 58% 8% 17%
2016.7 20대 40% 41% 14%
  30대 47% 32% 10%
  40대 58% 8% 28%
2017.2 20대 43% 40% 14%
  30대 43% 34% 21%
  40대 65% 10% 20%
2017.10 20대 46% 45% 7%
  30대 53% 29% 15%
  40대 71% 10% 18%
2018.7 20대 39% 50% 8%
  30대 61% 25% 11%
  40대 69% 11% 17%
2019.7 20대 43% 49% 6%
  30대 55% 34% 9%
  40대 72% 13% 14%
2020.8 20대 45% (남 55% 여 32%) 44% (남 31% 여 58%) 10% (남 13% 여 8%)
  30대 53% (남 61% 여 46%) 35% (남 27% 여 44%) 10% (남 10% 여 10%)
  40대 68% (남 68% 여 66%) 12% (남 8% 여 15%) 18% (남 21% 여 15%)
2021.6 20대 39% (남 46% 여 32%) 52% (남 42% 여 62%) 7% (남 7% 여 6%)
  30대 51% (남 56% 여 45%) 43% (남 33% 여 55%) 4% (남 8%)
  40대 79% (남 74% 여 83%) 11% (남 14% 여 7%) 9% (남 9% 여 9%)
2022.6 20대 44% (남 51% 여 36%) 52% (남 43% 여 62%) 3% (남 3% 여 2%)
  30대 53% (남 48% 여 59%) 42% (남 45% 여 39%) 3% (남 5% 여 2%)
  40대 71% (남 74% 여 68%) 16% (남 17% 여 14%)

11% (남 6% 여 16%)

2023.7 20대 32% (남 36% 여 27%) 65% (남 60% 여 71%)

1% (남 1% 여 2%)

  30대 56% (남 59% 여 53%) 41% (남 36% 여 47%) 2% (남 4%)
  40대 78% (남 81% 여 76%) 18% (남 16% 여 21%)

2% (남 2% 여 2%)

 

 

rofl
😇😇😇💣💣💣
댓글
49
적당히하자
best 1등 적당히하자
2023.07.18. 12:23

18세부터 29세가 약 7대3이면

중고딩들은 8대2는 기본이겠네요..

 

20대가 저정도로 올랐을지는 몰랐네요...

 

애플페이 효과인지 대단하네요;;,,

[적당히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best rofl 적당히하자 님께
2023.07.18. 12:38

이미 2018, 2021년에도 20대에서 갤럭시가 두 번 30%대 찍었던 거에서 알 수 있듯 시대적 흐름에다가 14 시리즈 자체가 다이나믹 아일랜드로 엄청난 화제성을 가짐 + 국내는 애플페이까지 지원 시작... 복합적인 영향이라고 봅니다.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적당히하자
적당히하자 rofl 님께
2023.07.18. 12:27

23 시리즈 잘나와서 저렇게까지 벌어질거라 생각 못했네요.

역시 대세는 못막나봐요.

[적당히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best rofl 적당히하자 님께
2023.07.18. 12:54

수요층의 연령이 다르다고 봐야죠. 전세계적으로 1020은 갤럭시나 안드로이드에 관심 자체가 딱히 없다는 게 여러 기간 동안 여러 통계 자료로 확인됩니다. 폴더블 폰 (특히 플립)은 플립폰을 경험해본 30대 이상에게나 향수를 불러일으키지 그 이하 세대에서는 어필에 실패했음도 짐작 가능하네요.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best 2등 tdpc
2023.07.18. 13:16

인싸 마케팅 (-12%p) 🙄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best rofl tdpc 님께
2023.07.18. 12:45

뭐 그렇게 책임을 하나에 딱 돌리고 싶을 수 있지만 2016년부터의 추세를 보면 중간에도 두 번 30%대 후반이 찍혔으니 계속 위태위태했죠. 거기다가 에어팟, 아이패드, 애플워치가 아이폰을 더 도와주는지라 종합적인 브랜드 가치 외에도 연동성과 락인 효과가 크죠. 욕 들어먹은 광고가 없는 평행세계라고 하더라도 결국 이맘때가 되면 비슷한 수치가 나왔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2018년에도 이미 20대에서 아이폰 > 삼성 & LG인데 그 사이 연동성이나 생태계가 더 강화되었고 사용자들도 이에 대한 이해도가 늘어났으니 폐쇄적 생태계 전략의 승자 독식적 성격 때문에 후발주자는 결국 이렇게 될 수 밖에요.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undbyAKG
best 3등 SoundbyAKG
2023.07.18. 12:39

어린 친구들이 보기에도 전략이 그만큼 어설프다는 거죠

[SoundbyAK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SoundbyAKG 님께
2023.07.18. 12:45

2018년에도 이미 20대에서 아이폰 > 삼성 & LG인데 그 사이 연동성이나 생태계가 더 강화되었고 사용자들도 이에 대한 이해도가 늘어났으니 폐쇄적 생태계 전략의 승자 독식적 성격 때문에 후발주자는 결국 이렇게 될 수 밖에요.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조형기의운전교실
best 조형기의운전교실
2023.07.18. 12:42

삼성의 자업자득이죠

 

누굴 탓해요...업보라고 해야하나요 

[조형기의운전교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운김
2023.07.18. 12:46

표본조사 1천명이어도 웬만해선 맞는거죠?

[운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best rofl 운김 님께
2023.07.18. 13:45

넵 전혀 문제없습니다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맞는말만함
best 맞는말만함
2023.07.18. 12:48

삼성의 MZ마케팅이 드디어 통했네요 축하합니다 샘숭~

[맞는말만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best 범퀴
2023.07.18. 12:51

근데 꼭 마케팅만의 문제는 아닌게

S23도 삼파썻음 걍 싹다 아이폰 갔을듯 ㅋㅋ

S20 s21 s22 쓰로틀링걸리면 다 동일성능

이걸 왜보고있어야하는지 ㅋㅋ 아이폰가면되지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키74몸무게181
키74몸무게181
2023.07.18. 12:52

인싸 마케팅 하더니 천벌 받는중 ㅋㅋㅋ

[키74몸무게18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후웨이
best 후웨이
2023.07.18. 12:52

s20 s21 s22도 문제였죠  그때 마니 이동했어요

[후웨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존버합니다
2023.07.18. 12:53

2년을 박았으니 뭐... 자업자득이죠 s20은 성능은 안박았어도 디자인이 거 참..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quabeat91
best aquabeat91
2023.07.18. 12:56

단순 제품군끼리만 비교해도 애플워치, 아이패드 급은 있지도 않고

갤럭시 에코 시스템이 너무 부실해서 폰갤탭아라는 말이 생길 정도니까요

 

각각의 제품군의 매력과, 연동성을 최대로 끌어올리지 않고서는 수 많은 안드로이드 제조사 중 한곳이 될 뿐 판매량 반등은 어려울 것 같아요..

 

저만 해도 갤럭시 스마트폰 자체는 한국에서 엄청나게 유용하고 편하다고 생각해서 사용 중이지만

애플워치나 아이패드 그리고 각 제품들의 연동성은 아직도 그립습니다..

[aquabeat9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aquabeat91 님께
2023.07.18. 12:55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aquabeat91 님께
2023.07.18. 12:58

생태계 전략은 애플이 폐쇄적으로 정의해버린 이상 승자 독식 구조라서 현재의 흐름 자체는 못 막습니다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나쓰
best 도나쓰
2023.07.18. 12:56

솔직히 젊은층에게는 흐름 자체가 넘어가버렸다는 느낌을 받습니다만 별개로 S21울이 다음폰은 그냥 아이폰으로 넘어가야하나 고민하게 만들어주더군요.. 23U 넘어와보니 이제야 옳게된 플래그십을 쓰는 느낌입니다 ㅜ

[도나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best rofl 도나쓰 님께
2023.07.18. 13:10

보수적으로 잡아도 한국도 넘어간지 5년은 됐습니다 그나마 한국이 고소득국가 중에서는 가장 늦은 편이고요.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적당히하자
적당히하자 rofl 님께
2023.07.18. 13:03

저도 미코 초반부터 얘기했던건데

이 조사에선 학생들은 빠져있었어서..

그 때 학생들이 이제 20대가 되니 조사로도 확인이 되는건가 싶네요.

[적당히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적당히하자 님께
2023.07.18. 13:03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적당히하자 님께
2023.07.18. 13:10

갤럽조사에서도 20대에서 갤럭시가 아마 2년 정도 더 30~40%대에서 한동안 왔다갔다하다가 결국 그후에는 20%대로 더 줄지 않을까 싶습니다.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무노래
아무노래 rofl 님께
2023.07.18. 13:33

본진마저 털리니 참 안타깝네요

[아무노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아무노래 님께
2023.07.18. 13:35

안타깝지만 충분히 예상 가능한 결과였죠. 2010년대 중후반에라도 생태계 전략에 맞대응했다면 그나마 좀 이 추세를 더 늦출 수 있었겠지만요.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무노래
아무노래 rofl 님께
2023.07.18. 13:41

뭐 그렇긴 하죠. 당시에는 뭔가 삼성 모바일쪽 정책이 적당히 해서 적당히 파는 그런느낌이라 지금만큼 진심이 느껴지는것도 아니라서..

[아무노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ngdang
Pongdang
2023.07.18. 12:58

와 대단하네요 아이폰....

진짜 학생들인 아이폰이 대세인듯..

버스에서 학생들보면 거의다 아이폰이에요

[Pongda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섹시킹
best 섹시킹
2023.07.18. 13:03

젊은 세대는 아이폰이 진짜 압살입니다 ㄹㅇㅋㅋ;
주변 사람들과의 에어드랍 때문이라도 강제적 ㅠㅠ

[섹시킹]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ltanateofRum
best SultanateofRum
2023.07.18. 13:14

A시리즈와 공신폰의 저열한 성능을 몸소 몇년간 참아낸 학생들에게

 

S시리즈가 성능 좋고 MZ하다고 마케팅 해봐야 설득이 될까 싶어요.

[SultanateofRu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SultanateofRum 님께
2023.07.18. 13:38

국내는 그럴 수 있는데 Mz마케팅과 공신폰이 없는 해외도 더 일찍부터 똑같은 거 보면 시기의 차이지 어차피 이렇게 되긴 했을 겁니다.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ltanateofRum
SultanateofRum rofl 님께
2023.07.18. 13:47

해외의 케이스는 모르겠지만 그쪽에서도 학생들이 보급형을 많이들 사용했다면 다음에는 좋은 브랜드의 플래그쉽을 사용하고 싶지않을까 싶어요.

 

[SultanateofRu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SultanateofRum 님께
2023.07.18. 13:50

젊은층은 꾸준히 아이폰이 국룰이었던 걸로 보입니다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ltanateofRum
SultanateofRum rofl 님께
2023.07.18. 14:00

숭배합니다. GOAT 잡스

[SultanateofRu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SultanateofRum 님께
2023.07.18. 14:07

애플 생태계 전략을 세우고 성공시켜버린 팀쿡의 공로도 크게 인정해야죠.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무노래
아무노래
2023.07.18. 13:28

플래그십조차 s10이후로 너무 비싸고 못생겻거나 뒷판에 플라스틱을 쓴다거나 성능이 후지거나 gos 등등.. 3년 꽉채워서 쭉 병크를 저지르는덕에 짐싸서 떠난사람들 많죠. 3년이면 엄청 긴 시간이다보니

당장 저포함해서 아이폰으로 여럿 건너가셨다가 이번 23때 복귀하는경우도 있구요.

피난갓다가 정착한분들도 많을거고..

[아무노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6X8BVYV1WH7T
best X6X8BVYV1WH7T
2023.07.18. 13:51

지금은 갤럭시를 쓰고있지만

고등학생때 아이팟터치를 경험하고

대학생때 아이폰4를 사용하던 제가

우연히 친구 옵티머스폰 받아서 음악 재생목록 스크롤하다가

아... 안드로이드는 쓰면 안되겠다...

생각이 들었었죠...

그 최악의 경험을 지우는데 한 10년의 세월이 흐른 것 같네요.

갤럭시A30에서 진짜 최악중이 최악의 경험을 해본적도 있어서

삼성은 보급형에 좀 더 신경써줬으면 합니다

[X6X8BVYV1WH7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R
best S.R
2023.07.18. 14:12

아이폰 안 쓸 이유가 없죠

[S.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lair
flair S.R 님께
2023.07.18. 14:22

참...이게 한줄 정리 같네요... 갤럭시 유저입니다만, 갤럭시는 써야할 이유가 명확해야 사지만, 아이폰은 그냥 일반인이 썼을때 안쓸 이유가 딱히없어요.... 이젠 애플페이도 어느정도되고, 통녹도 필요한층은 정해져있고..

[flai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flair 님께
2023.07.18. 14:22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레제르바
레제르바
2023.07.18. 14:46

GOS 영향 없다더니 성능 확실하네요ㅋㅋㅋ

[레제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IKIRAKA
best KIKIRAKA
2023.07.18. 14:49

진짜 솔직하게 아이폰을 거르고 갤럭시 살 이유가 안보이긴 합니다... 저야 폰을 외장하드처럼 직결해서 자주 이용하고, S펜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S23U 사용하는데 파일 이동이 별로 없거나 클라우드 적극 사용, 펜이 필요한 상황 아니라면 굳이? 입니다.

아이폰은 기기를 살 때 최저 라인이 정해져 있는 반면 갤럭시는 정말 하방으로 쫙 열려 있기 때문에 저가 A시리즈 겪은 애들은 이 악물고 아이폰 사려고 할꺼구요...

[KIKIRAK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Eomjunsik
2023.07.18. 15:16

애플 주식이랑 갤럭시 삽니다 ㅎ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글쓴이
rofl 헤페바이쎄 님께
2023.07.18. 18:02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자린고네
자린고네
2023.07.18. 18:59

A시리즈에 대한 안좋은 경험때문에 애플로 갈아타는 사람은 있어도 반대의 경우는 별로 없고 에어팟 애플워치 때문에 안드로 못가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게 아닐까 싶어요.

 

고사양 폰으로 비교 하면 저 같은 경우는 갤럭시가 편할것 같음에도 에어팟 때문에 못갑니다... 

[자린고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엑시노스2100
엑시노스2100
2023.07.19. 09:12

남자 20대도 넘어간건 S22 성능 이슈가 압도적인 이유일듯요

[엑시노스210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90 13
핫글 미니 애플 제품들이 중고판매도 잘되네요. [20] 잇흥 10:45 760 12
핫글 미니 마소는 제발 기본 앱의 웹앱화를 멈춰달라..!! [9] updatefile Fluent 15:34 366 11
핫글 미니 iPhone 16 Pro Max [7] file iceuniverse 13:02 728 10
208002 미니 삼성은 기본만 하면 잘나갈 수 있는데 [39] 딱보면알아 22.07.22 1668 14
208001 미니 버거킹 개발 [18] file 아이폰13프로 22.08.16 2155 14
208000 미니 크롬북 깠어요 뿌우'ㅅ' [6] file 오토카모 22.04.11 920 14
207999 미니 S23 구매 후 병이 나았습니다 [6] 빅코 23.08.15 1393 14
207998 미니 One UI 4 공식 소개 영상 (SDC21) [4] MrGom™ 21.10.27 1665 14
207997 미니 10대 아이폰 좋아하는 이유는 [6] 맵찔맵찔 21.11.20 871 14
207996 미니 니콘 s렌즈 나노크리스탈 코팅의 위력 [14] file 주미크론 21.12.16 994 14
207995 미니 화웨이의 삼성 광고 카피 [7] file 하이프라이즈 21.04.02 1000 14
207994 미니 아이폰 미니처럼 작은 폰을 달라 한 것도 아닌데 [8] 오리제 23.01.21 1496 14
207993 미니 엘지는 스마트폰 이후 mc출신 mc사업부본부장이 1명도 없다는건 놀랍네요 [5] 실바누스 21.01.15 662 14
207992 미니 15프로 2대 받았슈 [8] file 김애용 23.10.13 619 14
207991 미니 세계에서 가장 얇은 15인치 노트북 [21] file 룬룬 23.06.07 1503 14
207990 미니 애플 기능 좋아지는건 좋은데 [19] 오레오가좋아 20.05.23 852 14
207989 미니 왔슈!!! [5] file a1001 23.07.28 615 14
207988 미니 S23 잘나왔다 하지 말아줘요 ㅠㅠㅠ [12] file sourire 23.02.18 1285 14
207987 미니 15프로로 찍은 고양이입니다 [4] file embleton 23.10.21 706 14
207986 미니 [스압주의] S21 U로 2년만에 바꾼블로그 타이틀 + 과거타이틀 [17] file 대출받아서기변함 21.05.06 649 14
207985 미니 은근 언급 안되는 갤럭시 겁나 편한 기능.... [11] 모코코 23.09.08 2177 14
207984 미니 구리고 비싼 폰입니다. [19] file Memeko 20.10.26 1427 14
207983 미니 아이패드에서 갤럭시탭으로 이주했습니다. [6] file 후루꾸루 21.03.05 889 14
207982 미니 갤럭시 신제품 유출 구조적인 원인 [1] 우주안녕 24.01.14 2525 14
207981 미니 램은 일반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15] 플롱 20.12.05 1048 14
207980 미니 24 루머 괘씸한게... [8] 갤럭시S22 23.11.30 1463 14
207979 미니 S라인업 노말 모델은 원가절감으로 가는게 맞는 거 같아요 [16]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22 971 14
207978 미니 솔직히 삼밴통에 파일관리도 넣어야 합니당... [21] 모코코 23.09.22 1051 14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