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Polishe

미니 북미/유럽 시장에 대해 착각하는 부분

  • Polishe
  • 조회 수 870
  • 2023.08.02. 16:40

개발도상국이 아닌 북미/유럽에 대해 착각하시는 부분이 종종 보여 적어봅니다.

 

일반적으로 사회인들은 세 분류로 나뉩니다.

1. 돈이 있고 시간이 없는 부류

2. 시간이 있고 돈이 없는 부류

3. 돈이 있고 시간도 있는 부류

 

소비의 주체가 되는 것은 대체로 1번과 3번이죠.

보통 1번의 부류에 속하는 한국사회는 돈을 시간을 보내는데 쓰는 것이 아닌 없는 시간 속에 즐길 수 있는 곳에 소비를 합니다. 사치품이나 전자기기, 먹거리, 모바일 게임 등이죠. 그렇다보니 사람들이 물건을 살때도, 선호하는 방향이 이 돈이면 조금 더 보태서 윗급이라는 쪽으로 가게 되죠. 

 

반면에 같은 선진국이라도 3번에 속하는 부류인 북미/유럽,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시간을 보내는데 소비가 더 집중이 되어있습니다. 시간이 들어가는 취미나 관광이 아닌 긴 시간이 필요한 여행같은데 소비를 합니다. 예를들어 시장이 넓어 비교하기 쉬운 하이킹, 트래킹 같은 취미라도 기능성의류의 경우에도 사치품에 가까운 가격의 브랜드들보다 중간 가격의 튼튼한 브랜드들이 더 각광을 받는 것 처럼이요. 전자기기도 마찬가지입니다.

 

기회비용이 100이면 한국이라면 80을 없는 시간내에서 즐길 수 있는 쪽으로 쓴다면, 이쪽은 80을 여유 시간을 보내기 위해 소비를 하는 쪽을 택합니다. 물론 둘 다 택할 수 있는 사람들은 둘 다 택하지만, 독일이나 네덜란드 제외하면 대다수의 국민이 저축이라는 개념과 둘 다라는 욕심을 부릴 수 있는 나라가 잘 없습니다. 저축이 없어도 노후가 어느정도 보장이 되니 신경을 안 쓰는 것이긴 하지만요.

또한 삶을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도 있습니다. 미국은 주에 따라 굉장이 큰 차이가 있어 예로들기 힘들지만, 유럽의 경우에는 대다수의 나라가 대도시가 아닌 곳은 중세에 살고있나 싶을 정도로 전통을 고수하는 곳이 많습니다. 전기가 들어오더라도 나무를 때서 생활하고, 축사가 천년전에 지어진 그대로 사용하고, 생활수도 지하수를 찾아 펌프로 올려서 쓸 정도로요. 중간크기 도시들도 겨울에 굴뚝에서 연기 올라오는 것을 간간히 보실 수 있습니다. 종종 세계여행방송 보면 중세방식으로 치즈를 만들고, 와인을 아직도 밟아서 만들고 하는 것들이 보기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비단 시골뿐 아니라 대도시도 전통을 고수하기 때문에 구시가와 신시가가 확연하게 나뉘어 있고, 구 시가에 조금이라도 어울리지 않는 건물이 생기려하면 시민들의 반대가 빗발칩니다. 이와같이 물건을 택할때도 늘 쓰던것을 고수하게되지, 새로운 것에 새로운 기술이 들어갔다고 무조건 가져다 쓰지 않습니다. 천천히 검증되고 눈에 익은 후에야 시도해볼까말까 합니다. 특히나 금액이 어느정도 이상인 경우에는요.

 

연령별, 성별, 나라별로 더 자세히 설명하고 적을게 많은데, 생각해보니 너무 길게 적어야 할 것 같아서 귀찮음이 급격히 몰려와 나중에 기회되면 다시 적어보겠습니다. 아직 카페인을 섭취못해 중구난방 설명이 미흡한 부분이 있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편하게 물어보세요. 유럽 여러나라 옮겨다니며 산지 오래되었지만 님이 맞다고 하시면 님이 맞습니다. 경험과 그로 비롯한 생각은 주관적이거나 주관이 섞일 수 밖에 없으니까요.

댓글
15
Aimer
1등 Aimer
2023.08.02. 16:44

카페인 부족은 중대사항이죠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Aimer 님께
2023.08.02. 16:44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Aimer 님께
2023.08.02. 16:53

카페인 수혈없이 쓰다보니 글이 산으로 갔습니다ㅎㅎ 돌아오기 너무 먼 것 같아서 질문받고 답글 적는게 나을 것 같아서 급 마무리했습니다 😅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H-1
2등 PH-1
2023.08.02. 16:47

연차를 내고 커피를 마셨습니다.

[PH-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PH-1 님께
2023.08.02. 16:47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PH-1 님께
2023.08.02. 16:51

이건.. 신품 애기신발 중고판매의 허밍웨이 시랑 견줄 수 있는 한줄이군요. 😢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카메라징징
best 3등 카메라징징
2023.08.02. 17:21

작년 독일에서 5개월을 교환학생으로 살았는데 얘네는 좋은 폰을 사는게 우리나라만큼 가치 있는 소비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애초에 글에서 말씀주신대로 이곳에 가치를 두지 않고 가격의 합리성을 제일 중시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각종 관세로 전자기기 가격이 비싼 것도 덤이죠.

중견급 규모 도시 기준인데, 조금만 높게 올라가거나, 가게 안쪽으로 깊게 들어가면 인터넷 잘 안터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평소 인터넷 속도도 플래그십을 사는 의미가 없을 정도로 느려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여담이지만, 지하를 지나는 열차를 타면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없는게 당연하고 휴대폰을 만지지도 않았는데 혼자 전파 찾느라 갑자기 배터리가 1시간만에 10퍼 빠지는 경험도 몇 번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가격 민감도 높고, 하이엔드 전자기기 소비에 가치를 두지 않는 이 시장에서 폴더블이 비집고 들어가기 꽤나 어렵다는 생각이 드네요.

[카메라징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카메라징징 님께
2023.08.02. 17:47

정확합니다. 적으려다가만 연령대 부분에서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높은 젊은 층이 스마트폰을 들여다 볼 시간보다 다른 취미들을 위한 여유시간이 제공되다보니, 같은 기회비용이 제공되면 폰이야 상향평준화 되어있기 때문에 그 비용이면 하이엔드의 전자기기보다 다른 경험이 될 만한 것을 선택하는게 일반적입니다.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sgh97
alsgh97
2023.08.02. 17:25

아직은 니치마켓 수준인거 같습니다

[alsgh97]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alsgh97 님께
2023.08.02. 17:58

폴더블 시장을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그렇죠. 언젠가 바형에 비해 획기적인 차이가 있다면 급격히 사람들이 넘어오기 시작하겠죠. 그런데 아직도 스마트폰이 아닌 옛날 플립폰 탱크폰 쓰는 사람들이 종종 보이는 것 보면, 스마트폰의 등장 정도의 임팩트가 있어야 넘어갈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1/4로 지금의 바형 두께 정도로 접어서 다닐 수 있다던가 할 정도로요.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헤메
헤메
2023.08.02. 17:30

일단 유럽은 비싼 폰 들고다니면 누가 훔쳐서

[헤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헤메 님께
2023.08.02. 17:48

ㅎㅎ 맞습니다. 새폰사는 친구들도 케이스는 투박한거 끼우고 다니고 그럽니다. 대도시 한가운데서도 강도당하는 일도 보다보니, 결혼반지도 잘 안 끼고 다니게 되더군요.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ltanateofRum
SultanateofRum
2023.08.02. 18:09

저는 독일 기차역에 화웨이 P30 pro 광고판 붙어있던것을 봤을때 쇼크가 상당했어요. ㅎㅎ

 

보다폰에서 개통기다리면서 직원과 이야기 나눌때도 요즘 화웨이, 샤오미 제품이 주로 팔린다고 하고…그때부터 중국폰에 대한 이미지가 바뀌더라고요. 

 

중국이 공격적으로 나오고 화웨이가 밴당한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SultanateofRu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ishe
글쓴이
Polishe SultanateofRum 님께
2023.08.02. 18:38

갤럭시 A시리즈가 전보다 많이 보입니다. 화훼이도 여전히 많이 보이고, 샤오미도 많이 보여요 오포도 마찬가지구요. 다른 것보다 독일은 난민, 이민자들이 많아서 중저가 시장이 큽니다. 중산층도 여가를 좋은데 다녀왔다고 떠들거나 취미를 어떤걸 한다고 떠드는 걸 더 가치있다고 여기지 좋은 폰을 쥐고 있다고 크게 생각하지 않아요. 소모품이고, 본문과 같이 금액 높은 소모품보다 가격 적당히 괜찮은 기능 괜찮은 소모품을 찾죠. 그래서 종종 아이폰 명품 혹은 이미지 이야기가 게시판에 올라오면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어서 재미있습니다. 이쪽은 폰은 사치품보다 생활용품인 소모품이라는 인식이다 보니까요. 삼성과 애플이미지는, 치약같이 콜게이트냐 오랄비냐 그 정도 차이입니다. 콜게이트 쓰던사람은 콜게이트 쓸꺼고, 오랄비 쓰던 사람은 오랄비 쓸꺼고 그 정도요. 종종 바다소금 첨가 이런 치약이 다른 회사에서 나오면 써보는 정도?

[Polish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3.08.02. 18:12

미국은 진짜 다양한 소비층이 있어서 좀 논외고

유럽은, 높은세금 + 기본적으로 검소하게 살 수 밖에 없는 인식구조 때문에

고착된 소비구조에서 벗어나긴 힘들긴 합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나르자 님께
2023.08.02. 18:12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277 13
핫글 미니 한국에서 스냅드래곤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8] update 엔당이희망입니다 01:03 878 12
핫글 미니 일단 마음의 준비는 좀 해야겠습니다. [34] 흡혈귀왕 24.06.19 1262 11
핫글 미니 요즘들어 애플워치가 제값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11]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4.06.19 831 10
200629 미니 그러고보니 애플페이 소식이 없네요? [4] [성공]함께크는성장 23.12.01 1888 8
200628 미니 저는 60hz보다 램부족이 더 치명적이라고 생각합니다 [7] 크나앙 23.11.30 841 8
200627 미니 갤럭시에 8GB 램은 언제부터 들어갔는가 [12] file Niflheimr 23.11.30 836 8
200626 미니 S23FE 대리점발 가격? [1] file SOCOM 23.11.27 1020 8
200625 미니 폴드5 플립5 베타유저 6.0 정식 나왔다네요 [4] file 펄럭펄럭 23.11.27 603 8
200624 미니 탭 S9 시리즈 One UI 6 업데이트 배포 시작했습니다. [10] file 바닐라라떼 23.11.27 755 8
200623 미니 어제 휴대폰 액정 깨진거 수리했어요. [3] 시키에이키 23.11.26 485 8
200622 미니 슬슬 RDNA4가 코드에 노출되나보군요.. [1] 흡혈귀왕 23.11.24 1113 8
200621 미니 아이폰 갤럭시 🍂 의 계절.jpg [2] file 품귀문란 23.11.22 1170 8
200620 미니 요즘 재밌는 정보가 포착이 안되네용 [8] 흡혈귀왕 23.11.22 980 8
200619 미니 삼케플 가입 끝 [1] [성공]함께크는성장 23.11.22 608 8
200618 미니 SD8G3&D9300, SPEC2017 [15] file 좌지우건 23.11.20 1142 8
200617 미니 골댕이 8G3 CPU 코멘트 [14] file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23.11.20 1314 8
200616 미니 서울에서 이정도의 별사진을??(feat.gcam) [4] file 씨샾 23.11.19 1087 8
200615 미니 아이폰 적응기! [4] Ginza 23.11.18 1041 8
200614 미니 그 시절 '애플,게 섯거라'의 근황 [4] file 햄버거조아 23.11.17 1000 8
200613 미니 Y700 2023 (비공식) 글로벌롬 설치했습니다. [6] file 나르번 23.11.17 5693 8
200612 미니 애플이 다이내믹아일랜드로 입터는거.. [5] file 품귀문란 23.11.16 1278 8
200611 미니 추억의 올초 멤버스 쪼아댔던 카메라 이슈 리스트 [3] 흡혈귀왕 23.11.16 744 8
200610 미니 정식 넣을게요 [2] file 펄럭펄럭 23.11.16 565 8
200609 미니 Redmagic 9 Pro 실사 [18] file 좌지우건 23.11.15 1065 8
200608 미니 아이폰 SE4 컨셉 렌더링 및 최신 예상 스펙 [13] 요트맨 23.11.15 1217 8
200607 미니 D9300이 전성비 나쁘지않은게 A720 덕도 있는듯하네요. [6] 흡혈귀왕 23.11.14 776 8
200606 미니 여러모로 A17 Pro가 참 아쉽습니다... [10] dlwlrma 23.11.14 978 8
200605 미니 잡담: 디멘시티 9300 실제 디바이스 벤치 (vivo X100) [7] Section31 23.11.14 768 8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