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퀄컴 오라이온(누비아 기반) SoC는 왜 실패하고 있는가?"

  • Section31
  • 조회 수 1088
  • 2023.09.27. 08:02

압축 요약

 

1) 퀄컴의 PMIC(전력제어집적회로)와 관련한 실책과 헛발질 때문에 오라이온 SoC 가 실패했습니다.

2) 퀄컴은 자사의 SoC와 자사의 PMIC를 강제로 번들링하여 팔기로 했는데 이게 고객사들의 불만과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3) 그리고 퀄컴의 PMIC는 휴대폰 용도에 적합하지만 랩톱 용도에는 부적합하며 이를 해결하려면 비용을 야기합니다.

4) 게다가 퀄컴은 비용을 지불하고 대신 기성 PMIC를 쓰겠다는 고객사들을 그러지 못하게 방해했습니다.

5) 퀄컴은 기술적 해결방안 대신 재정적 해결방안을 선택했고, 그 결과 PMIC 판매 기대이익보다 지출비용이 더 많아져 순손실이 발생했습니다.

 

 

내용이 너무 길어서 각 서브섹션에 나온 내용을 최대한 요약했습니다.

 

1) 좋은 점부터 시작.

- Nuvia 코어는 A0에서의 성능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하는데, 이는 새로운 팀이 개발한 클린 시트 코어에 대한 인상적인 성과를 나타냅니다. 현 시점에서 이러한 우수성을 달성하는 또 다른 클린시트 코어를 찾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그러나 언코어 구성 요소는 초기 비판에 직면했지만 Qualcomm의 후속 버그 픽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근본적인 실리콘 문제보다는 외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소비전력입니다.

 

2) 파워 플레이.

- 오라이온은 PMIC(전력제어집적회로)의 판매를 늘리려는 퀄컴의 열망에 따른 기업 결정으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 퀄컴은 PMIC를 오라이온 SoC과 번들로 묶어 최고의 제품 적합성보다 이익을 우선시했습니다.

- 문제는 오라이온은 휴대폰 SoC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퀄컴은 휴대폰용으로 설계된 PMIC와 함께 이러한 번들링을 시행했는데, 이는 랩톱에 사용할 때 효율성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기성 PMIC 옵션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퀄컴은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았으며 이는 효율성보다 이익의 우선 순위를 강조합니다.

 

3) 바보들의 행진 시작 (Let the Stupid Begin; 실제 원문에 사용된 표현이니 오해하지 마시길.)

- 휴대폰용으로 설계된 퀄컴의 번들 PMIC는 랩톱 SoC에 비효율적이고 부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 따라서 랩톱의 현재 요구 사항을 충족하려면 여러 PMIC를 병렬로 사용해야 합니다.

- 이러한 비효율성에도 불구하고 퀄컴은 더 많은 PMIC를 판매하고 번들링을 시행하여 Oryon에 효과적인 전력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보다 이익을 우선시함으로써 이익을 얻습니다

- 이러한 접근 방식은 Oryon의 전력 상황을 악화시키고 효율성을 저해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이 아닌 전력 솔루션을 제공하게 됩니다. 퀄컴이 2024년 말까지 ARM 노트북에 대한 독점권을 활용하면 이러한 번들링 전략이 더욱 활성화됩니다.

 

4) 더 빨라진 바보들의 행진 (Let the Stupid Accelerate; 역시 실제 원문에 사용된 표현입니다.)

- 여러 개의 부적합한 PMIC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서류상으로 수익성 있는 솔루션처럼 보일 수 있으며 퀄컴에 재정적으로 이익이 되지만 최종 사용자 경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이러한 접근 방식은 2024년 AMD 및 인텔과 같은 잠재적인 랩톱 경쟁업체에 대한 오라이온의 경쟁력을 약화시킵니다.

- 원래 고급 휴대폰용으로 설계된 PMIC에는 0.6mm 피치 HDI PCB가 필요하며 이는 휴대폰 용도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듭니다.

- 랩톱의 더 큰 보드 영역을 수용하기 위해 이 값비싼 휴대폰 PCB를 확장하면 오라이온 랩탑의 비용이 크게 증가합니다.

- 일부 OEM은 퀄컴의 강제 PMIC 번들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러한 불필요한 비용 상승에 대해 불만을 표명했으며 적절한 PMIC 옵션을 사용하면 보다 저렴한 PCB도 허용할 수 있었습니다.

 

5) 더 나빠질 수 있을까요?

- 스스로 불러온 이런 상황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 원래 휴대폰용으로 설계된 0.6mm 피치 PCB는 더 얇은 구리층(1/4oz)으로 인해 노트북에 필요한 더 높은 전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확실한 해결책은 PCB의 레이어 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퀄컴의 PMIC 강제 번들링에는 Oryon의 노트북 전류를 처리하기 위해 추가로 4개의 보드 레이어가 필요합니다.

- 이는 보드의 수율이 레이어가 많아질수록 감소하고 비용 영향이 선형적이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BoM(재료 명세서) 비용을 상당히 증폭시킵니다.

- OEM들은 이러한 추가 비용을 알고 크게 화를 냈는데, 이는 퀄컴의 결정에 대한 광범위한 불만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과제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레이어를 추가하는 솔루션은 기술적으로는 효과적이지만 우려를 더욱 불러일으킵니다.

 

6) 당연히 (상황이 더 나빠지는 게) 가능합니다만....

- 퀄컴의 이런 의무적인 접근 방식에 좌절한 여러 OEM은 필요에 따라 PMIC를 구매할 계획을 세웠지만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기성 솔루션을 선택하여 퀄컴 PMIC를 폐기했습니다.

- 이 대안은 PCB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전력 공급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궁극적으로 최종 사용자를 위한 더 저렴하고 우수한 장치를 제공하게 됩니다.

- 그러나 퀄컴은 SoC-PMIC 프로토콜이 독점적이며 SoC에 통합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접근 방식에 반대했습니다.

- 이게 독립적으로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소스에서 정황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는 프로토콜의 독점 특성을 보고했습니다.

- OEM이 사용하지 않을 번들 PMIC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퀄컴은 이 옵션을 방해했습니다. 그 결과 OEM들은 퀄컴의 확고한 입장으로 인해 매우 좌절감을 느꼈고 심지어 프로젝트를 포기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습니다.

 

7) 품질관리팀의 결정.

- 퀄컴은 PMIC의 강제 번들링으로 인해 비효율성과 PCB 비용 상승, OEM이 자체 솔루션 구현을 방해함으로써 정당한 고객 불만에 직면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 상황을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인 x86 솔루션에 비해 경쟁력 있는 가격 범위 내에서 실행 가능한 시장 지원 장치를 보장하기 위해 퀄컴은 재정적 접근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 그들은 의무적인 PMIC와 관련된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OEM에 자금을 제공하여 본질적으로 부과된 재정적 부담을 보상했습니다.

- 놀랍게도 퀄컴이 이러한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제공한 자금이 PMIC의 실제 비용을 초과하여 퀄컴의 순손실을 초래했습니다.

- 이 전술은 윤리적, 법적 우려를 불러일으키며, 번들 품목의 비용을 훨씬 능가하는 금전적 인센티브를 통한 조작 가능성을 시사하며, 곤경을 해결하기 위한 모호한 접근 방식을 반영합니다.

 

8) 점점 비싸지는 비용

- 퀄컴은 코어와 언코어의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간주됨에도 불구하고 Oryon 칩을 반복적으로 다시 재설계 및 시험생산을 해 왔습니다.(리스핀)

- 최첨단 TSMC 노드의 경우 천만 달러가 넘는 상당한 비용이 드는 이러한 리스핀은 특히 PMIC와 관련된 플랫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 해결되고 있는 구체적인 문제와 리스핀의 효과는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반도체 산업에서 문제 해결의 지연이 팹을 통해 웨이퍼를 이동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상당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 현재로서는 리스핀의 정확한 근본 원인이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9) 그래서 이제 우린 뭘 가지고 있을까요?

- 정리하자면, 작금의 오라이온 SoC와 관련한 일련의 사태들은 어리석은 판단과 기업의 탐욕이 결합되어 혼란스러운 상황을 보여줍니다.

- 이는 업계에서 비일비재한 사건은 아니지만, 결함 있는 접근 방식을 고집한 대표적인 사례로 눈에 띕니다. 책임자에 대한 책임이 없다는 것은 당황스러운 일입니다.

- 기술적 측면에는 부적합하고 값비싼 PMIC를 강제로 묶어서 여러 PMIC를 병렬로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고가의 HDI PCB를 필요로 하여 장치의 비효율성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습니다.

- OEM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퀄컴이 거부하고 그에 따른 보상 시도로 인해 재정적 손실이 더욱 가중될 뿐입니다.

- 이 상황은 건전한 기술적 결정보다 단기적인 이익을 우선시하여 제품의 실제 효율성과 성능에 대한 의구심을 남기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이러한 자해 문제의 결과는 제품과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5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1등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2023.09.27. 08:07

그러니까.... 퀄컴 고위 경영진이 X불을 찼다...이렇게 해석하면 될까요?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님께
2023.09.27. 08:10

네, 그렇게 해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노래로 치면 <Lazenca, Save Us>에서 그 유명한 가사 첫 소절을 떠올리면 될 듯한...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맛치킨
2등 딸기맛치킨
2023.09.27. 08:27

이러면 2024년 독점권 끝나고 + 엑시노스 2400부터 정상화 된다는 가정하에
10코어 + RDNA기반의 GPU 생각하면 의외로 팔릴지도 모르겠네요?

[딸기맛치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3등 RuBisCO
2023.09.27. 10:30

빈카운터 종자들이 정작 빈카운팅조차 제대로 못하고 헛짓을 하고 있었군요. 이정도면 무능을 넘어 산업스파이인데 깔끔하게 다 정리해고해야 하는게 아닌지...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nt323
Ent323
2023.09.27. 14:22

PMIC 인터페이스 기껏해야 I2C나 SWIRE인데 퀄컴 변영이 구차하네요ㅋㅋㅋㅋ

[Ent323]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47 13
핫글 미니 [디시+유니버스] 폴드 6 후면 유출 [19] updatefile 늅늅 13:33 1111 16
핫글 미니 Real Fold6 and Fold5 comparison [13] updatefile iceuniverse 17:36 486 10
핫글 미니 엑시노스에는 그래도 낭만이 있네요 [21] updatefile 212212 18:23 518 9
200582 미니 iOS 기본 배경보다 맥OS 기본 배경이 이쁘네요 [5] file Kanata 21.06.13 1395 1
200581 미니 버즈프로 3일차 쓰면서 아무말 끄적 [11] file 펄럭펄럭 21.04.01 1395 5
200580 미니 수월우 스타필드 간단 소감... [11] file Niflheimr 21.03.13 1395 2
200579 미니 Ryzen 5 4650U Geekbench 5 [7] file 오꾸리 21.03.09 1395 0
200578 미니 언케 S21 발열 테스트 [31] Thomasp5675 21.02.06 1395 8
200577 미니 "내가 누구?" [39] file 보거 21.01.22 1395 29
200576 미니 컴퓨터 관련 여쭤봅니다ㅜ [7] file 지대공지름미사일 20.04.25 1395 0
200575 미니 한국인 최초(?) 아이폰 SE 후기 나왔습니다 [17] Tac 20.04.24 1395 1
200574 미니 오늘자 잇섭 근황 (Feat.갤20) [11] 포테갈리니언 20.03.03 1395 1
200573 미니 갤럭시탭 S7에서는 120Hz 적용할까요? [6] EricCartman 20.02.13 1395 0
200572 미니 놀랍게도 카카오톡은 올해.. [10] file Memeko 20.01.26 1395 0
200571 미니 힝힝 링케 PD충전기 사기당함유 ㅠㅜ [19] file 오토카모 19.10.26 1395 0
200570 미니 타오바오 나스에 대해 아십니까? [20] 김태리 19.09.01 1395 0
200569 미니 잡담: 엑시노스 2400의 대략적인 모습이 공식 공개되었습니다. [7] Section31 23.10.06 1394 1
200568 미니 공정 문제도 설계 문제도 아닌게 멍멍이 소리인 이유 [6] 갠냑시 23.09.30 1394 27
200567 미니 삼성-맥스봉 조합 [13] file fin 23.08.05 1394 16
200566 미니 윈도우11의 새로운 위젯.jpg [1] 스퀴니 23.06.01 1394 3
200565 미니 sf4x 성능 향상 기준은 sf4p인거 같네요 [6] Antares 23.05.29 1394 2
200564 미니 파운드리 요지경 된건 사실... [10] 흡혈귀왕 23.05.05 1394 9
200563 미니 생각해보니 A90은 왜 그렇게 고사양으로 출시한걸까요? [34] propeller 23.04.02 1394 1
200562 미니 5년 넘게 개발만 하고 있는 이야기 [7] 마키세크리스 23.03.27 1394 5
200561 미니 삼성은 양심이 있으면 s23 예구때 [12] 크나앙 22.11.17 1394 13
200560 미니 S23은 역대급일까요? 이재용 회장 취임 후 첫 스맛폰이니..최고의 작품으로.. [15] 완벽한무선충전 22.11.01 1394 3
200559 미니 set edit으로 60hz 가변주사율이 가능하네요 [5] file 두유 22.09.03 1394 0
200558 미니 애플지도가 업데이트 중이라는 얘기가 있네요 [5] file 릅갈통 22.07.05 1394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