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근데 D9300이 8G3보다 싸다면 이건 짚고 넘어갈 문제긴합니다.

대체 얼마나 패악질을하면

 

158mm2 칩보다

130mm2 초중반대 칩이 더 비싼게되는지;;;

 

암만 성능, 안정성, 호환성 검증 다 떠나서

사실 이쪽 업계에서 부품 단가 가격 테이블 자체는 이미 정해져있는게 있고 실무자들은 실제 그게 어느정도가 적정선인지 다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S25U 타겟

200MP 센서를 S.LSI가 말도안되는 가격으로 불러서

 

MX가 "안써 ㅅㅂ"를 시전했던것도 있구요...ㅡㅡ;;

 

 

SoC 밸런스나 완성도를 떠나서

어쨋거나 경쟁사 대비 CPU랑 GPU 더 좋고

다이도 20% 더 큰데 싸다???

 

 

이건 퀄콤이 애초에 말도안되는 가격으로 책정했단 소리겠죠..

 

그래서 MX도 티어를 구분해서라도 엑시노스2400을

투입한것일테구요...

 

 

뭐...꼬우면 쓰지말던가를 시전하면 할말없긴한데...

(??: 야이..ㅋㅋㅋ 그래서 스냅안쓸거야??)

 

 

폰 제조사들이 자체칩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괜히있는게 아니겠죠..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11
오스트리아산캥거루
1등 오스트리아산캥거루
2023.11.14. 19:00

여기 100mm2 삼파 쓸때만 해도 애플 M시리즈보다 많이 비쌌다 하니 뭐...

물론 스냅은 판매가고 애플은 생산단가니 이걸 고려해봐야 할 듯 하지만

그거 고려해도 과하게 비싸다는건 유구한 퀄컴의 그지같은 가격정책이 전혀

바뀐게 없고 오히려 강화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는지라 9300으로 하여금

미디어텍의 마진이 적을지언정 가격경쟁력이 없다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미디어텍이 딱히 플래그쉽으로 돈 번 회사도 아닌지라 자기들도

얼굴마담 정도로 생각하는듯 합니다

[오스트리아산캥거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2등 우주안녕
2023.11.14. 19:02

가격이야...결국 파워게임이고 수요와 공급의 줄다리기니 원가 논쟁은 의미없다고 봅니다.

아이폰 원가가 중공산보다 비싸서 가격이 비싼게 아니듯...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우주안녕 님께
2023.11.14. 19:08

사실 그건 애플이라서 가능한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best 3등 Daylight
2023.11.14. 19:48

그러니까요... 이 건과 관련해서는 퀄컴이 까여야하는 게 맞는데 이상하게 미디어텍만 '과하게 싸게 팔아서 자사의 미래를 갉아먹는 기업'으로 비판받고 있는게 참 아이러니해요.

 

미디어텍이 바보도 아니고, 최소한 손해보는 장사를 하고 있진 않겠죠. 그렇다면 그 큰 다이를 가지고도 8Gen3랑 동일한 가격에 팔아도 이윤이 남는다는 건데, 그렇다면 다이 사이즈 한참 작은 8Gen3은 어마어마하게 남겨먹고 있는다는 거겠죠.

 

전 이 이유 하나만으로도 퀄컴의 경쟁자가 되어줄 미디어텍의 시도를 응원합니다. 특정 기업이 시장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는 것만큼 소비자에게 불행한 일은 없으니까요.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ropeller
propeller Daylight 님께
2023.11.14. 21:12

미디어텍이나 디멘시티 9300 자체가 비판을 받는다기보단, 과연 장기적으로 미디어텍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냐에 대한 의문이 나오는거고, 이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네요.

예시로 8 Gen 1시절에도 TSMC 공정을 써서 미디어텍이 반짝 이겼었지만, 1년도 안되어서 바로 뒤집혔으니까요.

결국 더 좋은 공정, 더 넓은 다이사이즈 같이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시도로 우위를 가지는건 일시적인거죠.

 

그리고 AP 가격은 다이사이즈가 중요하긴 하지만, 다이사이즈가 다는 아니기에 퀄컴을 마냥 욕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모뎀 기술력도 있고, ARM 말리를 받아쓰는 미디어텍이나 AMD와 협력하는 LSI와 다르게 그래픽에서도 아드레노로 완전히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니까요.

단순히 받아쓰거나 세미커스텀 정도만 하는 타사와는 다를 수밖에 없죠.

[propell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aylight
Daylight propeller 님께
2023.11.14. 21:41

누군가는 미디어텍의 시도를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지만, 저는 좀 다르게 봅니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하지 않았던 것을 시도하는 데에는 용기가 필요하니까요. 그리고 변화는 그 지점에서부터 나온다고 봅니다.

 

언더독이 1위에게 조금이라도 위협을 가하려면, 누구나 할 수 있지만 하지 않았던 것을 먼저 나서서 시도하는 것이 당연한 순리입니다. 그 당연한 방법을 택했다는 것 자체만으로 디멘시티의 미래를 비관하기엔 이르다는 것이죠. 물론 낙관하는 것도 무리겠지요.

 

수년간 개인용 PC의 CPU 시장에서 압도적인 자리에 군림하며, 그 자신감으로 최상위 라인업 i7에 4코어만 주구장창 우리던 인텔은 시장의 언더독 AMD에게 8코어 라이젠이라는, 회심의 일격을 맞은 바 있습니다. AMD의 이러한 행보에 대중들은 환호했죠.

 

이 사례를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인텔이, 당시 8코어 CPU를 만들 능력이 없었을까요? 아닐 겁니다. 시장의 선두인 인텔 입장에서 굳이 그럴 필요가 없었을 뿐이겠죠.

 

이처럼 AMD는 언더독의 입장에서 인텔과 경쟁해보기 위해 '누구나 할 수 있는, 하지만 아무도 하지 않는' 코어 때려박기 전략을 과감히 선보였고, 그때의 AMD의 과감한 시도는 오늘날의 드높은 라이젠의 위상을 만들어 냈습니다. 경쟁사 누구든 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했다 해서, 그 미래가 무조건 어두운 것만은 아니라는 걸 보여주는 사례이죠.

 

전 디멘시티도 같은 맥락으로 봅니다. 트랜지스터 때려박기, 다이크기 늘리기 같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높은 성능을 달성했다고 해서, 그것이 미디어텍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볼 근거는 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미디어텍은 압도적인 1위와의 경쟁을 위해 당연한, 불가피한 방법을 택한 것이고, 그 선택으로 9300이라는 좋은 결과물이 등장했다는 것까지가 현 시점에서 할 수 있는 사실적인 평가겠지요.

 

그리고 모뎀과 GPU 관련해서도, 독자 개발을 위한 R&D 비용이 들어가는 퀄컴만큼은 아니겠지만 미디어텍도 말리를 가져다 쓰려면 ARM에 내야 하는 라이센스 비용도 상당할 겁니다. 모뎀 관련해서도 퀄컴이 기술우위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미디어텍 모뎀도 수준이 꽤나 높고, 자체 개발 모뎀이니만큼 이쪽도 R&D로 들어가는 비용이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퀄컴 대비해서 절감되는 비용이 유의미하게 크진 않을 것이라는 거죠. 그럼에도 이윤을 깎아내고 업계 1위랑 경쟁해보려는 미디어텍의 시도는 소비자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Day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3.11.14. 19:06

최근에도 누비아 PMIC 강매 관련해서 나오던거보면 ..뭐... X아치 본성있죠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urire
sourire
2023.11.14. 19:17

그거랑 더불어 탈 퀄컴의 움직임이

중국이 화웨이의 실 결과물에 만족해서

타 회사에 훙멍을 들이밀고 있단 말도 있더라고요

[sourir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열정너구리
2023.11.14. 19:56

칩 하나에 20만원 받아먹는 애들이 있으면 다이사이즈 키워서라도 이악물고 싸워야죠 뭐..

[열정너구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범퀴
2023.11.14. 20:48

아까도 그랬지만 뭐.. 마진을 모르니..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xclear
xclear
2023.11.15. 06:13

이걸보고 황회장은 참 ㅋㅋㅋ

[xcl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0 13
핫글 미니 [잡담] PC 들일 때 맥이냐 윈도우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28] 불심 24.06.01 949 11
핫글 미니 ios18 제어센터라는데 [18] file 오레오가좋아 24.06.01 1418 9
핫글 미니 갤럭시 문자 알림 아이콘 바뀌었네요. [3] file 바닐라라떼 24.06.01 868 5
203395 미니 앤커 보조배터리 100% 넘어도 충전되지 않나요? 인절미빙수 23.11.27 268 1
203394 미니 메인센서하나만달고 렌즈부착형으로가는건 [3] S24울트라존버 23.11.27 392 0
203393 미니 폴드5 플립5 베타유저 6.0 정식 나왔다네요 [4] file 펄럭펄럭 23.11.27 603 8
203392 미니 플립5 업데이트 [1] Riv.Side 23.11.27 118 1
203391 미니 페북앱 광고 극혐이네요 [1] [성공]함께크는성장 23.11.27 373 1
203390 미니 갤럭시는 기기 디자인보다도 [18] 서피스구글 23.11.27 1906 16
203389 미니 갤워치 스트랩 알리에서 사시나요? [7] [성공]함께크는성장 23.11.27 419 1
203388 미니 디멘시티 9300, 스로틀링 테스트에서 성능이 46%까지 떨어집니다 [5] file PatGelsinger 23.11.27 820 1
203387 미니 AMD RDNA 4 "라데온 RX 8000" GPU Navi 44 및 Navi 48 포착 file PatGelsinger 23.11.27 486 1
203386 미니 AMD Ryzen 8000G AM5 데스크탑 APU 사양 유출 [2] file PatGelsinger 23.11.27 570 2
203385 미니 S25 풀체인지 기념... 대륙 최신폰 후면 트렌드 따라잡기...jpg [16] file aleji 23.11.27 1725 10
203384 미니 S25울트라 풀체인지라면 후면디자인은과연? [2] S24울트라존버 23.11.27 994 0
203383 미니 S25에 진짜 디자인이 바뀌게 된다면 [3] [성공]함께크는성장 23.11.27 1141 4
203382 미니 Galaxy S25 series design changes [16] file iceuniverse 23.11.27 2080 14
203381 미니 굿노트 튕김현상 저만 있나요? 땃쥐나리 23.11.27 1038 0
203380 미니 삼성 인터넷 이런 오류 겪는분 계신가요? [12] file 구보 23.11.27 613 0
203379 미니 잡담: S25 시리즈의 코드네임은 뭐가 될 지...? [5] Section31 23.11.27 631 0
203378 미니 일반 갤럭시 s시리즈들 욕하지마세요 [13] file 품귀문란 23.11.27 1384 9
203377 미니 One UI 홈 업데이트도 "줘" [2] file 감비아도나츠 23.11.27 833 3
203376 미니 아이폰 128GB도 쓸만할까요? [18] IXAC 23.11.27 721 2
203375 미니 제조사에서 부품 제조할 때 일련번호를 [4] [성공]함께크는성장 23.11.27 588 2
203374 미니 밑에 아이폰 수리거부는 근거가 없지 않은 듯요 [21] file 미하엘무야허 23.11.27 1354 10
203373 미니 다이소에서 LED스트립도 파네요 ㅎㅎ [4] file 미붕붕드링크 23.11.27 2428 2
203372 미니 겨울철 워치는 역시 불편하군요 [10] 댕밤 23.11.27 578 1
203371 미니 앤커 보조배터리 도착했네요 [5] file 인절미빙수 23.11.27 592 3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