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Oxc.suga

미니 연산 장치의 열 효율이 맞는 표현인가?

  • Oxc.suga
  • 조회 수 833
  • 2023.11.21. 15:27

아까 전 밑 글의 CPU/GPU의 열 효율이 100%인가? 하는 내용을 댓글로 적으려다 음... 댓글 창이 터질 것 같아서 정리할 겸 적어보려고 합니다.

 

열 효율의 정의는 열기관에서 사용되는 투입되는 에너지 대비 산출되는 유효한 에너지의 비율입니다.

요컨대, PC 쿨러(공냉식의 히트스프레더에 공기를 투과시키는 상대적으로 패시브한 쿨링/액상형의 냉각제를 라디에이터를 통하여 열교환하는 액티브한 쿨링 시스템을 통칭)는 열을 분산시키고, 외부의 광활한 저온부로 열에너지를 발산하는 기구이죠. 

여기서는 유효한 열효율을 계산하기가 편리합니다. 왜냐하면,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고, 수냉이라고 불리는 비교적 액티브한 열기관은 에어컨과 원리가 거의 비슷하거든요... 출력이 낮아서 냉매 종류가 다르고, 그에 따라 커다란 컴프레셔 등이 생략된 걸 제외하면 말이죠.

 

반도체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산출되는 에너지가 최종적으로는 정보의 형태를 띄고 있는지라, 에너지 변화가 미미하거든요. 

반도체 내부에서도 전자의 이동과 그에 따른 반도체 자체의 저항에 따른 열에너지 발생이 거의 10할에 달할겁니다. 다른 건 오차 범위 내에서 무시해도 될 정도죠. 

그리고, 반도체 내부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데 드는 에너지(그러니까, 저항)도 실제 정보 처리(및 연산) 보다는 정보의 전달과정, 그러니까 메모리 계층간 이동에서 극도로 많은(기억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과반을 크게 넘을겁니다.)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그래서 광통신을 정보 전달에 이용하는 실리콘 포토닉스도 최근 랩 수준에서의 연구가 활발합니다.

현재 사용되는 광통신은 광섬유를 통한 FTTx가 대표적이죠. 기존 구리선, 전자를 통한 전송보다 효율이 압도적입니다. 더 빠르고, 신호 감쇠율도 훨씬 적죠. 이걸 실리콘 웨이퍼 상에서 구현한다면, 기존 정보 전달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겁니다-라는게 실리콘 포토닉스가 갖는 이념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 : https://news.skhynix.co.kr/post/dgist-series-5)

광학 분야 이스트 대학 중 최고로 평가받는 디지스트와의 연구 블로그?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보가 왜 에너지 변화가 적냐고 묻는다면, 가장 기초적인 차원의 물리량이기 때문이라고 저는 이해했습니다.

정보는 구조적인 데이터입니다. 전 우주가 통용하는 물리법칙들의 결합으로 만물을 설명하는데, 그 결합이 정보입니다.(매우매우 축약된 설명이므로,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에게는 오개념...이라는 소리를 들을만 합니다. 죄송합니다... 표현력의 한계ㅜㅜ)

그러므로, 무엇보다 효율적이고, 현재 기술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댓글
12
Oxc.suga
글쓴이
best 1등 Oxc.suga
2023.11.21. 15:29

아, 결론이 없네요.

저는 연산장치의 경우, 열효율 보다는 에너지 효율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연산 장치가 내놓는 에너지는 열 보다는 정보에 가까운 형태의 에너지니까,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명하는 게 맞겠죠.

에너지 효율도 똑같습니다. 전체 소모한 에너지 대 유효한 에너지의 비율이죠.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omjunsik
best 2등 Eomjunsik
2023.11.21. 15:34

정말정말 많이 축약하면..

CPU=전기난로죠..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글쓴이
Oxc.suga Eomjunsik 님께
2023.11.21. 15:36

ㅋㅋㅋㅋㅋㅋㅋㅋ 맞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CPU 자체는 빛이 나지 않으니 온열 방석이 맞을지도?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World
3등 aWorld
2023.11.21. 15:38

같은 일을 하는데 얼마나 에너지를 소모하느냐가 효율이겠죠

요즘은 SW 안 들어가는 장치가 없으니 SW 최적화도 효율을 좌우하겠고요

[aWorl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글쓴이
Oxc.suga aWorld 님께
2023.11.21. 16:01

확실히... 렌더링 분야에서 CUDA가 사용되는 게 효율성이 압도적이고, 그것에 앞서 사용성이 월등히 좋은 것이 한 몫 했겠죠. 

+ 들쭉날쭉한 실제 사용환경을 획일화된 같은 일로 만든 것이 벤치마크고, 그 과정에 사용되는 시간/에너지가 적을수록 효율이 좋다는 그것이 효율을 비교하는 대중화된 척도이긴 하지만, 일단은 본 글에서는 효율의 정의를 차용했습니다. 뭐 같은 말이지만요.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2023.11.21. 15:40

목적이 뭐냐에 따라 효율 표현이 달라지는거지요.

전자부품을 원래 기능 관점으로 보면 성능효율, 에너지 효율인거고

온열기구 관점으로 보면 열효율인거고.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글쓴이
Oxc.suga 무한개껌디스펜서 님께
2023.11.21. 16:02

삼성 8nm의 힘...!

하지만 성능은 좋았죠?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맞는말만함
맞는말만함
2023.11.21. 17:38

https://meeco.kr/mini/37677370

 

제가 예전에 상상했던글인데..

결론은 정보의 에너지가 매우작아서 열로전환되는게 대부분이다. 이렇게 받아들이면될까요?

[맞는말만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글쓴이
Oxc.suga 맞는말만함 님께
2023.11.21. 22:20

네. 제가 이해한 것과 정확히 같습니다. 천문학적인 비트 수가 저장되더라도 그것에 대한 에너지 준위는 "비교적" 열에너지에 비해 미미할 것이라는 것과도 같습니다.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3.11.21. 18:13

열 효율이 좋다 한들

원하는 만큼 열을 계속 내려면, CPU랑 GPU에 계속적인 로드를 걸어줘야 하는데

그 로드를 거는게 결국 벤치마크류나.. 그런거일 텐데

그게 과연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처인가.. 하는 문제가 있긴 하죠

게임을 해서는 로드율이 왔다갔다 하고, 그러면 온열기 만큼의 열이 잘 나오지는 못하겠죠 ㅎㅎ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TE
LTE 나르자 님께
2023.11.21. 18:39

그렇네여 14900k전기많이 먹는다고 하지만 벤치돌릴때 그런거고 실사용시 100w정도 같더라고요

[L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84 13
핫글 미니 갤럭시 무충 솔직히 쓸모없습니다. [21] update 윤이 24.06.02 1158 9
핫글 미니 엘라이 X 엠바고 풀렸나봐요 [13] file Alternative 24.06.02 1095 7
핫글 미니 잡담: M2 아이패드 에어 모델, GPU 1코어 죽인 컷칩 구성 [15] Section31 24.06.02 926 6
203682 미니 이왕 이리된거 S24FE로 가면 좋겠네요 [3] 흡혈귀왕 23.12.01 487 3
203681 미니 노멀 8기가 루머가 나온 이유가 [4] 오스트리아산캥거루 23.12.01 794 2
203680 미니 앞으로도 엑시 성능 안좋으면 까야겠습니다 [2] 달에서사탕만드는토끼 23.12.01 648 7
203679 미니 S24 국내 엑시 미탑제면 FE에 들어가면 딱 맞겠네요 [5] Chrop 23.12.01 637 4
203678 미니 뭐 근데 사실 루머는 결국 루머입니다 [6] [성공]함께크는성장 23.12.01 663 0
203677 미니 뭐 이례적으로 나가리되었던 사례가 없던건 아니죠 [14] 흡혈귀왕 23.12.01 1171 8
203676 미니 s24 스펙 어디 한번 골라보실래요? [9] 적당히하자 23.12.01 618 0
203675 미니 s23 fe 캠스 가격 보니 인헤리턴스 23.12.01 355 0
203674 미니 13프로 리퍼받고 왔습니다 [4] file IXAC 23.12.01 503 4
203673 미니 아드레노가 걍 애플 GPU 대비 면적당 성능이 우월한거죠.. [4] 흡혈귀왕 23.12.01 703 3
203672 미니 24시리즈 램 이런식으로 행복회로 가능할까요?? [6] maMeong 23.12.01 550 0
203671 미니 삼성이 램에 힘주던 시절이 그립군요.. [7] ktky12 23.12.01 635 1
203670 미니 모토로라가 그래도 보안패치는 무난하게 해주네요 file 스퀴니 23.12.01 170 0
203669 미니 아드레노 gpu의 면적 대비 성능은 애플과 비교해서 어떤 편인가요? [5] 1q2w3e4r! 23.12.01 534 0
203668 미니 엘지는 그램 ODM 맡긴게 [9] [성공]함께크는성장 23.12.01 1233 2
203667 미니 삼성은 왜 최고의 고객을 대우를 안하죠? [2] file HQteam 23.12.01 1105 14
203666 미니 LG전자, 그램시리즈를 전부 ODM 방식으로 개편 [6] file Eako 23.12.01 1164 3
203665 미니 갤24는 가히 충격적이네요 [15] file GalaxyZFold5 23.12.01 1835 8
203664 미니 S24 시리즈는 약간 과도기 느낌이긴하네여 [9] 흡혈귀왕 23.12.01 969 2
203663 미니 이렇게 된거 S24 노멀 플러스가 살아날 길은 [9] 오스트리아산캥거루 23.12.01 751 0
203662 미니 궁금한건데 FE모델은 왜있는건가요? [13] 북극곰플 23.12.01 609 6
203661 미니 램을 라인업별로 티어구분할거였으면..; [13] 흡혈귀왕 23.12.01 705 8
203660 미니 갤럭시 필요시 자동 다시 시작 잘되나요? [6] file SOCOM 23.12.01 440 0
203659 미니 폴드4 오우너 인사드립니다 [1] Closers 23.12.01 319 2
203658 미니 화면주사율과 램 비교는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8] choijm0715 23.12.01 537 6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