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Section31

미니 잡담: 혼파망의 중국 바이두 퀄컴판(카페)

https://tieba.baidu.com/p/8946667647

https://tieba.baidu.com/p/8946285105

 

제목 : "이건 전혀 상상 못 했는데."

본문 : "Cortex-X4를 이 정도 레벨로 줄일 수 있다. 주요 동맥이 잘린 것과 같다."

 

댓글1 : "스냅드래곤 8s Gen 3 저거 삼성에서 만든 거 아니냐?"

ㄴ답글1 : "ㄴㄴ 저거 TSMC N4P 공정임"

ㄴ답글2 : "그것은 내가 볼 때 아직도 믿기가 어렵다. 어떻게 같은 공정, 같은 아키텍처인데 스냅드래곤 8 Gen 3는 전성비에 문제가 없는 건가?"

ㄴ답글3 : "대댓에 사진 몇 장 올리겠음"

 

댓글2 : (8s Gen 3와 8 Gen 3 비교표.)

 

댓글3 : "저게 N4P일 수 있다고? 너무 추상적인데."

 

댓글4 : "저 8s Gen 3에 쓰인 Cortex-A720이랑 디멘시티 9300의 Cortex-A720이랑 같은 거임?"

ㄴ답글1 : "캐시는 2배 정도로 큼. 그래서 9300의 A720이 더 효율적임."

ㄴ답글2 : "모르겠는데. 근데 8s Gen 3가 조금 더 김. 결국은 여전히 A720이니까. L2 크기는 256KB로 같음."

 

댓글5 : "에너지 효율성 좋은데. 8 Gen 2 빅코어는 말할 것도 없고, 8+ Gen 1 빅코어도 저거 못 이길 듯. 8+ Gen 1 빅코어가 51.75점/3.74W = 13.836점, 8 Gen 2는 58.56/3.88W = 15.09점. 53.38/4.8 = 11.72 이건 8s Gen 3. 결국 나머지 A720 코어 4개에 좌우되겠네."

↑ 반어법으로 추정됩니다.

 

댓글6 : "그냥 스냅드래곤 8 Gen 2를 사."

 

댓글7 : "캐시 쳐내서 실패한 거를 봐봐."

 

댓글8 : "마지막**은 영어로 뭘 말하는 걸까? 여전히 삼성이 조금 더 뒤처지긴 하는데, 그래도 8s Gen 3는 이길 수 있다는 건가..."

** 엑시노스 2400의 Cortex-X4를 라이트 모드로 돌렸을 때 측정된 SPECINT2006 성능 및 소비전력

 

댓글9 : "7+ Gen 3의 IPC는 정상인데, 퀄컴이 너무 똑똑해서 디멘시티 1200과 같은 3.05 GHz로 클럭을 세팅한 탓."

ㄴ답글1 : "중성화된(...) X4는 미디어텍의 (미들코어로 배치된) X4m만큼 성능이 좋은 건 아님."

ㄴ답글2 : "저 X4와 저 X4의 차이점은 캐시야."

ㄴ답글3 : "그거 아냐? 미디어텍 (디멘시티 9300) 칩 미들코어 X4m이 캐시 더 적다는 거? 그게 L2 512KB밖에 안 되는데 퀄컴의 L2 1MB짜리 X4보다 더 성능이 좋잖아."

ㄴ답글4 : "퀄컴 이번 세대는 미디어텍을 못 이기네."

ㄴ답글5 : "실행유닛이 다 다름. 미디어텍의 Cortex-X4m은 SIMD 실행유닛 반토막낸 거임."

 

댓글10 : "3 GHz 클럭 Cortex-X4가 삼성제 2.78 GHz Cortex-X4를 못 이긴다고??? 내가 말하지 않았다면 스냅드래곤 8s Gen 3가 삼성에서 만든 건 줄 알았을 거야."

ㄴ답글1 : "저 캐시는 디멘시티 1200과 동일 3.05 GHz 클럭을 지원하진 않아." <- 이건 뭘 말하는 걸까요?

 

댓글11 : "L3 캐시 4MB가 대동맥을 잘라버렸나? 이건 미디어텍의 Cortex-X4m (2.85 GHz)보다 더 성능이 나쁘잖아. 어이가 없네. ARM이 Cortex-X4m만 단독으로 쓸 수 없다고 말하지 않았다면 난 퀄컴의 X4m이 진짜 X4m이라고 생각했을 거야. 그나저나 디멘시티 9300은 정말 강하네. 8s Gen 3의 빅코어보다 9300의 미들코어가 더 좋음."

 

댓글12 : "스냅드래곤 8 Gen 2만큼 좋진 않아. 나는 캐시를 쳐내면 TSMC가 순전히 삼성 수준으로 떨어질 거라고 전혀 생각 못했어."

ㄴ답글1 : "야, 저건 삼성 수준도 아냐...."

 

댓글13 : "그래서 스냅드래곤 8s Gen 3는 가성비가 없나요?"

ㄴ답글1 : "물론 그렇긴 하지만 퀄컴 입장에서는 가성비가 매우 좋은 제품입니다. 생산 원가도 스냅드래곤 8 Gen 2에 비해 많이 낮습니다. 그냥 같은 가격에 파는건 돈낭비 아닌가요?"

ㄴ답글2 : "퀄컴의 저 칩의 생산 원가는 스냅드래곤 8 Gen 2 대비 40% 정도 저렴한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주로 수억 달러에 달하는 추가 설계 테이프아웃 비용에 따른 것으로, 추후 판매량이 증가할 경우 해당 비용은 즉시 상각될 예정입니다."

 

댓글14 : "이 캐시 크기가 3G를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임."

 

댓글15 : "2억을 추가로 저기에 지출하는 건 강제 오버클럭 낭비하는 거잖아."

 

댓글16 : "저거 환관(...)으로 된 거와 같음."

 

댓글17 : "실제로 퀄컴은 7+ Gen 3만 출시했는데..."**

** 역주 : 스냅드래곤 8s Gen 3의 공식 발표는 이미 되었습니다.

 

댓글18 : "L3 DSU의 ARM 레퍼런스 버전은 고클럭 구간에서 성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음. 3GHz 클럭에 L3 캐시 4MB에서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정상임. 당시 미디어텍 디멘시티 1200에서도 마찬가지였으니까."

Section31
[Mobile]
Galaxy Note9 512GB
- 이후 플랜: UNKNOWN

[Tablet]
Galaxy Tab S6 Lite
- 이후 플랜: iPad Air 6? 또는 mini 7?

[Laptop]
Dell XPS 13 9370 (이전) → (Galaxy Book3 (with ARC))
→ MacBook Air 15 M2 (2023년식)
댓글
8
RuBisCO
1등 RuBisCO
2024.03.22. 23:45

D9300의 미들코어 X4들이 SIMD 유닛을 절반으로 쳐냈다는 이야기는 금시초문이군요. 만약 그랬으면 IPC가 초떡락을 했어야 정상인데 그런 기미는 없던데요.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ection31
글쓴이
Section31 RuBisCO 님께
2024.03.22. 23:57

아난드텍 포럼에서 이 글이 있습니다.

"더 작은 X4에는 하나의 거대한 X4처럼 1MB가 아닌 512kb의 L2가 있습니다. Arm은 하나의 거대한 X4가 있는 한 이를 허용합니다. 둘째, 태그(m)가 붙은 작은 X4에는 일반 X4의 4x128B 대신 2x128B 벡터/SIMD 유닛이 있습니다. Arm의 또 다른 새로운 기능입니다."

결국 Cortex-X4m에서는 SIMD 유닛 절반을 쳐냈다는 뜻이 됩니다.

 

https://forums.anandtech.com/threads/qualcomm-snapdragon-thread.2616013/page-6

[Section3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emi
demi Section31 님께
2024.03.23. 01:04

D9300의 다이사이즈가 작은 이유가 간단히 설명되네요.

X4m이 너무 잘 나온 셈이네요.

[dem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Section31 님께
2024.03.23. 01:48

FxRQxDZXoAEqHCd.jpg

 

찾아보니 Cortex-X4가 고성능 구성 - 저성능 구성이 나뉘어 있고, 클러스터 내에 최소 1개의 고성능 구성의 코어를 갖고 있다는 전제 아래에서 저성능 구성의 코어의 사용이 허가되어있군요. 다만 필요하다면 그런 구성이 가능은 하다는 것이지 미디어텍에서 공식적으로 내놓은 것이나 신뢰할 수 있는 다이 분석 자료가 없으니 그냥 그럴 가능성도 있다라는 정도로 넘겨야할듯 합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2등 gamma
2024.03.23. 01:16

캐시가 만악의 근원이자 만병통치약도 아니고 CPU 얘기만 나오면 캐시타령이네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gamma 님께
2024.03.23. 02:17

퀄컴이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만든 코어라해도 자체적으로 Kryo 딱지를 달고 팔 수 있는 라이센스임을 생각하면 아마 금지되어있는 저성능 구성의 단독채택 같은걸 실제로 하거나, 그에 준하는 너프를 먹은 X4 코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단순히 캐시 용량의 문제라기엔 캐시가 더 적은 D9300의 미들코어보다 클럭당 성능이 떨어져요.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설탕슈가
3등 설탕슈가
2024.03.23. 11:18

예전에 골든리트리버 벤치에서 삼성 5나노 엑시1280의 a78 전성비가 삼성 5나노 텐서g2의 a78보다 전성비가 딸리는걸 보고 원가절감을 하면 이 정도까지 전성비가 망하는구나 느낀 적이 있는데 퀄컴도 그럴까봐 무섭네요...

 

[설탕슈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60 13
핫글 미니 삼성 폴더블 AS는 명불허전이네요 [11] 새벽하늘 24.06.07 1264 22
핫글 미니 근데 폴드 슬림 존재 자체는 확인했는데 [53] 흡혈귀왕 24.06.07 964 10
핫글 미니 24년 1분기, 유럽 갤럭시 S 시리즈 전년 대비 58% 상승 [1] file AquStar 24.06.07 535 10
212419 미니 아이폰 XR 분해과정(iFixit) [3] file 기기덕후 18.10.27 534 1
212418 미니 5G폰 출시를 위해 열일하고 있는 OPPO file 기기덕후 18.10.27 92 0
212417 미니 애니메이션 속도 x0.5로 설정하니까 좋네여 [2] 기기덕후 18.10.27 132 0
212416 미니 제 폰 환경에서 엄청 깨우네요 [3] file 개코 18.10.27 162 0
212415 미니 S9 안드로이드 파이 구동 영상? [2] 브니엘 18.10.27 174 1
212414 미니 전 앱절전 용으로 그리니파이 씁니다. file BarryWhite 18.10.27 114 0
212413 미니 벤치마크 치팅 2탄 : 안투투와 샤오미의 복잡한 관계 [2] file 기기덕후 18.10.27 194 0
212412 미니 금일 갤S7으로 찍은 사진 [6] file BarryWhite 18.10.27 160 2
212411 미니 갤럭시 S10 유저 렌더링 2 [2] file 기기덕후 18.10.27 227 0
212410 미니 갤럭시 S10에 관련해서 기사가 나왔네요 [3] 기기덕후 18.10.27 195 0
212409 미니 S10+ 무게 가벼울까요? [1] GENERATION 18.10.27 161 1
212408 미니 고사장이 이탈리아 법원 판결에 항의하겠다고 하네요 기기덕후 18.10.27 73 0
212407 미니 iOS 12.1 유저 가이드 공개 file 기기덕후 18.10.27 149 0
212406 미니 화웨이 메이트20 아몰레드는 BOE + LGD 네요 file 기기덕후 18.10.27 117 0
212405 미니 아이폰XS, 아이폰XR 통신사 vs 애플스토어 가격 file 기기덕후 18.10.27 201 0
212404 미니 몽구스 아재의 갤S10 렌더링 [6] file 기기덕후 18.10.27 269 1
212403 미니 풀스크린 관련 삼성의 최근 특허 file 기기덕후 18.10.27 186 0
212402 미니 스냅8150(855) = 퀵차지 5.0 [2] file 기기덕후 18.10.27 264 1
212401 미니 중국이 서방국가 인터넷을 하이잭킹 해 왔네요 [1] file 기기덕후 18.10.28 160 1
212400 미니 픽셀1,2에서 활성화 된 야간모드 촬영 샘플 file 기기덕후 18.10.28 178 0
212399 미니 OPPO R15X 블루컬러 겁나 예쁘네여 ㄷㄷ file 기기덕후 18.10.28 132 0
212398 미니 아이폰XR 낙하테스트, 스크래치 테스트 모음 기기덕후 18.10.28 207 0
212397 미니 갤럭시 워치 리뷰 file 기기덕후 18.10.28 882 1
212396 미니 원플러스 6T 홍보 포스터 file 기기덕후 18.10.28 107 0
212395 미니 아수스 ZENFONE 6 프로토 타입 유출 [1] file 기기덕후 18.10.28 130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