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BarryWhite

소식 서울시에 4급 '제로페이담당관' 4월 신설

서울시는 4급 서기관 직위로 '제로페이담당관'을 4월 1일자로 신설키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제로페이담당관은 제로페이 서비스 안정화와 공공분야 상시지원 체계 구축 업무를 맡게 된다.

BarryWhite
살짝 내려놓고 지박령 활동하겠습니다😆
프로필 속 고양이는 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미코 광고 후원 감사합니다.
댓글
28
간다르바
1등 간다르바
2020.01.18. 19:16

중국조차 정부에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지는 않는데.... 참...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19:21

결제 서비스가 뭐 나쁜 것도 아니고, 굳이 중국이랑 비교할 필요가 있을까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루딱이
루딱이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23

국가가 돈 써가면서 직접적으로 시장에 적극 개입하려고 하는 부분이 염려스럽기는 하네요 개인적으로 표면적으론 무료지만 결국 세금으로 다 내게 되는거 같아서.. 

[루딱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루딱이 님께
2020.01.18. 19:32

이 정도는 정부가 충분히 할 수 있는 사업같네요 저는.

게다가 혼자하는 것도 아니고 정부 주도 하에 다른 간편결제 사업자들(티머니, 페이코 등)과 은행들이 함께 하는 겁니다.

정부가 이걸 한다고 문제가 된다기 보다는, 제대로 활성화를 못시키는 게 문제라고 보여지네요.

 

활성화가 되고 가맹점만 많아지면, 사실상 삼성페이가 안되는 폰에서도 간편결제가 되는 거죠. 정부니까 다른 결제 사업자들을 쉽게 묶을 수도 있는 거고요. 문제는 사람들이 카드 대신 이걸 쓰게할 혜택이 그리 많지 않다는 거라서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루딱이
루딱이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32

제가 다른 사업자들과 은행이 같이 한다고 보는 이유는 옳그떠를 꺼내지 않고서는 설명 할 수 없어서 agree to disagree만 하기로 하겠습니다.. ㅎ

[루딱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루딱이 님께
2020.01.18. 19:49

뭐 강압적인 부분도 있었겠지만,

 

기존에 사용처가 제한되던 티머니, 페이코, 네이버페이 등을 생각하면 그들에게도 딱히 나쁜 선택은 아니었다고 생각됩니다.

 

은행은...(먼산)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33

전기 수도 가스같은 생활 필수재가 아닌이상 정부의 간섭이 있을이유가 있나요?

하물며 통신마저 민영화하고 스마트폰제조사,SNS,포탈회사등이 이미 투자 간편결제에 투자하고 있는데 굳이 세금을 투입할만한 이유가 없죠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19:42

굳이 할 필요 있느냐, 할 필요 없느냐는 개인의 시선차이지만요.

이게 잘못된 것인지 아닌지는 또 다른 문제죠.

 

제로페이는 처음 기획됐던 이유가 소상공인에게 카드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였고요. 이런 의도라면 충분히 참여 가능한 부분이라 생각되네요.

 

간편 결제 서비스는 기존에도 많이 있었지만, 이게 보급이 잘 안됐던 게 각각 규격도 다르고 형태도 달랐기 때문이죠. 개인적으로는 이런 기본적인 인프라 기준을 확립할 수 있다면, 그것도 공적자금이 투입되도 좋다고 보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50

1. 필요하냐 마냐는 시선차이지만 수백억을 투자했는데도 성과가 없으면 그건 세금낭비 탁상행정이라고 생각합니다.

 

2. 제로페이가 중앙정부가 기획한 만큼 소상공인을 위한 더 좋은 대책을 만들수 있죠 제로페이흥보+유지인력+결제플랫폼 구축비용으로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만큼 세제혜택을 주면된다고 생각합니다.

 

3. 간편결제서비스가 보급이 안된 이유는 그냥 울나라의 카드사용비율이 높아서 그렀습니다. 중국은 카드결제비중이 낮아서 보급이 빨랐던거죠, 전통시장이나 무허가장사 말고는 거의 모든가게에서 모든 카드사의 카드가 사용가능한데 굳이 간편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4.차라리 인프라기준을 만들고 싶으면 삼성 카카오 NHN 네이버 사장들 불러서 기준만들라고 하는게 더 빠르다고 생각합니다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19:56

1. 현재로써 실패한 행정인 건 맞지만, 제로페이 자체가 잘못됐느냐는 결과론 식 끼워맞추기 같습니다.

 

2.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제로페이가 보급되면,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세제혜택 보다 효율이 더 좋을 겁니다. 물론, 그건 제로페이의 성공에 달렸지만요.

 

3. 그런데도 우리는 간편 결제를 쓰고 있고, 앞으로는 더 많이 쓸 예정이죠. 삼성페이 같은 경우 카드 기반이라 보급이 빨랐던 거고, 미코만 봐도 삼성페이만 쓰는 게 아니라 추가 포인트 혜택을 받는 페이코까지 연동해서 쓰죠. 결국은 간편한 카드를 대체할 혜택이 있고 줄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입니다.

 

4. 그것도 나쁘지 않았겠지만, 정부 주도 이전에 서울시가 기획한 거라서 정부가 업체들에게 그런 얘길했어도 제로페이 비슷한 건 나왔을 것 같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20:15

1은 뭐 사람마다 생각이 다른거니간 패쓰하고

2는 저도 동의하는바입니다

그렇지만 3에대해 저의 생각은 다릅니다.

DBNVVP7W0AADD8y.jpg

522564c59bf61f8f0bd9bfd8615924d4f66f86dd.png

간편결제앱에서 혜택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건 얼마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냐죠 중국시장 92%를 과점하는 알리페이와 위팻페이는 각각 자국최대의 인터넷상거래회사와 자국최대의 SNS서비스회사입니다 접근성이 매우용이하죠

국내역시 포탈을 기반으로 쇼핑업체들을 중계하는 네이버와 70%의 스마트폰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 인터넷쇼핑몰 기반의11번가 sns기반의 카카오페이가 한국의 간편결제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삼성페이를 쓴다고 딱히 혜택을 주진않았지만 국내에서 2번째의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일본의 경우만봐도 소프트뱅크+라인이 합병을 한 이유중에 하나가 페이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혜택을 준다고 점유율이 오르면 소프트뱅크는 굳이 라인과 야후를 통합할 이유는 없습니다. 소프트뱅크의 현금동원력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어느정도의 양보를 한 이유은 LINE이 가지고 있는 접근편의성에서 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제로페이는 사용이 불편하죠 대기업에서 돈을 펑펑쓰능것도 아니고 어플을 다운안받아도 이미 구축된 플랫폼을 밀어부칠 수 있는것고 아니고 세제혜택이라는 당근을 줘봤자 편의성앞에서는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4. 그리고 굳이 정부주도하에 결제플랫폼을 묶을 이유가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불편한 서비스제공업자는 몰락할거고 편한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자는 살아남을 것입니다. 정부가 거기에 간섭할 이유는 없다고 생가가합니다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20:27

기본적으로 간편결제를 쓰는 이유는 간편하기 때문입니다. 온라인은 이전까지 상당히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만 결제가 가능했지만, 간편결제 이후 상당히 간단해졌죠. 그렇기 때문에 간편결제 보급이 쉬웠던 겁니다.

 

하지만 오프라인은 그렇지 않죠. 저는 오프라인 결제에 대한 부분을 말씀드린 겁니다. 제로페이 타깃도 마찬가지고요. 오프라인은 네이버페이가 아니라 삼성페이가 실제론 국내 시장을 꽉 쥐고 있습니다. 왜 일까요? 그건 실물 카드가 없어도 실물 카드를 쓰는 것과 같이 편하고 동일한 혜택을 받기 때문입니다.

 

간편성은 기본으로 깔고 간다는 뜻이죠.

 

지금 제로페이가 큐알코드를 쓰는데, 이 정도면 간편성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카드의 혜택을 대체할 수 있느냐라는 뜻이었습니다.

 

또 결제 플랫폼을 묶을 이유가 있는가... 물론 굳이 묶을 필요는 없습니다만. 하지만 제로페이가 소상공인을 위해 나온 거고, 보급을 생각한 만큼 각 기업체들과 협의해 기준을 하나로 둔다면. 가맹점들이 아무래도 적용하기 쉬워질 겁니다. 그렇다면 결국 오프라인 간편 결제를 쓰려는 소비자도 득을 보게 되죠. 그런 의미로 정부가 주도하더라도 좋다는 판단을 한 거고요.

 

실제로 오프라인에선 쓸 데 없던 네이버포인트, 제로페이 이후 쓸만해졌습니다.

 

아 참고로 제로페이는 결제 시스템에 가깝고, 플랫폼 별로 적용이 가능한 것입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20:34

오프라인결제 편의성은 제로페이보다 카페나 네이버가 더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카카오톡,네이버 어플을 꾹 눌르기만해도 결제창이 뜨는데 제로페이는 다운받고 가입을 해야되는것부터가 나가리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하나의 플랫폼을 묶으면 좋죠 하지만 통합이 되지 않으면 기존의 대기업인 네이버나 카카오는 싫죠 이미 플랫폼을 가진회사가 그런식으로 통합을 해버리면 그 플랫폼을 중소기업도 쓸 수가있는데 그럼 기존사업자는 죽쒀서 개준꼴이라고 생각할 수 있죠

네이버포인트가 쓸만해진건 일종의.메기효과같에용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20:39

네이버 페이나 카카오 페이 역시 처음부터 가입없이 쓸 수 있는 게 아니죠.

그리고 네이버 앱에 탑재된 네이버QR페이가 제로페이입니다.

즉, 네이버든 카카오든 NHN이든 각자의 결제 포인트 체계를 기반으로 제로페이 시스템만 탑재해서 쓸 수 있다는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20:49

네이버페이가 제로페이기반 인지는 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향후 국내페이시장은 네이버+카카오+NHN를 필두로한 QR결제와 MST+NFC를 기반으로한 스마트폰 제조사들간의 싸움이되겠네요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20:51

MST가 언제까지 지원될지 모르겠지만(IC로 바뀌어서요)

향후 유력한 건 QR 아니면 NFC긴 하죠.

문제는 NFC는 결제 단말이 필요하다는 거고, QR는 기존 포스로도 충분하다는 것 정도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2등 인헤리턴스
2020.01.18. 19:20

공무원들 강제로 쓰게하더니 이젠 아예 ㅋㅋ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3등 존버합니다
2020.01.18. 19:22

 혜택없는데 과연 누가 쓸지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존버합니다 님께
2020.01.18. 19:24

확실히 혜택이 부족해서 유인효과가 없더라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성공]함께크는성장 님께
2020.01.18. 20:29

사실 그렇죠. 소득공제 30% 혜택이라곤 하지만, 눈에 잘 안보이는 혜택보다는 당장 피부에 와닿는 뭔가가 필요해 보입니다. 근데 제가 봤을 때 이건 제로페이 자체에서 하기보다는, 네이버나 페이코 등이 각자 포인트 사용시 주는 혜택을 강화하면 될 것 같네요. 지금도 어느정도 하고 있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인더7CM
바인더7CM
2020.01.18. 19:58

제로페이로 해도 이거 세금 내야되서 똑같아요 하는분도 있더란...

[바인더7C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바인더7CM 님께
2020.01.18. 20:31

매출 8억 원까지 무료라서 그런 걸 수도 있습니다...규모가 큰 사업체는 세금을 내긴하는데 그것도 카드 수수료보다 훨씬 낮습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플라이트
인플라이트
2020.01.18. 20:58

제로페이야말로 탁상행정의 끝판왕 아닌가 싶네요 ㅋㅋㅋ

저걸 누개쓴다고...시작할때부터 몰랐던것도 아닐텐데...

[인플라이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인플라이트 님께
2020.01.18. 21:00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헤페바이쎄
헤페바이쎄
2020.01.18. 21:43

애초에 월급으로 한달 막고 사는 직장인 청년 세대가 대부분인 이 나라에서 계좌이체를 통한 제로페이가 먹힐까 부터가 의문입니다

[헤페바이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ingSeJong
KingSeJong
2020.01.19. 20:23

애초에 제로페이의 목적이 소상공인의 탈세를 막기위한 목적이 아닐까요. 오히려 세수증가가 목적이 아닌가 싶네요.

국가주도의 결제시스템 구축의 목적이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는데 소상공인이 오직 카드 수수료 때문에 현금결제를 원하는게 아닌건 우리 모두 알고있죠.

[KingSeJo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01
핫글 소식 코파일럿+ 실행 못하는 1세대 AI PC…얼리 어댑터를 기다린 함정 new 뉴스봇 10:15 1 149
18256 소식 코로나19로 생산차질 폭스콘, '조기 복귀하면 50만원' 신규유저 20.02.20 0 187
18255 소식 삼성전자, 글로벌 TV시장서 14년 연속 1위… "주력 QLED TV 선전" 신규유저 20.02.20 0 106
18254 소식 인텔 vs AMD, CPU 전쟁 '모바일 프로세서'로 2라운드 돌입 [1] 신규유저 20.02.20 0 171
18253 소식 D램 매출 감소세 둔화…1분기 'V자 반등' 여부에 촉각 file 신규유저 20.02.20 0 51
18252 소식 갤럭시S20서 지상파DMB 못본다…방통위,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예정 [3] 신규유저 20.02.20 0 349
18251 소식 MS, 워드·엑셀·PPT 통합한 스마트폰용 오피스 앱 출시 신규유저 20.02.20 0 244
18250 소식 이재용 부회장, 화성 극자외선 반도체 생산라인 점검 신규유저 20.02.20 0 83
18249 소식 애플과 다른 길 가는 삼성 노태문 스마트폰 신규유저 20.02.20 0 179
18248 소식 MWC 취소에 中 기업들 '수백억 부스비 속앓이' 신규유저 20.02.20 0 105
18247 소식 구글, AI로 AI칩 개발 시도..."사람보다 나아" 신규유저 20.02.20 0 94
18246 소식 카카오 대형승합택시 '벤티' 본격 확장…'기사회생' 타다에 도전(종합) 신규유저 20.02.20 0 104
18245 소식 [IF] 쓱~ 스치기만 해도 스마트폰 충전 신규유저 20.02.20 0 109
18244 소식 이통3사, 갤럭시S20 예판 돌입…지원금 최대 24만원 신규유저 20.02.20 0 76
18243 소식 SK하이닉스, 대구 확진자 밀접접촉자 포함 자가격리 800여명으로 대폭 확대 신규유저 20.02.20 0 51
18242 소식 갤럭시Z플립 ‘진짜 유리’라는데…논란 계속되는 까닭은 신규유저 20.02.20 0 163
18241 소식 쿠팡, 코로나19 전국 확산에 비상체제 돌입  뉴스봇 20.02.20 0 155
18240 소식 삼성디스플레이, 초박형유리로 접는 스마트폰도 스타일러스펜 열다 뉴스봇 20.02.20 0 134
18239 소식 갤럭시Z플립 톰브라운 에디션 내일 0시부터 온라인 판매 [1] 뉴스봇 20.02.20 0 269
18238 소식 코로나19에 얻어맞은 애플, 中 아이폰 생산기지 이전 [3] 뉴스봇 20.02.20 0 231
18237 소식 갤럭시S20, 120Hz 화면재생률 강제고정 옵션 추가되나 [2] 뉴스봇 20.02.20 0 433
18236 소식 4분기 DRAM 시장 규모 축소, 삼성과 SK하이닉스 점유율 절대적 뉴스봇 20.02.20 0 115
18235 소식 LG유플러스, 100G급 대용량 IPS 개발... 5G 보안 앞장 뉴스봇 20.02.20 0 141
18234 소식 인텔 코어 i7-10700F 성능 유출, AMD 라이젠 7 3700X급? 뉴스봇 20.02.20 0 348
18233 소식 갤럭시S20 사전 예약 시작...다음 달 6일 출시 file 뉴스봇 20.02.20 0 151
18232 소식 서피스 랩탑 3, 갑자기 화면이 깨지는 문제 발생해 조사 착수 뉴스봇 20.02.20 0 140
18231 소식 코로나 벌레먹은 '애플'…급기야 생산기지 이전 뉴스봇 20.02.20 0 152
18230 소식 안랩, 업무 메일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코드 주의 당부 뉴스봇 20.02.20 0 64
18229 소식 구글, 안드로이드11 개발자 프리뷰 버전 공개 뉴스봇 20.02.20 0 137
18228 소식 삼성전자, ‘갤럭시 S20’ 사전 판매 실시 프로 20.02.20 0 234
18227 소식 아이폰9 추정 제품 영상 등장...아이폰5S 디자인 [2] 뉴스봇 20.02.20 0 464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