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BarryWhite

소식 서울시에 4급 '제로페이담당관' 4월 신설

서울시는 4급 서기관 직위로 '제로페이담당관'을 4월 1일자로 신설키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제로페이담당관은 제로페이 서비스 안정화와 공공분야 상시지원 체계 구축 업무를 맡게 된다.

BarryWhite
살짝 내려놓고 지박령 활동하겠습니다😆
프로필 속 고양이는 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미코 광고 후원 감사합니다.
댓글
28
간다르바
1등 간다르바
2020.01.18. 19:16

중국조차 정부에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지는 않는데.... 참...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19:21

결제 서비스가 뭐 나쁜 것도 아니고, 굳이 중국이랑 비교할 필요가 있을까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루딱이
루딱이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23

국가가 돈 써가면서 직접적으로 시장에 적극 개입하려고 하는 부분이 염려스럽기는 하네요 개인적으로 표면적으론 무료지만 결국 세금으로 다 내게 되는거 같아서.. 

[루딱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루딱이 님께
2020.01.18. 19:32

이 정도는 정부가 충분히 할 수 있는 사업같네요 저는.

게다가 혼자하는 것도 아니고 정부 주도 하에 다른 간편결제 사업자들(티머니, 페이코 등)과 은행들이 함께 하는 겁니다.

정부가 이걸 한다고 문제가 된다기 보다는, 제대로 활성화를 못시키는 게 문제라고 보여지네요.

 

활성화가 되고 가맹점만 많아지면, 사실상 삼성페이가 안되는 폰에서도 간편결제가 되는 거죠. 정부니까 다른 결제 사업자들을 쉽게 묶을 수도 있는 거고요. 문제는 사람들이 카드 대신 이걸 쓰게할 혜택이 그리 많지 않다는 거라서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루딱이
루딱이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32

제가 다른 사업자들과 은행이 같이 한다고 보는 이유는 옳그떠를 꺼내지 않고서는 설명 할 수 없어서 agree to disagree만 하기로 하겠습니다.. ㅎ

[루딱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루딱이 님께
2020.01.18. 19:49

뭐 강압적인 부분도 있었겠지만,

 

기존에 사용처가 제한되던 티머니, 페이코, 네이버페이 등을 생각하면 그들에게도 딱히 나쁜 선택은 아니었다고 생각됩니다.

 

은행은...(먼산)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33

전기 수도 가스같은 생활 필수재가 아닌이상 정부의 간섭이 있을이유가 있나요?

하물며 통신마저 민영화하고 스마트폰제조사,SNS,포탈회사등이 이미 투자 간편결제에 투자하고 있는데 굳이 세금을 투입할만한 이유가 없죠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19:42

굳이 할 필요 있느냐, 할 필요 없느냐는 개인의 시선차이지만요.

이게 잘못된 것인지 아닌지는 또 다른 문제죠.

 

제로페이는 처음 기획됐던 이유가 소상공인에게 카드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였고요. 이런 의도라면 충분히 참여 가능한 부분이라 생각되네요.

 

간편 결제 서비스는 기존에도 많이 있었지만, 이게 보급이 잘 안됐던 게 각각 규격도 다르고 형태도 달랐기 때문이죠. 개인적으로는 이런 기본적인 인프라 기준을 확립할 수 있다면, 그것도 공적자금이 투입되도 좋다고 보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19:50

1. 필요하냐 마냐는 시선차이지만 수백억을 투자했는데도 성과가 없으면 그건 세금낭비 탁상행정이라고 생각합니다.

 

2. 제로페이가 중앙정부가 기획한 만큼 소상공인을 위한 더 좋은 대책을 만들수 있죠 제로페이흥보+유지인력+결제플랫폼 구축비용으로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만큼 세제혜택을 주면된다고 생각합니다.

 

3. 간편결제서비스가 보급이 안된 이유는 그냥 울나라의 카드사용비율이 높아서 그렀습니다. 중국은 카드결제비중이 낮아서 보급이 빨랐던거죠, 전통시장이나 무허가장사 말고는 거의 모든가게에서 모든 카드사의 카드가 사용가능한데 굳이 간편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4.차라리 인프라기준을 만들고 싶으면 삼성 카카오 NHN 네이버 사장들 불러서 기준만들라고 하는게 더 빠르다고 생각합니다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19:56

1. 현재로써 실패한 행정인 건 맞지만, 제로페이 자체가 잘못됐느냐는 결과론 식 끼워맞추기 같습니다.

 

2.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제로페이가 보급되면,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세제혜택 보다 효율이 더 좋을 겁니다. 물론, 그건 제로페이의 성공에 달렸지만요.

 

3. 그런데도 우리는 간편 결제를 쓰고 있고, 앞으로는 더 많이 쓸 예정이죠. 삼성페이 같은 경우 카드 기반이라 보급이 빨랐던 거고, 미코만 봐도 삼성페이만 쓰는 게 아니라 추가 포인트 혜택을 받는 페이코까지 연동해서 쓰죠. 결국은 간편한 카드를 대체할 혜택이 있고 줄 수 있느냐의 문제로 보입니다.

 

4. 그것도 나쁘지 않았겠지만, 정부 주도 이전에 서울시가 기획한 거라서 정부가 업체들에게 그런 얘길했어도 제로페이 비슷한 건 나왔을 것 같네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20:15

1은 뭐 사람마다 생각이 다른거니간 패쓰하고

2는 저도 동의하는바입니다

그렇지만 3에대해 저의 생각은 다릅니다.

DBNVVP7W0AADD8y.jpg

522564c59bf61f8f0bd9bfd8615924d4f66f86dd.png

간편결제앱에서 혜택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건 얼마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냐죠 중국시장 92%를 과점하는 알리페이와 위팻페이는 각각 자국최대의 인터넷상거래회사와 자국최대의 SNS서비스회사입니다 접근성이 매우용이하죠

국내역시 포탈을 기반으로 쇼핑업체들을 중계하는 네이버와 70%의 스마트폰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 인터넷쇼핑몰 기반의11번가 sns기반의 카카오페이가 한국의 간편결제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삼성페이를 쓴다고 딱히 혜택을 주진않았지만 국내에서 2번째의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일본의 경우만봐도 소프트뱅크+라인이 합병을 한 이유중에 하나가 페이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혜택을 준다고 점유율이 오르면 소프트뱅크는 굳이 라인과 야후를 통합할 이유는 없습니다. 소프트뱅크의 현금동원력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어느정도의 양보를 한 이유은 LINE이 가지고 있는 접근편의성에서 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제로페이는 사용이 불편하죠 대기업에서 돈을 펑펑쓰능것도 아니고 어플을 다운안받아도 이미 구축된 플랫폼을 밀어부칠 수 있는것고 아니고 세제혜택이라는 당근을 줘봤자 편의성앞에서는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4. 그리고 굳이 정부주도하에 결제플랫폼을 묶을 이유가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불편한 서비스제공업자는 몰락할거고 편한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자는 살아남을 것입니다. 정부가 거기에 간섭할 이유는 없다고 생가가합니다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20:27

기본적으로 간편결제를 쓰는 이유는 간편하기 때문입니다. 온라인은 이전까지 상당히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만 결제가 가능했지만, 간편결제 이후 상당히 간단해졌죠. 그렇기 때문에 간편결제 보급이 쉬웠던 겁니다.

 

하지만 오프라인은 그렇지 않죠. 저는 오프라인 결제에 대한 부분을 말씀드린 겁니다. 제로페이 타깃도 마찬가지고요. 오프라인은 네이버페이가 아니라 삼성페이가 실제론 국내 시장을 꽉 쥐고 있습니다. 왜 일까요? 그건 실물 카드가 없어도 실물 카드를 쓰는 것과 같이 편하고 동일한 혜택을 받기 때문입니다.

 

간편성은 기본으로 깔고 간다는 뜻이죠.

 

지금 제로페이가 큐알코드를 쓰는데, 이 정도면 간편성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카드의 혜택을 대체할 수 있느냐라는 뜻이었습니다.

 

또 결제 플랫폼을 묶을 이유가 있는가... 물론 굳이 묶을 필요는 없습니다만. 하지만 제로페이가 소상공인을 위해 나온 거고, 보급을 생각한 만큼 각 기업체들과 협의해 기준을 하나로 둔다면. 가맹점들이 아무래도 적용하기 쉬워질 겁니다. 그렇다면 결국 오프라인 간편 결제를 쓰려는 소비자도 득을 보게 되죠. 그런 의미로 정부가 주도하더라도 좋다는 판단을 한 거고요.

 

실제로 오프라인에선 쓸 데 없던 네이버포인트, 제로페이 이후 쓸만해졌습니다.

 

아 참고로 제로페이는 결제 시스템에 가깝고, 플랫폼 별로 적용이 가능한 것입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20:34

오프라인결제 편의성은 제로페이보다 카페나 네이버가 더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카카오톡,네이버 어플을 꾹 눌르기만해도 결제창이 뜨는데 제로페이는 다운받고 가입을 해야되는것부터가 나가리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하나의 플랫폼을 묶으면 좋죠 하지만 통합이 되지 않으면 기존의 대기업인 네이버나 카카오는 싫죠 이미 플랫폼을 가진회사가 그런식으로 통합을 해버리면 그 플랫폼을 중소기업도 쓸 수가있는데 그럼 기존사업자는 죽쒀서 개준꼴이라고 생각할 수 있죠

네이버포인트가 쓸만해진건 일종의.메기효과같에용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20:39

네이버 페이나 카카오 페이 역시 처음부터 가입없이 쓸 수 있는 게 아니죠.

그리고 네이버 앱에 탑재된 네이버QR페이가 제로페이입니다.

즉, 네이버든 카카오든 NHN이든 각자의 결제 포인트 체계를 기반으로 제로페이 시스템만 탑재해서 쓸 수 있다는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간다르바
간다르바 BarryWhite 님께
2020.01.18. 20:49

네이버페이가 제로페이기반 인지는 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향후 국내페이시장은 네이버+카카오+NHN를 필두로한 QR결제와 MST+NFC를 기반으로한 스마트폰 제조사들간의 싸움이되겠네요

[간다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간다르바 님께
2020.01.18. 20:51

MST가 언제까지 지원될지 모르겠지만(IC로 바뀌어서요)

향후 유력한 건 QR 아니면 NFC긴 하죠.

문제는 NFC는 결제 단말이 필요하다는 거고, QR는 기존 포스로도 충분하다는 것 정도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2등 인헤리턴스
2020.01.18. 19:20

공무원들 강제로 쓰게하더니 이젠 아예 ㅋㅋ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3등 존버합니다
2020.01.18. 19:22

 혜택없는데 과연 누가 쓸지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존버합니다 님께
2020.01.18. 19:24

확실히 혜택이 부족해서 유인효과가 없더라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성공]함께크는성장 님께
2020.01.18. 20:29

사실 그렇죠. 소득공제 30% 혜택이라곤 하지만, 눈에 잘 안보이는 혜택보다는 당장 피부에 와닿는 뭔가가 필요해 보입니다. 근데 제가 봤을 때 이건 제로페이 자체에서 하기보다는, 네이버나 페이코 등이 각자 포인트 사용시 주는 혜택을 강화하면 될 것 같네요. 지금도 어느정도 하고 있고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인더7CM
바인더7CM
2020.01.18. 19:58

제로페이로 해도 이거 세금 내야되서 똑같아요 하는분도 있더란...

[바인더7C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바인더7CM 님께
2020.01.18. 20:31

매출 8억 원까지 무료라서 그런 걸 수도 있습니다...규모가 큰 사업체는 세금을 내긴하는데 그것도 카드 수수료보다 훨씬 낮습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플라이트
인플라이트
2020.01.18. 20:58

제로페이야말로 탁상행정의 끝판왕 아닌가 싶네요 ㅋㅋㅋ

저걸 누개쓴다고...시작할때부터 몰랐던것도 아닐텐데...

[인플라이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인플라이트 님께
2020.01.18. 21:00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헤페바이쎄
헤페바이쎄
2020.01.18. 21:43

애초에 월급으로 한달 막고 사는 직장인 청년 세대가 대부분인 이 나라에서 계좌이체를 통한 제로페이가 먹힐까 부터가 의문입니다

[헤페바이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ingSeJong
KingSeJong
2020.01.19. 20:23

애초에 제로페이의 목적이 소상공인의 탈세를 막기위한 목적이 아닐까요. 오히려 세수증가가 목적이 아닌가 싶네요.

국가주도의 결제시스템 구축의 목적이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는데 소상공인이 오직 카드 수수료 때문에 현금결제를 원하는게 아닌건 우리 모두 알고있죠.

[KingSeJo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55
핫글 소식 미디어텍, MS 코파일럿+ PC용 Arm칩 개발중 new BarryWhite 00:38 1 154
핫글 소식 "테라폼-권도형 전 대표, 44억7000만달러 내고 SEC 소송 해결 합의" [4] new 뉴스봇 07:20 1 303
18381 소식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 코로나19 확진자 직원 발생 뉴스봇 20.03.01 0 294
18380 소식 삼성전자 이어 LG디스플레이 구미사업장 '확진자'···사흘간 일부 폐쇄 뉴스봇 20.02.29 0 195
18379 소식 유튜브, 韓·日성인물 1시간 가까이 노출 사고 [18] 몽구스 20.02.29 0 1012
18378 소식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를 표적으로 하는 스크립팅 공격 방지 방법 몽구스 20.02.29 0 155
18377 소식 MS의 새 '오피스' 모바일 앱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7가지 몽구스 20.02.29 0 270
18376 소식 온로봇, 쓰리 핑거 그리퍼 '3FG15' 출시 몽구스 20.02.29 0 82
18375 소식 램리서치, 증착으로 EUV PR 만드는 '드라이 레지스트' 개발…日 기술 대체 촉각 몽구스 20.02.29 0 137
18374 소식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에 직접 광고 판매 허용 추진 몽구스 20.02.29 0 141
18373 소식 KT, ‘갤럭시Z 플립’ 보험 늦장 출시 몽구스 20.02.29 0 191
18372 소식 48MP 카메라 탑재한 갤럭시 A41 유출 [2] file 프로 20.02.29 0 304
18371 소식 SOL REPUBLIC, 노이즈캔슬링 코드리스 이어폰 Amps Air+ 발표 [2] file Stellist 20.02.29 0 269
18370 소식 샤오미 Mi10 의 제조비용은 $440 [3] file Stellist 20.02.29 0 320
18369 소식 파나소닉, 시장 축소에 50년 넘게 해온 자판기 사업 철수 [2] 몽구스 20.02.29 0 183
18368 소식 MWC 2020 개최됐다면 주목받았을 제품들 몽구스 20.02.29 0 161
18367 소식 팀 쿡, 中공급라인 재개에 '낙관'…한국엔 "지켜보자" 몽구스 20.02.29 0 152
18366 소식 Moment, 안드로이드용 Pro Camera 앱 개발 중단 file Stellist 20.02.29 0 276
18365 소식 MS 음성 AI 전략...개인용 기능 빼고 기업용 SW와 통합 집중 뉴스봇 20.02.29 0 51
18364 소식 MS 서피스 고2 벤치마크 등장...앰버레이크 탑재 file BarryWhite 20.02.29 0 562
18363 소식 MS 서피스 듀오, 오는 4월 출시 예상 BarryWhite 20.02.29 0 195
18362 소식 IDC : 올 상반기 스마트폰 시장 10.6% 감소 전망 file BarryWhite 20.02.29 0 119
18361 소식 “스마트폰 카메라가 아무리 진화한다해도”…프리미엄 카메라업계의 자신감 [3] 몽구스 20.02.29 0 358
18360 소식 추억의 '탈착형 배터리' 스마트폰 복귀하나...EU, 의무화 법안 추진 [6] 뉴스봇 20.02.28 0 494
18359 소식 삼성 갤럭시탭 S6 라이트 렌더링 등장 [6] file BarryWhite 20.02.28 0 1601
18358 소식 LGU+, 갤럭시S20 개통 첫 날 41% 핑크색 선택 [6] file BarryWhite 20.02.28 0 576
18357 소식 LG전자·우아한형제들, 로봇 개발 MOU 체결 file BarryWhite 20.02.28 0 192
18356 소식 인텔 코어 i7-10700KF 실 소비전력 최대 250W 수준 [4] file BarryWhite 20.02.28 0 316
18355 소식 삼성 갤럭시Z플립 중국서도 정식 출시 9분만 완판 BarryWhite 20.02.28 0 145
18354 소식 삼성전자 보안 플랫폼 삼성 녹스 MWC 최고 모바일 혁신상 수상 [1] BarryWhite 20.02.28 0 139
18353 소식 출고가 300만원 메이트Xs, 사전예약 하루만에 37만명 [3] BarryWhite 20.02.28 0 204
18352 소식 중국 부메랑 맞은 애플…불과 한달 새 바뀐 실적 BarryWhite 20.02.28 0 138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