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봇

소식 LG전자, 2021년형 TV 라인업 공개

LG전자가 강력해진 2021년형 TV 라인업을 공개한다.

■ 차세대 올레드를 필두로 QNED, 나노셀까지…프리미엄 TV 풀 라인업 구축

 

LG전자는 차세대 패널로 보다 완벽해진 자발광(自發光, Self-Lit) 올레드를 필두로 ▲독자 고색재현 기술 ‘퀀텀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와 미니LED를 적용한 LG QNED MiniLED ▲LG 나노셀 TV 등 프리미엄 LCD TV 라인업에 이르는 삼각 편대를 앞세워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올해 LG전자 프리미엄 LCD TV 라인업에는 앞서 지난달 말 공개한 LG QNED TV가 새롭게 추가된다. LG전자는 초대형 제품군 중심으로 8K와 4K 해상도를 포함해 QNED TV 10여 개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LG QNED TV는 86형(화면 대각선 길이 약 218센티미터) 8K(7,680×4,320) 해상도 제품을 기준으로 백라이트에 약 3만 개의 미니LED를 탑재한다. 로컬디밍 구역은 2,500개에 달한다.

 

이 제품은 밝기와 명암비를 대폭 업그레이드했으며, 업계에서 사용중인 대표적인 고색재현 기술을 모두 사용해 LCD TV 중에서는 색 재현율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명실상부 LCD TV 기술 진화의 정점에 있는 제품이다.

 

LG전자는 LG 나노셀 TV에서도 초대형 위주로 제품 구성을 대폭 강화하며 올레드 TV뿐 아니라 LCD TV에서도 프리미엄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 완전히 새로워진 OLED 소자, 더 완벽해진 OLED 화질

 

LG전자는 OLED 소자 성능을 한층 업그레이드해 완성된 차세대 올레드 패널을 탑재한 ‘올레드 에보(OLED evo, 모델명: G1)’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올레드 에보는 보다 정교한 파장의 빛을 내 기존 대비 선명한 화질을 표현하고 밝은 화면을 보여준다. 섬세한 화질, 압도적 명암비와 블랙 표현, 넓은 시야각 등으로 최고 평가를 받는 LG 올레드 TV의 화질이 보다 완벽해진다.

 

LG 올레드 TV는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TV만이 구현 가능한 압도적 화질을 기반으로 지난 2013년 첫 출시 이후 ▲2015년 4K(3,840×2,160) HDR(High Dynamic Range) OLED ▲2019년 세계 최초 8K(7,680×4,320) OLED ▲2021년 OLED evo 등으로 지속 진화하고 있다.

 

LG 올레드 TV 전 모델은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으로부터 원작과 TV 화면간 색의 명도, 채도, 색도 등을 평가하는 색 충실도(Color Fidelity) 100%를 충족하는 OLED 패널을 사용한다.

 

■ 성큼 다가온 올레드 대세화

 

LG전자는 지난해에는 세계 최초로 48형 올레드 TV를 출시한 데 이어 올해는 83형 올레드 TV를 새롭게 출시한다.

LG 올레드 TV 가운데 70인치 이상 초대형 제품의 모델 개수는 지난해 4개에서 올 초 7개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난다. (※ 모델 수는 글로벌 공통 모델 기준이며, 지역별 운영 모델은 다를 수 있음.)

 

이 같은 추세에 맞춰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올레드 대세화도 빠르게 앞당겨지고 있다. LG전자는 올해가 올레드 TV 시장이 지난해 대비 약 2배 성장하는 올레드 대세화의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4세대까지 진화한 인공지능 알파9(α9 Gen4) 프로세서

 

인공지능 화질/음질 엔진 알파9 프로세서는 4세대로 진화해 더 강력해졌다.

 

알파9 4세대 프로세서는 1백만 개 이상의 영상 데이터와 1천 7백만 개 이상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이전 프로세서에 비해 그래픽과 데이터 처리능력이 대폭 업그레이드됐다. 8K 올레드 TV(모델명: Z1)는 8K 전용 알파9 프로세서를 탑재한다.

 

인공지능 화질 Pro 기술은 화질을 높이는 업스케일링(Upscaling)은 물론이고 얼굴, 사물, 글씨 등을 인식해 또렷하게 보여준다. 영상을 매 장면별로 분석, 최적화하던 다이나믹 톤 맵핑(Dynamic Tone mapping)은 매 장면을 보다 세분화해 분석하는 식으로 진화했다. 화면의 작은 디테일도 살려준다.

 

또 영화, 스포츠, 애니메이션 등 영상의 장르는 물론, 시청중인 화면 속 배경까지도 스스로 구분해 영상에 최적화된 화질을 제공한다.

 

인공지능 사운드 Pro 기술은 2채널 음원을 가상의 5.1.2채널 입체음향으로 들려준다. 서로 다른 채널이나 어플리케이션간 볼륨을 맞춰주는 기능도 추가됐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지상파 방송을 보다가 유튜브나 OTT 영상을 시청할 때 시청하는 콘텐츠마다 제공하는 볼륨 수준이 달라 사용자가 일일히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TV가 스스로 일정한 볼륨을 유지해준다.

 

■ ‘보는 TV’에서 ‘고객 주도형 콘텐츠 소비 TV’로

 

LG전자는 신제품에 TV가 전통적인 시청각 기기에서 고객이 다양한 콘텐츠를 주도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기기로 변화하는 트렌드를 대거 반영했다.

 

LG전자는 최신 SW 플랫폼 webOS 6.0을 기반으로 LG TV 홈 화면을 완전히 새롭게 업그레이드했다. 고객 취향에 맞춘 콘텐츠 추천 기능을 강화했으며, TV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나 날씨 등 생활정보도 보여준다.

 

▲선호 팀의 경기 일정, 결과, 상세 내용 등을 간편하게 알려주는 ‘스포츠 알림(Sport Alert)’ ▲시청중인 영상에 등장하는 배우, 장소, 물건 등을 즉시 검색해 쇼핑까지 연결해주는 ‘WWW(Who. Where. What, 일부 국가에 한함)’ 서비스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도 지속 강화하고 있다.

 

TV를 인터넷에 연결하면 별도 셋톱박스 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LG 채널도 고객 맞춤형으로 지속 강화한다. LG전자는 지난 2015년부터 LG 채널 서비스를 시작해 지금은 글로벌 주요 국가에 총 1600여 개에 이르는 채널을 서비스하고 있다.

 

고객은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새로워진 인공지능 리모컨을 통해 LG 씽큐(ThinQ), 구글 어시스턴트, 아마존 알렉사 등 음성인식 AI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NFC로 스마트폰-TV 상호간 화면공유도 손쉽게 할 수 있다.

 

■ 실내 유해물질 배출 저감은 물론이고 시청자의 눈 건강까지 고려

 

LG전자는 고객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는 추세에 맞춰 친환경, 눈 건강 등의 요소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실내 활동이 증가하는 데 따라 오염물질이 적고, 건강까지 고려한 전자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형 LG 올레드 TV는 스위스 인증기관 SGS(Societe Generale de Surveillance)로부터 ▲새집증후군 유발물질로 알려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LCD 대비 절반 이하 ▲카드뮴, 인화인듐 등 국제암연구기관이 분류한 발암물질 포함 부품 미 사용 ▲뛰어난 자원 효율성 등 친환경 요소를 두루 인증받은 패널을 탑재한다.

 

뛰어난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눈이 편안한 디스플레이도 올레드의 장점이다. LG 올레드 TV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은 동일 인치대 프리미엄 LCD TV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실제 LG 올레드 TV는 獨 TUV라인란드(Rheinland) 와 美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낮은 블루라이트’, ‘플리커 프리’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업계 최저 수준으로 낮춰 美 눈 건강 인증기관인 아이세이프(Eyesafe)로부터 ‘눈에 안전한 TV’ 인증도 획득한 패널을 탑재한다.

 

특히 LG전자는 TV와 세트로 사용하는 사운드 바 제품에도 친환경 요소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올해 LG 사운드 바 주요 신제품은 수거된 PET병을 재활용한 폴리에스터져지(Polyester Jersey)나 재활용 플라스틱을 대거 사용한다. 포장재에도 스티로폼(EPS) 대신 친환경 소재만을 사용한다.




기사 더 읽기
댓글
1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303
핫글 소식 EU, 애플에 벌금폭탄?…앱스토어, DMA 위반 [3] update BarryWhite 01:19 4 285
핫글 소식 위치 추적기 '모토 태그' 美 FCC 인증 획득…블루투스보다 세밀 [1] new 뉴스봇 09:41 1 131
핫글 소식 광고 대신 완전 무료, 넷플릭스 신규 요금제 계획 중? [2] new BarryWhite 10:58 1 386
25323 소식 2019.09.10 일간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 뉴스봇 19.09.10 0 25
25322 소식 RTX 4090 지원과 DX12 성능 대폭 향상, 엔비디아 게임 레디 드라이버 522.25 배포 file 뉴스봇 22.10.13 0 183
25321 소식 메타, 위키피디아 인용을 검증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 뉴스봇 22.07.13 0 74
25320 소식 더 버지, Humane AI 핀 리뷰 게재 [2] file Stellist 24.04.11 0 316
25319 소식 화웨이, 중급형 스마트폰 nova 7 / 7 Pro / 7 SE 발표 [2] file Stellist 20.04.24 0 210
25318 소식 이노룩스, 2분기부터 LCD 패널 시장 반등 뉴스봇 23.02.20 0 104
25317 소식 유니티 수석부사장 "애플과 파트너십, 많은 고객이 혜택받을 것" [3] BarryWhite 23.07.02 0 570
25316 소식 CJ헬로 품은 하현회 LGU+ 부회장 "제2 도약 이루겠다" BarryWhite 19.12.16 0 87
25315 소식 삼성 TV 수장도 대만행‧‧‧패널IC‧LCD 업체 만나 뉴스봇 21.05.18 0 263
25314 소식 갤럭시 S20 울트라 실기기 추가 유출 [6] file 프로 20.02.09 0 934
25313 소식 AMD 라데온 RX 6600 시리즈 내부 문건 유출, 16GB VRAM도 지원? 뉴스봇 21.05.18 0 78
25312 소식 아이폰13, 1TB 스토리지 탑재설 또 나와 뉴스봇 21.07.22 0 86
25311 소식 삼성전자 첫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 지원 종료 BarryWhite 23.11.13 0 470
25310 소식 인텔 Tremont CPU 아키텍처, 듀얼 스크린 서피스 네오 지원 뉴스봇 19.10.25 0 55
25309 소식 LG와 '작명싸움' 재격돌?…삼성도 'QNED' 상표권 출원 신규유저 20.10.06 0 297
25308 소식 ‘도쿄선언’ 40년, 다시 반도체다 [2] 프로입털러 23.02.09 0 387
25307 소식 HP 코리아, 하이브리드 업무 최적화된 기업용 PC 3종 신규 출시 file 뉴스봇 21.07.02 0 268
25306 소식 [서포터즈] 어플에도 세대 차이가 있나요? 뉴스봇 19.02.03 0 176
25305 소식 엔비디아 ARM 인수협상 배경과 파장 뉴스봇 20.08.03 0 395
25304 소식 가디언 "구글, 비정규직 수천명 급여 기준 미달…개선 미뤄" 뉴스봇 21.09.11 0 238
25303 소식 D램 가격 이달 18% 급락…"수요회복 기미 안보여" 프로입털러 23.01.31 0 229
25302 소식 에이서, 대화면 및 콤팩트 크롬북 신제품 4종 공개 뉴스봇 19.09.18 0 53
25301 소식 '미중 무역전쟁 불똥?'…올해는 몸 사린 CES 중국기업들(종합) 뉴스봇 19.01.09 0 42
25300 소식 애플·삼성 이어 구글·메타도 도전장…치열해지는 '손목 위 전쟁' [1] file 뉴스봇 21.12.08 0 220
25299 소식 IBM, AI 왓슨 헬스 사업 매각까지 검토..."클라우드 집중" [1] 뉴스봇 21.02.20 0 266
25298 소식 MS·애플 제쳤던 엔비디아 브랜드 인지도가 부족하다? 뉴스봇 24.06.24 0 134
25297 소식 갤S20, 통신사 보조금 경쟁 촉발할까 신규유저 20.02.09 0 154
25296 소식 KT, '티빙·밀리 초이스' 요금제 출시…"OTT·음악·전자책 한번에" 프로입털러 23.02.01 0 169
25295 소식 애플, M3 시리즈 탑재 14" 및 16" 맥북 프로 신모델 발표 BarryWhite 23.10.31 0 321
25294 소식 러시아, 듀오링고에 성소수자 콘텐츠 경고…삭제 조치 BarryWhite 24.06.07 0 245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