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BarryWhite

소식 스케일리티: HDD가 SSD보다 전력 사용량이 적다

HDD는 SSD보다 드라이브당 전력 밀도가 19%에서 94%까지 더 높습니다.

 

드라이브당 전력 데이터
SSD HDD HDD Advantage
Idle (watts) 5 5.7 -14%
Active read (watts) 15 9.4 37%
Active write (watts) 20 6.4 68%
Read-intensive workload (avg. watts) 14.5 8.7 40%
Write-intensive workload (avg. watts) 18 6.6 63%
Power-density read-intensive (TB/watt) 2.1 2.5 19%
Power-density write-intensive (TB/watt) 1.7 3.3 94%

 

스토리지 공급업체 Scality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워크로드와 드라이브 용량에 따라 하드 드라이브가 SSD보다 드라이브당 전력 밀도가 19%에서 94%까지 더 높을 수 있다고 합니다.

 

SSD와 달리 하드 드라이브에는 기계식 플래터나 액추에이터 암과 같이 움직이는 부품이 많습니다. 따라서 SSD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는 움직이는 메커니즘이 없기 때문에 하드 드라이브보다 전력 소비가 적다는 것입니다. 스케일리티Scality의 최신 테스트에 따르면 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회사의 벤치마크 결과에 따르면 하드 드라이브는 고밀도 QLC SSD에 비해 전력 밀도 면에서 우위에 있습니다. 스케일리티는 비교를 위해 마이크론 6500 이온 30.72TB QLC SSD와 씨게이트 엑소스 X22 22TB 7,200 RPM 하드 드라이브를 사용했습니다. 참고로 스케일리티는 성능이 아닌 전력 소비량을 평가했습니다.

 

TB/와트 전력 밀도 지표를 살펴보면, 하드 드라이브는 읽기 집약적 수치는 19%, 쓰기 집약적 수치는 94%를 기록했습니다. 유휴 상태에서는 하드 드라이브가 SSD보다 14% 더 많은 전력을 소비했습니다. 그러나 하드 드라이브는 활성 읽기 및 쓰기 작업 중에 전력 소비량이 각각 37%, 68% 더 낮았습니다.

 

집약적인 워크로드에서도 비슷한 수치가 관찰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는 읽기 집약적 워크로드와 쓰기 집약적 워크로드에서 각각 40%와 63% 더 적은 전력을 소비했습니다. 스케일리티는 향후 드라이브 용량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결과가 변경될 수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스케일리티는 테스트에 두 가지 모델을 활용했습니다. 읽기 집약적 워크로드는 유휴 10%, 읽기 80%, 쓰기 10%로 구성되었습니다. 반대로 쓰기 집약적인 워크로드는 10% 유휴, 10% 읽기, 80% 쓰기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드라이브는 표시된 백분율에 대해 언급된 전원 상태에 있었습니다.

 

스케일리티는 "오늘날 전력 소비는 SSD와 HDD를 결정하는 주요 기준이 되지 않습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모든 것은 워크로드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읽기 집약적이고 지연 시간에 민감한 워크로드에는 여전히 SSD가 최고의 성능 옵션입니다. 반면, 하드 드라이브는 여전히 비정형 데이터 워크로드에 선호되는 매체입니다.

BarryWhite
살짝 내려놓고 지박령 활동하겠습니다😆
프로필 속 고양이는 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미코 광고 후원 감사합니다.
댓글
3
Rcing
1등 Rcing
2023.08.14. 23:34

속도로 다시 나누면 엄청 비교되겠는데 말이죠..

[Rci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Kor82
2등 MiKor82
2023.08.15. 10:23

그..하드는 느립니다...8g1이 M1보다 전력 소모량 적어 두둥탁 같은 소리 하지 말아줘유

[MiKor82]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3등 나르자
2023.08.15. 12:43

SSD도 고용량/고속화 되면서 이리 되나보군요

근데 왜 QLC를 사용한걸까요? 그냥 용량 맞추기 위해서? 흠...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99
핫글 소식 LG디스플레이, 노트북용 탠덤 OLED 양산 [5] new BarryWhite 12:40 2 381
핫글 소식 삼성전자, 특허 231건 중소·중견기업에 나눠준다 new BarryWhite 19:44 1 153
핫글 소식 라인 강탈, 손정의가 앞장섰나 [8] update BarryWhite 10:36 1 615
38074 소식 배터리 교체 없이 전기차 30만km 달렸다...국내 첫 사례 Aimer 20.06.04 1 403
38073 소식 LG폰, 20분기 연속 적자…적자폭 2천억대로 감소 [9] 프로 20.04.29 0 403
38072 소식 디아블로 이모탈, 올해 알파 테스트 실시 예정 [6] 뉴스봇 20.02.10 0 403
38071 소식 '기술 유출 유죄' 받은 톱텍, 삼성D 특허 무효화 뉴스봇 24.06.21 1 402
38070 소식 스테이지엑스, 조직 체계 발표...6개 본부·1개 센터·1개 협의회 [2] BarryWhite 24.06.03 3 402
38069 소식 삼성전자의 승부수, HBM 개발실 신설 추진 BarryWhite 24.03.08 0 402
38068 소식 인텔, 독일서 12세대 알더 레이크 포함 일부 CPU 판매 금지 직면 BarryWhite 24.02.09 0 402
38067 소식 삼성전자, 갤럭시 탭 A9+ 출시 file BarryWhite 23.11.01 0 402
38066 소식 비싼 폰 잘나가네… 애플, 아이폰15 프리미엄 모델 비중 확대 [1] BarryWhite 23.09.04 0 402
38065 소식 인텔, ‘프로젝트 엔드게임’ 개발 중단…아크 GPU에 우선순위 밀린 듯 [1] 뉴스봇 23.07.21 2 402
38064 소식 LG디스플레이, 삼성전자에 W-OLED 패널 이달부터 공급 뉴스봇 23.06.22 4 402
38063 소식 삼성 반도체 판도변화...올해 사상 처음으로 파운드리 연매출, D램 추월하나? 뉴스봇 23.03.17 1 402
38062 소식 심심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 인공지능 챗봇 기반 우울증 치료 연구 MOU 체결 [2] 뉴스봇 22.09.27 4 402
38061 소식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60 Ti 전력은 RTX 3070 Ti급? [1] 뉴스봇 22.08.29 1 402
38060 소식 미국, 자국 내 네트워크에서 화웨이와 ZTE 장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49.8억 달러 필요해 - 미 의회는 먼저 이를 위해 19억 달러를 승인한 바 있어 - 그러나 FCC는 금요일 의회 증언에서 추가로 30.8억 달러가 더 필요하다고 말해 [gizchina.com] 뉴스봇 22.07.16 0 402
38059 소식 미 정부, 틱톡 퇴출 포기 [3] file Stellist 20.11.13 0 402
38058 소식 [한정판 언박싱] 디테일의 끝을 만나다, ‘갤럭시 Z 폴드2 톰브라운 에디션’ 프로입털러 20.10.07 1 402
38057 소식 브론즈가 대세? 삼성이어 '레이저2'도 채택 Aimer 20.09.09 0 402
38056 소식 갤럭시 워치3 첫 펌웨어 업데이트..VO2 맥스 및 혈중산소감지 활성화 BarryWhite 20.08.08 0 402
38055 소식 삼성전자, 갤럭시 A42 5G 개발 시작 [4] 뉴스봇 20.06.30 0 402
38054 소식 LG·카카오 동맹, 가전에 AI 연동 나선다...삼성 갤홈미니와 경쟁 구도 [4] 뉴스봇 20.02.23 0 402
38053 소식 밸브, 프로톤 9.0 정식 출시 BarryWhite 24.05.04 1 401
38052 소식 구글의 제미니, 모든 기기를 지원하는 새로운 멀티모달 생성형 AI 소프트웨어 모델 [1] 뉴스봇 23.12.07 1 401
38051 소식 모바일 신분증, 삼성페이와 결합 scjang01 23.10.08 0 401
38050 소식 사테치 썬더볼트 4 멀티미디어 프로 독 리뷰ㅣ여러 대의 모니터 쓰는 윈도우 사용자를 위한 도킹스테이션 [2] 뉴스봇 23.07.13 0 401
38049 소식 "애플, OLED 맥북 출시 2027년으로 연기" [1] 뉴스봇 23.07.06 1 401
38048 소식 MS, 윈도 개발자 인사이더 버전에 윈도 코파일럿 출시(번역) [4] BarryWhite 23.06.30 3 401
38047 소식 “DeepL이 할 수 있는 것” 전성기 맞은 기계번역의 가능성과 한계 뉴스봇 23.04.11 1 401
38046 소식 마이크로소프트, 오는 6월 개편된 팀즈 출시 “인터페이스 개선 및 코파일럿 지원” [1] 뉴스봇 23.03.28 0 401
38045 소식 얇은 베젤, USB-C 탑재 아이폰 15 프로 렌더링 사진 공개 뉴스봇 23.02.20 0 40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