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팝카드있으세요

미니 미국 공화당이 전기차 보조금 폐지법안을 발의했습니다.,

공화당이 전기차 보조금(tax credit) 폐지, 전기차세금을 늘리기 위한 법안을 제출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의 공약이기도 했구요 

https://electrek.co/2019/02/06/republican-senator-bill-kill-electric-vehicle-tax-credit/

 

근데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전기차는 사실 육성해야 할 사업인데... 

어마어마한 보조금을 받는 중국회사, 테슬라-파나소닉 빼고 우리나라 회사가 전기차 배터리 1,2,3위인데 

국가차원으로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추가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수소(연료전지)는 자동차보다는 다른쪽에 집중하는 추세고 말이죠. 

 

 

팝카드있으세요
폴 바셋 에스프레소로 만든 고소한 라떼 위에 우유 본연의 풍미가 매력적인 상하목장 아이스크림을 토핑한 폴 바셋의 스테디 셀러입니다. (우유 변경 옵션 미적용 음료입니다)

영양 정보 (1회 제공량 기준)
Grand
제공량(ml) 460
열량(kcal) 375
당류(g) 33
나트륨(mg) 130
단백질(g) 12
포화지방(g) 15
카페인(mg) 245
댓글
18
숲속의참치
1등 숲속의참치
2019.02.09. 01:23

전기차는 파란 번호판이 간지납니다

[숲속의참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숲속의참치 님께
2019.02.09. 01:27

초창기에 주차장에서 인식안되는 문제 있었다던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참, 번호가 지워지는 문제도 있었다던데 (...)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시릴라
시릴라 숲속의참치 님께
2019.02.09. 03:44

저는 엄청 별로라고 봅니다. 짙은 파란 바탕에 검은 글씨라서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요.

[시릴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몽키?!Code
2019.02.09. 02:00

신소재 공부하는

친한 동생의 말로는

 

자동차 업계가

전기 보다는 소수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몽키?!Code 님께
2019.02.09. 02:03

제가 들은것과는 반대네요. 자동차에 쓰기엔 비효율적이라서 다른쪽으로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던데...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의 경우 철도에 투입할 계획이 있다는 기사가 있더라구요.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몽키?!Code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2.09. 02:27

비효율적인 건 아닙니다. 

오히려 전기차보다 더 적합해요^^

 

다만 문제가 수소 생산이죠...

 

수소의 원활한

대량 생산이 불가능 하다보니

 

현재 소형차 보다는 트럭이나 기차 같은

대형 운송 수단에 적용하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산 문제는 전기도 마찬가지라서

 

현재 자동차가

차세대 자동차로 거의 대체될 때까지

개인적으로 두고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몽키?!Code 님께
2019.02.09. 05:13

확실히 디젤동차는 수소로 대체되면 괜찮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자동차에는 글쎄요...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몽키?!Code 님께
2019.02.09. 06:43

개인적인 판단으로 수소차는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전기차 대비 갖는 이점이 충전속도와 주행거리 밖에 없어요.

그 주행거리도 금방 따라잡힐 겁니다.

수소 생산 시 이산화탄소나 중금속 배출, 혹은 전기 분해로 수소 생산 시 떨어지는 효율. 연료전지의 성능 제한 등이 대중성과 크게 먼 상태죠.

 

여러모로 기술적으로 시기 상조입니다. 전기차는 나중에 배터리만 바꾸면 되지만, 수소차는 지금 개발해서 상용화 시판한다해도 나중에 똑같은 구조의 수소차/인프라가 이어질 거란 보장도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기업들도 선뜻 투자하기를 꺼릴 수 밖에요. 특히 수소 충전소가 적은 이유가 대중성도 있지만, 기존 석유보다 안전설비나 개질장치에 훨씬 돈이 많이들어가서 그렇습니다.

 

궁극적으로 수소차가 가야하는 친환경, 무한한 연료 차량의 길은 지금같은 기술로는 어림없습니다. 전기자동차 기술력에서 밀린 업체들이 수소차를 중점적으로 밀고 있긴 한데...어차피 수소차에도 배터리는 들어가야 하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몽키?!Code BarryWhite 님께
2019.02.09. 07:45

전기 분해 상용화는

과학자들이 2030년 쯤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금방이라 하기 뭣한 게

결국 차세대 전지가 상용화 되어야 가능한 이야기인데

그게 언제일지 모른다는 거죠...ㅡㅡ

 

게다가 전기도 생산성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당분간은 원자력 밖에 닶이 없어요...^^;;;

 

그런데 저 같이

우라늄 원자력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생산 그 이후 처리 과정까지 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해체 과정이나 방사능 물질 처리 같은 거요

 

차세대 발전 시설이

2025(토륨 원전)~2040(핵 융합)년 중에

개발이 끝나는 걸 고려하면

(심지어 성공 보장 가능성이 100%도 아닌)

전기차는 손해입니다.

 

'스마트 시티 & 홈'까지 고려하면 더더욱 그렇고요

 

결국 전기 하나로 가기에는 부담이 커서

수소와 전기를 동시에 운용할 겁니다. 

 

괜히 일본 정부가 수소 인프라를 만드는 게 아니죠

 

마지막으로

지금 당장 가능하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몽키?!Code 님께
2019.02.09. 08:16

일단 수소 연료전지가 차량에 쓰이기엔 부족하다는 말씀이었습니다.

지금 전기차의 힘, 가속도 수준을 현재 수소 연료전지는 쫓아오질 못합니다.

그건 차량에 들어가는 연료전지 규모에 한계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지금 구축해놓은 인프라가 향후 수소차에도 적용될 거란 보장도 없다는 부분도 크죠.

수소 연료전지가 개량/발전 돼 계속 이어진다면 모르겠습니다만,

수소차의 궁극적인 형태는 지금과 같은 수소 충전식이 아니죠.

 

수소 전기분해도 당연히 전기가 필요합니다.

지금 그 효율이 배터리 직접 충전보다 못한 게 문제고

이를 높이기 위해 비귀금속으로 촉매를 바꾸는 중이죠.

언제 직접 충전 효율을 넘어설지는 모르겠습니다.

 

또 수소/전기 하이브리드의 경우 차량에 적용하기 힘든게

차량에 수소 연료전지와 배터리가 동시에 들어갈 공간이 부족합니다.

지금 배터리는 차량 바닥에 넓게 깔아

전기차의 전고가 상대적으로 디젤/가솔린 차량보다 높아집니다(천장이 낮아지거나).

수소 연료전지는 이마저도 안되서 무조건 특정 형태의 부피를 잡아먹습니다.

이 두개가 합쳐지면... 그건 가능할 수는 있어도 사람들이 구매할 수준은 아닐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몽키?!Code BarryWhite 님께
2019.02.09. 08:56

일단 현대에서

수소차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개량/발전은 이어질거고

인프라는 구축만 해놓으면

 

개인적으로

수소를 사용하는 분야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궁극적인 형태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몽키?!Code 님께
2019.02.09. 09:03

예전부터 현대가 가장 주도적으로 수소차를 밀고 있죠.

거기에 끼어드는 업체가 몇개 안됩니다.

 

궁극적인 수소차는 물을 수소와 산소를 분리, 반응시켜

에너지를 얻고 차를 움직이는 겁니다.

수소 충전이 아니라 물을 충전하는 거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3등 ARMCC
2019.02.09. 02:48

수소를 제대로 경제성 있게 생산하려면 수소를 열분해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원자로를 써야 할 판이죠....

 

문제는 전기 생산도 결국 CO2배출문제를 해결하는 생산방법이  또 원자력으로 귀결되고.....

 

그런 에너지생산-유통 체계와 연계되지 않는 친환경차량들은 결국 수소든 배터리든 패션친환경 범주에서 벗어나기 힘들고...

 

그런 패션친환경 전기차나 지원할 바에는 그냥 그 돈으로  배터리기술이건 수소차기술이건 수소생산기술이건 원자로기술이건 기초기술을 직접 지원하는 게 나을 겁니다.....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ARMCC 님께
2019.02.09. 05:10

그래도 전기는 대안이라도 있죠. 몇몇 나라들은 주력 에너지원을 태양광으로 바꾸려는 시도도 하고있구요. 

몇몇 회사들이 부품 공급사한테 생산 및 운송과정까지 친환경을 요구하기도 한다는데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로 발전하는 양 자체가 적어서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새만금에 태양광패널 깐다는 말도 그래서 나온거라고..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azarus
Lazarus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2.09. 18:56

그래서 BMW 배터리로 sk이노베이션 들어가는거에요

 

새만금에 태양광 깔아봐야 3기가와트정도고 그마저도 20년 한도 걸려있습니다.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ARMCC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2.09. 20:15

태양광은 대안 근처에도 못갑니다...   그야말로 패션친환경 대표주자가 태양광이죠.  

 

차라리 핵융합이 원자력을 대체하는 게 더 기대해 볼만 할 겁니다....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으하하핳
으하하핳
2019.02.09. 07:53

전기차 진짜 짱입니다! 전기차 사고싶다!

[으하하핳]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azarus
Lazarus
2019.02.09. 18:55

어차피 민주당이 다수인 하원에서 부결날듯요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794 13
핫글 미니 아래 란즈크발 블로그 반박 [30] 흡혈귀왕 24.06.18 2204 20
핫글 미니 역시 최후의 승자는 엑시노스 2400이네요 [12] file LG산흑우 24.06.18 1410 20
핫글 미니 S24 울트라 6개월 쓰면서 별로였던 것들 [12] updatefile Beoplay31 24.06.18 977 14
71770 미니 유튜브 이민 실패했네요 [17] 갤럭시S23 24.05.06 1198 1
71769 미니 오 듀얼업 형태의 모니터에 드디어 4k 들어간게 나오네요 [2] 룬룬 24.05.06 380 1
71768 미니 노트북 키감 1황은 여전히 씽패인가요? [22] BarryWhite 24.05.06 669 1
71767 미니 폴드가 또.... [1] 1o92nd 24.05.07 699 1
71766 미니 체크카드 자체를 모바일 교통카드로 등록하는건 불가능한가요? [17] 모코코 24.05.07 1023 1
71765 미니 사무용 키보드와 마우스의 끝판왕은... [9] 워너비프란시스 24.05.07 619 1
71764 미니 플립6는 플렉스 윈도우 전체 aod 되겠지요? [5] AurA 24.05.07 416 1
71763 미니 갤럭시 A31, A 퀀텀 정기 보안 업데이트 종료 [2] file 운김 24.05.07 271 1
71762 미니 그래서 엑시노스2500은 믿을만한가요? [12] S27울트라존버 24.05.07 886 1
71761 미니 조금 전의 글은 삭제했습니다. Mate 24.05.07 335 1
71760 미니 갤럭시 탭 S7 펌웨어 업데이트 file 운김 24.05.07 389 1
71759 미니 범퍼케이스 샀슈 [3] file 후루꾸루 24.05.07 376 1
71758 미니 외국 휴대폰 수리 유튜브 보는데 뭔가 위험해보이네요 [3] Beoplay31 24.05.07 491 1
71757 미니 잡담: 빙우주 "갤럭시 북4 엣지, 왜 Edge라는 접미사가?" [3] Section31 24.05.07 718 1
71756 미니 11인치 보다 13인치끼리 가격차이가 더 크네요 file 에피 24.05.07 175 1
71755 미니 아이패드 에어/프로 시작가격 [2] file 배붕이 24.05.07 368 1
71754 미니 아이패드 프로 한국 가격 공개 file 잇흥 24.05.07 267 1
71753 미니 애플 펜슬 프로가 좀 탐나긴 하지만 BarryWhite 24.05.07 117 1
71752 미니 음? 이번 신형 아이패드는 애플펜슬 2세대 지원이 안됩니다? [7] 애갤삼아 24.05.07 344 1
71751 미니 1세대도 지원하는데 2세대가 버려질줄이야 [3] file 에카 24.05.08 533 1
71750 미니 신형 아이패드 매직키보드 은색은 키보드가 흰색이네요. [5] file Stellist 24.05.08 395 1
71749 미니 M1 아이패드 프로 수명이 길걸 예상하고 샀지만 클루이드 24.05.08 272 1
71748 미니 M4가 근데 M2 울트라 급이 맞는 걸까요? [2] BarryWhite 24.05.08 648 1
71747 미니 오늘 발표를 보고 저번달 맥북을 구매한 저를 칭찬하고 있습니다. [10] file 잇흥 24.05.08 510 1
71746 미니 M4 아이패드는 배터리타임 향상이 어떠려나요 [1] file 김치피자탕수육이좋다 24.05.08 455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