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팝카드있으세요

미니 미국 공화당이 전기차 보조금 폐지법안을 발의했습니다.,

공화당이 전기차 보조금(tax credit) 폐지, 전기차세금을 늘리기 위한 법안을 제출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의 공약이기도 했구요 

https://electrek.co/2019/02/06/republican-senator-bill-kill-electric-vehicle-tax-credit/

 

근데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전기차는 사실 육성해야 할 사업인데... 

어마어마한 보조금을 받는 중국회사, 테슬라-파나소닉 빼고 우리나라 회사가 전기차 배터리 1,2,3위인데 

국가차원으로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추가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수소(연료전지)는 자동차보다는 다른쪽에 집중하는 추세고 말이죠. 

 

 

팝카드있으세요
폴 바셋 에스프레소로 만든 고소한 라떼 위에 우유 본연의 풍미가 매력적인 상하목장 아이스크림을 토핑한 폴 바셋의 스테디 셀러입니다. (우유 변경 옵션 미적용 음료입니다)

영양 정보 (1회 제공량 기준)
Grand
제공량(ml) 460
열량(kcal) 375
당류(g) 33
나트륨(mg) 130
단백질(g) 12
포화지방(g) 15
카페인(mg) 245
댓글
18
숲속의참치
1등 숲속의참치
2019.02.09. 01:23

전기차는 파란 번호판이 간지납니다

[숲속의참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숲속의참치 님께
2019.02.09. 01:27

초창기에 주차장에서 인식안되는 문제 있었다던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참, 번호가 지워지는 문제도 있었다던데 (...)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시릴라
시릴라 숲속의참치 님께
2019.02.09. 03:44

저는 엄청 별로라고 봅니다. 짙은 파란 바탕에 검은 글씨라서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요.

[시릴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몽키?!Code
2019.02.09. 02:00

신소재 공부하는

친한 동생의 말로는

 

자동차 업계가

전기 보다는 소수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몽키?!Code 님께
2019.02.09. 02:03

제가 들은것과는 반대네요. 자동차에 쓰기엔 비효율적이라서 다른쪽으로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던데...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의 경우 철도에 투입할 계획이 있다는 기사가 있더라구요.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몽키?!Code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2.09. 02:27

비효율적인 건 아닙니다. 

오히려 전기차보다 더 적합해요^^

 

다만 문제가 수소 생산이죠...

 

수소의 원활한

대량 생산이 불가능 하다보니

 

현재 소형차 보다는 트럭이나 기차 같은

대형 운송 수단에 적용하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산 문제는 전기도 마찬가지라서

 

현재 자동차가

차세대 자동차로 거의 대체될 때까지

개인적으로 두고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몽키?!Code 님께
2019.02.09. 05:13

확실히 디젤동차는 수소로 대체되면 괜찮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자동차에는 글쎄요...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몽키?!Code 님께
2019.02.09. 06:43

개인적인 판단으로 수소차는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전기차 대비 갖는 이점이 충전속도와 주행거리 밖에 없어요.

그 주행거리도 금방 따라잡힐 겁니다.

수소 생산 시 이산화탄소나 중금속 배출, 혹은 전기 분해로 수소 생산 시 떨어지는 효율. 연료전지의 성능 제한 등이 대중성과 크게 먼 상태죠.

 

여러모로 기술적으로 시기 상조입니다. 전기차는 나중에 배터리만 바꾸면 되지만, 수소차는 지금 개발해서 상용화 시판한다해도 나중에 똑같은 구조의 수소차/인프라가 이어질 거란 보장도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기업들도 선뜻 투자하기를 꺼릴 수 밖에요. 특히 수소 충전소가 적은 이유가 대중성도 있지만, 기존 석유보다 안전설비나 개질장치에 훨씬 돈이 많이들어가서 그렇습니다.

 

궁극적으로 수소차가 가야하는 친환경, 무한한 연료 차량의 길은 지금같은 기술로는 어림없습니다. 전기자동차 기술력에서 밀린 업체들이 수소차를 중점적으로 밀고 있긴 한데...어차피 수소차에도 배터리는 들어가야 하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몽키?!Code BarryWhite 님께
2019.02.09. 07:45

전기 분해 상용화는

과학자들이 2030년 쯤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금방이라 하기 뭣한 게

결국 차세대 전지가 상용화 되어야 가능한 이야기인데

그게 언제일지 모른다는 거죠...ㅡㅡ

 

게다가 전기도 생산성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당분간은 원자력 밖에 닶이 없어요...^^;;;

 

그런데 저 같이

우라늄 원자력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생산 그 이후 처리 과정까지 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해체 과정이나 방사능 물질 처리 같은 거요

 

차세대 발전 시설이

2025(토륨 원전)~2040(핵 융합)년 중에

개발이 끝나는 걸 고려하면

(심지어 성공 보장 가능성이 100%도 아닌)

전기차는 손해입니다.

 

'스마트 시티 & 홈'까지 고려하면 더더욱 그렇고요

 

결국 전기 하나로 가기에는 부담이 커서

수소와 전기를 동시에 운용할 겁니다. 

 

괜히 일본 정부가 수소 인프라를 만드는 게 아니죠

 

마지막으로

지금 당장 가능하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몽키?!Code 님께
2019.02.09. 08:16

일단 수소 연료전지가 차량에 쓰이기엔 부족하다는 말씀이었습니다.

지금 전기차의 힘, 가속도 수준을 현재 수소 연료전지는 쫓아오질 못합니다.

그건 차량에 들어가는 연료전지 규모에 한계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지금 구축해놓은 인프라가 향후 수소차에도 적용될 거란 보장도 없다는 부분도 크죠.

수소 연료전지가 개량/발전 돼 계속 이어진다면 모르겠습니다만,

수소차의 궁극적인 형태는 지금과 같은 수소 충전식이 아니죠.

 

수소 전기분해도 당연히 전기가 필요합니다.

지금 그 효율이 배터리 직접 충전보다 못한 게 문제고

이를 높이기 위해 비귀금속으로 촉매를 바꾸는 중이죠.

언제 직접 충전 효율을 넘어설지는 모르겠습니다.

 

또 수소/전기 하이브리드의 경우 차량에 적용하기 힘든게

차량에 수소 연료전지와 배터리가 동시에 들어갈 공간이 부족합니다.

지금 배터리는 차량 바닥에 넓게 깔아

전기차의 전고가 상대적으로 디젤/가솔린 차량보다 높아집니다(천장이 낮아지거나).

수소 연료전지는 이마저도 안되서 무조건 특정 형태의 부피를 잡아먹습니다.

이 두개가 합쳐지면... 그건 가능할 수는 있어도 사람들이 구매할 수준은 아닐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몽키?!Code BarryWhite 님께
2019.02.09. 08:56

일단 현대에서

수소차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개량/발전은 이어질거고

인프라는 구축만 해놓으면

 

개인적으로

수소를 사용하는 분야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궁극적인 형태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몽키?!Cod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몽키?!Code 님께
2019.02.09. 09:03

예전부터 현대가 가장 주도적으로 수소차를 밀고 있죠.

거기에 끼어드는 업체가 몇개 안됩니다.

 

궁극적인 수소차는 물을 수소와 산소를 분리, 반응시켜

에너지를 얻고 차를 움직이는 겁니다.

수소 충전이 아니라 물을 충전하는 거죠.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3등 ARMCC
2019.02.09. 02:48

수소를 제대로 경제성 있게 생산하려면 수소를 열분해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원자로를 써야 할 판이죠....

 

문제는 전기 생산도 결국 CO2배출문제를 해결하는 생산방법이  또 원자력으로 귀결되고.....

 

그런 에너지생산-유통 체계와 연계되지 않는 친환경차량들은 결국 수소든 배터리든 패션친환경 범주에서 벗어나기 힘들고...

 

그런 패션친환경 전기차나 지원할 바에는 그냥 그 돈으로  배터리기술이건 수소차기술이건 수소생산기술이건 원자로기술이건 기초기술을 직접 지원하는 게 나을 겁니다.....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글쓴이
팝카드있으세요 ARMCC 님께
2019.02.09. 05:10

그래도 전기는 대안이라도 있죠. 몇몇 나라들은 주력 에너지원을 태양광으로 바꾸려는 시도도 하고있구요. 

몇몇 회사들이 부품 공급사한테 생산 및 운송과정까지 친환경을 요구하기도 한다는데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로 발전하는 양 자체가 적어서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새만금에 태양광패널 깐다는 말도 그래서 나온거라고..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azarus
Lazarus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2.09. 18:56

그래서 BMW 배터리로 sk이노베이션 들어가는거에요

 

새만금에 태양광 깔아봐야 3기가와트정도고 그마저도 20년 한도 걸려있습니다.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ARMCC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2.09. 20:15

태양광은 대안 근처에도 못갑니다...   그야말로 패션친환경 대표주자가 태양광이죠.  

 

차라리 핵융합이 원자력을 대체하는 게 더 기대해 볼만 할 겁니다....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으하하핳
으하하핳
2019.02.09. 07:53

전기차 진짜 짱입니다! 전기차 사고싶다!

[으하하핳]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azarus
Lazarus
2019.02.09. 18:55

어차피 민주당이 다수인 하원에서 부결날듯요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0 13
핫글 미니 [잡담] PC 들일 때 맥이냐 윈도우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25] 불심 15:32 841 10
핫글 미니 ios18 제어센터라는데 [18] file 오레오가좋아 09:29 1342 9
핫글 미니 갤럭시 문자 알림 아이콘 바뀌었네요. [3] file 바닐라라떼 10:03 806 4
209293 미니 마음에 드는 키보드가 너무 비싸요 [9] file 지나가던호갱 22.05.27 1937 5
209292 미니 저 이제 얼마나 살 수 있을까요? (폴드3 스크린에 금가기 시작했어요.) [12] file LG가반도체를킾했으면 22.05.27 1937 3
209291 미니 SID Display Week 2022 직찍 몇장 [2] file 긴닉네임2003291156 22.05.13 1937 11
209290 미니 근본있는 헤드폰 구매했습니다. [1] file SpOpera 22.05.07 1937 6
209289 미니 요새 강화유리쓰면 터치감 화질이어떤가요? [8] lalopp 20.10.23 1937 1
209288 미니 통신사에서 일하지만 자급제를 사는이유,여러분이 자급제를 사야하는 이유 [18] file 버벨 20.02.12 1937 3
209287 미니 "S25 울트라에만 엑시노스2500(가칭) 탑재" [17] Closers 24.04.17 1936 24
209286 미니 재밌는 컨셉의 보온컵이 있었군요 [5] file 땃쥐나리 23.04.08 1936 11
209285 미니 삼성 디스플레이 홍보영상에 등장한 그 이름 [8] file Stellist 22.05.10 1936 8
209284 미니 GOS 우회한 것 같습니다 (Netguard 사용) [10] file 아이폰13프로 22.03.06 1936 1
209283 미니 Galaxy가 감성적이었을 때 [8] file 하루살이2 21.11.14 1936 5
209282 미니 폴드2 폴리머 케이스 구입은 불가능하려나요 [4] oldradio70 20.09.12 1936 0
209281 미니 저 지금 몹시 흥분했습니다 [12] file 빅코 23.11.04 1935 36
209280 미니 스냅 8 Gen 2 도 피크성능엔 연연하지 말아야 합니다 [12] file AquStar 22.12.23 1935 23
209279 미니 S22 짧은 후기 [2] file 알휙 22.03.09 1935 8
209278 미니 One UI 4 이상한 "컨셉" [6] file JoyJoy 22.01.09 1935 4
209277 미니 아이패드 에어3 삼성충전기로 충전해도 괜찮을까요? [12] file 창환 20.10.08 1935 0
209276 미니 스냅드래곤765 및 엑시노스980 스펙비교 [11] 흡혈귀왕 19.12.06 1935 0
209275 미니 진짜 현재 삼성 인력 겁나 뽑네요 [3] 갠냑시 23.05.15 1934 8
209274 미니 Galaxy S8 Ultra 무슨 문제 있나요..? [6] Futuristics 22.05.21 1934 3
209273 미니 IT 커뮤니티가 환호하는데 망하는 이유는... [13] AurA 21.11.20 1934 26
209272 미니 갤럭시 ap의 앞날이 도저히 보이지가 않습니다..... [27] 개구리페페 21.10.07 1934 18
209271 미니 삼성 강남 픽업 난리났네요. [12] 룬룬 24.01.27 1933 12
209270 미니 이재용,40명 사장단 불러 튼 영상엔 "아이폰보다 아쉽다" [19] 요트맨 24.01.24 1933 15
209269 미니 S24U 동영상 S24+랑 비교해도 딸리는것 같네요 [34] file 맞는말만함 24.01.23 1933 1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