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RuBisCO

수소경제라는 뻘소리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

  • RuBisCO
  • 조회 수 225
  • 2019.03.07. 22:43

수소를 어떻게 경제적으로 생산하느냐의 문제입니다.

 

현재 수소의 생산 방식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석유화학산업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부생수소와 화석연료(천연가스)의 분해, 물의 전기분해 이렇게 세가지.

 

그리고 이중에서 부생수소의 경우는 에너지원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쓰이는 양까지 생각하면 생산량이 모자라고 현실적으로 에너지원으로써의 수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방식은 화석연료로 만들어내거나 물을 전기분해하는 것.

 

문제는 둘 다 에너지 손실과 비용문제에서 전혀 자유롭지 못한 방식입니다.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자고 수소를 쓰는건데 화석연료를 분해해서 수소를 만들어가며 쓰는것도 우스운일이고, 물을 전기분해 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로 생산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특히 수소의 경우에는 공급과정에서 골때리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수소를 압축하여 운반해야 하는데 이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소요된다는 겁니다. 이건 무시할 수 있는게 아닌게 수소보다 수송비가 몇배는 더 비쌉니다. 이는 수소의 특징에서 비롯하는데, 가벼운 기체를 초고압으로 눌러담아야 하는데 폭발하지 않는 튼튼한(=무거운) 용기에 담아야 합니다. 압축과정에서만 최소 수소가 담고 있는 에너지의 10% 이상이 소요됩니다. 운송과정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제외하고 그냥 용기에 눌러담는데만.

 

그리되면 결과적으로 다른 운송수단들과 비교하면 이렇게 됩니다.

 

2차전지 전기차 :

발전소 -> 전력망(한국 기준 손실율 10%미만. 평균 7.3%) -> 충전기(충전손실 약 10% 가량)

-> 전지 출력손실 10%미만 -> 원동기 효율 약 90% 전후

 

수소연료전지 전기차

발전소 -> 수소생산(케이스 바이 케이스이나 이상적인 초고온 전기분해시에도 전환효율 90% 미만.)

-> 생산된 수소의 압축과 수송에 소요되는 에너지 손실(케이스 바이 케이스. but 최소 10% 이상.)

-> 연료전지의 전기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케이스 바이 케이스. 역시 40-50% 가량.)

-> 원동기 효율 약 90% 전후.

 

화석연료차 :

운송비용 - 전체 연료비용의 수% 내외 -> 내연기관 에너지 효율 25~35%. 

 

결과적으로 도저히 수지타산이 맞지를 않습니다. 지출해야 하는 비용은 대용량 리튬전지와 호형호제하는 미친 가격의 지랄맞게 비싼 촉매를 얹은 연료전지와 초고압을 견뎌낼 수 있는 호랑이똥값을 자랑하는 저장탱크와 그에 못지 않은 초고비용의 생산 및 수송 인프라인데 얻어지는 이익이라곤 겨우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다는 것 하나 뿐. 근데 그 유일한 장점은 기존의 2차전지 차량도 차고 넘치게 가능한데 외려 2차전지 차량은 시스템 전체 효율이 더 좋습니다.

 

이걸 커버하려면 그나마 유일한 방법은 에너지의 비용지출이 인류에게 그렇게 큰 제약사항이 되지 않을 정도로 크고 저렴한 에너지원이 튀어나와서 에너지 효율 손해를 부차적인 요소 정도로 밀어버릴 정도의 기술적 진보가 필요합니다. 그만한건... 수소핵융합뿐이죠. 그정도 되는 수단을 동원하지 않고선 턱도 없는 이야깁니다. 참고로 이번 정권에서는 신재생 에너지를 수소생산에 동원하겠다는 미친소리를 하는데, 그 신재생 에너지는 화석연료보다도 비싼 물건인데 이걸 수소생산하는데 쓰면 제곱으로 비싸질텐데 그건 무슨수로 감당하려는지.

댓글
18
Lazarus
1등 Lazarus
2019.03.07. 22:59

궁서체 글 좋습니다.

 

플러스로 튜브 트레일러로 수송 할 수 있는 수소의 양이 별로 안되는 점이 보급에 있어서 악요인이지 않나 싶습니다.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Lazarus 님께
2019.03.07. 23:12

수소의 수송비용이 전기나 화석연료와 달리 미친듯이 비싸단 건 다들 간과하는 사실이죠.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azarus
Lazarus RuBisCO 님께
2019.03.07. 23:26

오늘도 좋은 지식을 잘 섭취하고 잡니다 호로록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iangMai
2등 ChiangMai
2019.03.07. 22:59

수송은 결국 기술과 규모의 경제가 해결해 줄 문제이고 원자력 폐열을 이용한 수소생산도 있습니다. 

[ChiangMa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azarus
Lazarus ChiangMai 님께
2019.03.07. 23:01

탈원전이라는 정책과 상반되기 때문에 그건 힘들것 같습니다..

 

원전도 문제인게 건식 저장고가 몇년안으로 다 차버려서 갈때 까지 간 상황이라..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iangMai
ChiangMai Lazarus 님께
2019.03.07. 23:05

기술이 폐방사능 물질을 재처리해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해줄겁니다.(진지근엄)

[ChiangMa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azarus
Lazarus ChiangMai 님께
2019.03.07. 23:08

고속증식로는 실질적으로 다 접고 있는 추세고요.. 우리나라는 연구중이지만 아직까지 들리는 소식은 없습니다.

[Lazaru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iangMai
ChiangMai Lazarus 님께
2019.03.07. 23:09

고..속..증식 아 그거 알죠 알죠. 흠. 고압가스로..큼 흠

[ChiangMa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ARMCC Lazarus 님께
2019.03.08. 00:32

접는 추세가 아니라 개발텀들이 무지하게들 길기 때문에 빠르게 가시적인 뭔가가 나오기 힘든 구조라서.... 안보입니다.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Lazarus 님께
2019.03.07. 23:44

사실 사용후 핵연료 문제는 핵확산 문제만 안걸리면 재처리를 하던가 중수로 기반으로 돌려버리면 참 좋은데 이게 또 한반도다보니 [...]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글쓴이
RuBisCO ChiangMai 님께
2019.03.07. 23:05

수송은 이게 기술을 떠나 근본적으로 물리적인 문제라서 해결이 곤란하고(그나마 시도해 볼 수 있는건 전국에 가스 수송 파이프라인을 깔아버리는거긴 한데 이건 돈이 ㅎㄷㄷ) 후자의 경우 전력을 아주 소비하지 않는게 아니라 원자력 발전과정에서 고온을 이용해서 기존의 전기분해보다 훨씬 적은 손실로 만들어내는겁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iangMai
ChiangMai RuBisCO 님께
2019.03.07. 23:07

핵융합도 용기안에 담는 시대인걸요. 물리적인 문제도 결국 기술이 해결해줄 겁니다(엄격)

[ChiangMa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잉여잉간
잉여잉간 ChiangMai 님께
2019.03.07. 23:16

많은걸 알고 계시는군요! 말씀을 못하는게 답답하시겠습니다...

[잉여잉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iangMai
ChiangMai 잉여잉간 님께
2019.03.07. 23:17

아뇨 저분들 지식에 감탄하는 중입니다

[ChiangMa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ARMCC ChiangMai 님께
2019.03.08. 00:33

그게 초고온가스로인데  원전의 폐열을 쓰는 게 아니라 열을 높이는 것 자체가 목표입니다...  주목표는 수소 생산.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3등 ARMCC
2019.03.08. 00:29

사실 전기차건 수소차건  원래는 저CO2 체계의 일환으로 원자력(수소는 초고온가스로로 열분해 생산...)을 근간으로 삼을 수 밖에 없는 게 방향이었는데....

 

그냥 뭐 요즘은 그런 거시적인 에너지체계 구축은 다들 관심 없고 정치적으로 참 맛깔나는 친환경적 이미지 구축에 도움되는 것들만 버프받고 있죠....   정작 그 근간인 에너지원은 아오안이고...   

그따우니까 테슬라 같은 넘들이나 좀비같이 명줄이 붙어 있지....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츄즈미플리즈
2019.03.08. 01:54

수소 경제, 탈원전 등등은

1, 2년 수준의 정책이 아니라서요...

그리고 수소 경제는

현대 때문에 반강제로 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츄즈미플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폭강
폭강
2019.03.08. 09:28

생산은 둘째치고 충전소 수가 너무 없어요

[폭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1048
핫글 쿠팡 과징금 관련 쿠팡 측 입장 [17] update 룬룬 24.06.13 10 515
핫글 포르자 호라이즌 또 현대 나오나 보네요 [2] file SeoH 01:37 4 231
핫글 역시 예상대로, 치지직은 중간광고 도입으로 또 불타네요 ㅋ 나르자 24.06.13 2 246
114634 십오짐 사고 싶어요 [2] 비온날흙비린내 19.03.07 0 30
114633 배틀 그라운드 맵 에란겔, 리마스터 계획 [2] BarryWhite 19.03.07 0 106
114632 한국의 자랑 [15] file 아기상어 19.03.07 1 181
114631 집앞 마카롱 너무 비싸요 [14] 인헤리턴스 19.03.07 0 103
114630 미코의 자랑.jpg [24] file 스테인 19.03.07 0 143
114629 버즈 빨리오는건 좋은데 문제네요 [3] file 난민 19.03.07 0 79
114628 폴드는 두꺼우니 [5] 맨유나이티드 19.03.07 0 55
114627 갤팔쓰니까 좋은점 [6] 스테인 19.03.07 0 52
114626 스탠드 환불되었네요 [2] file 스테인 19.03.07 0 85
114625 씨스타가 정산을 빨리 받은 이유.jpg [6] file BarryWhite 19.03.07 0 167
114624 [우주소녀]해피 루다 데이.jpg [1] file BarryWhite 19.03.07 0 81
114623 옷 사는 방법 여러분은?? [16] 맨유나이티드 19.03.07 0 70
114622 손톱은 불금 [2] file 스테인 19.03.07 0 48
114621 산거 왔습니다 [2] file IRIVER 19.03.07 0 61
114620 SM7 크루즈버튼에 짜증난 유부남 [3] file 맨유나이티드 19.03.07 0 143
114619 ??? : 가만히 있어, 나중에 커서 후회하지 말고 [3] file BarryWhite 19.03.07 1 123
114618 운동녀의 흔한 피지컬.gif [4] file 맨유나이티드 19.03.07 0 165
114617 YG 유일한 희망.gif [7] file 맨유나이티드 19.03.07 0 169
114616 심심하네요 [5] 인헤리턴스 19.03.07 0 33
114615 미코의 자랑 [6] file 비온날흙비린내 19.03.07 0 90
수소경제라는 뻘소리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 [18] RuBisCO 19.03.07 3 225
114613 알리 또 오배송왔네요 [4] file 스테인 19.03.07 0 156
114612 미코 1초라도 접속 못하면 불안합니다 [7] 숲속의참치 19.03.07 0 54
114611 개총 끝 [2] file 비온날흙비린내 19.03.07 0 55
114610 남자의 옷 사는 방법 [6] 숲속의참치 19.03.07 0 9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