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두목원장

수소차 는 보급이 어려울거 같네요

수소차 자체 탱크는 안전하다고 큰소리 치는데

정작 충전소들이 펑펑 터지네요. ㄷ ㄷ ㄷ

얼마전에는 노르웨이 수소충전소가 크게 터졌죠. 

두목원장
-PC-
5600X . RTX 3080. 1TB Nvme. 27gl850

-Mobile-
Apple MacBook Pro 14
Apple IPhone Pro 15
Apple Watch 8

-Sound-
Bang Olufsen A8
Bang Olufsen H95
Aune X1s Pro

-Car-
Renault Samsung Qm6

-Job-
English director
댓글
17
김태리
1등 김태리
2019.06.16. 22:28

현실은 없어서 못삼 ㅠㅠ

[김태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두목원장
글쓴이
두목원장 김태리 님께
2019.06.16. 22:28
[두목원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2등 팝카드있으세요
2019.06.16. 22:31

수소 자체의 생산비용도 저렴하지 않은데 운송비가 답이 없죠 

원전이나 수력발전소는 밤에 멈출수 없으니까... 남는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서 수소로 저장한다면 차라리 이해하는데 그러느니 그 전기를 전기차에 충전 저장하는게 훨씬 직관적이죠.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두목원장
글쓴이
두목원장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6.16. 22:35
[두목원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츄즈미플리즈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6.16. 22:57

운송은 최근에 해결 됐습니다. 

어느 액체에 담아서 옮길 수 있는 기술이 발명 됐거든요.

[츄즈미플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팝카드있으세요 츄즈미플리즈 님께
2019.06.16. 23:46

기술이 나와도 상용화 되고 전국, 전세계 충전소, 운송차량용 탱크, 굴러다니는 차량에 적용되려면... 

장기적으로 포텐이 많은 기술이긴 하지만 반대로 얘기하면 시기상조라는 말이죠.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츄즈미플리즈 팝카드있으세요 님께
2019.06.17. 01:38

그건 전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전기차도 충전소를 만들어야 하니까요.

운송 차량이나 자동차는 문제 없어 보이고요^^

[츄즈미플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회로
2019.06.16. 22:35

전기차나 내연기관이 안정성이건 가격경쟁력이건 환경 친화적(생산과정 포함)이건 모든 면에서 나은 것 같은데, 왜 이렇게 수소차를 밀어 붙이는걸까요...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두목원장
글쓴이
두목원장 회로 님께
2019.06.16. 22:37

그러게 말입니다. 현기가 방향 잘못잡은거 같기도해요.

[두목원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팝카드있으세요 회로 님께
2019.06.16. 22:42

전기차로는 테슬라나 중국업체를 현기가 앞서나갈 여지가 별로 없는데, 수소연료전지는 토요타를 포함 하는데가 몇군데 없으니까요. 이쪽으로 시장이 넘어오길 바라는겁니다.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츄즈미플리즈 회로 님께
2019.06.16. 23:02

안전성은 전기차도 똑같습니다...

충돌이 일어나면 배터리 때문에 바로 천국행입니다.

환경은 거의 비슷비슷하고

문제는 가격인데...쩝

수소 단가가 전기 단가보다 저렴해지면 괜찮은데

그게 언제올지...;;;

 

그리고 어디서 들은 말인데

수소차의 최종 목표는

수소가 아니라 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거라고 합니다. 

[츄즈미플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2019.06.16. 23:26

수소전기차는 아직 연구실에 박혀 있어야 할 물건입니다. 수소연료전지가 거의 400-500km 주행거리 전기차 배터리 가격 수준에 수소 자체도 저렴하게 생산할 도리가 없고(특히 탈원전하면서는 더더욱!) 심지어 운송과정까지 복잡하기까지 하니까요.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츄즈미플리즈 RuBisCO 님께
2019.06.17. 01:53

현대 수소차 넥쏘의 가격이 3000만 원입니다.

개인이 감당하지 못할 수준의 가격은 아니죠.

그리고 도리가 없다고 하시는데

생산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탈원전에 대해

뭔가 크나큰 오해를 하고 계시는 거 같은데

탈원전은 1, 2년 수준의 계획이 아니라

몇십 년 수준의 계획입니다^^

 

게다가 우라늄 원전은

우리가 아는 것과는 달리

문제가 있는 발전 시설이라서

 

시간이 흐르면

토륨 원전이나

핵융합 발전에 의해

도태될 기술이기도 합니다. 

[츄즈미플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츄즈미플리즈 님께
2019.06.17. 09:06

3천만원 이야기는 대당 3500만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의 보조금까지 더한 다음의 이야깁니다 -_-;;

출고가 7천만원이 장난으로 보이십니까? 그거 3000만원대에 살수 있게 만드는걸 전부 세금으로 보전하고 있단 말입니다.

그리고 핵융합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수십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만 현 정부의 탈원전 기조 아래에서 원전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수십년도 아니고 바로 현시점에서 바로 제동이 걸렸습니다. 적어도 핵융합이 완성되기 이전까지는 계속 이용해야할 원전 관련 기술들의 연구를 신재생에너지와 LPG가스로 대체한다는 명분 아래에서 전방위 사보타지를 가하고 있는데 그걸 겨우 미래에 도태될 기술 운운하면서 퉁칠 수준의 이야기가 아니란 말입니다.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츄즈미플리즈 RuBisCO 님께
2019.06.17. 13:14

보조금은 전기차도 마찬가집니다. 

그리고 원전을 너무 긍정적으로 생각하시는데

원전은 방사능 같은 오염 물질을 배출합니다.

그건 인류의 기술로 어떻게 처리하지 못해서

지금 따로 지하 깊숙한 곳에 만들고 있을 정도입니다.

게다가 토륨 원전은 2020년 중반을 목표로

중국과 인도가 중심이 되어 개발하고 있습니다.

 

원전 개발의 경우

연구에 제동이 걸렸다고 하지먼

그렇다고 건설을 못하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정부는 기존에 계획한 원전은 다 건설할 예정입니다.

 

또한 전기는 보관을 쉽게 못하는 존재라서

발전 시설이 많아 봤자

사용을 못하면 쓸모 없는 존재입니다.

 

즉 우리가 당분간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발전 시설을 지을 필요가 없다는 거죠

[츄즈미플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츄즈미플리즈 님께
2019.06.17. 13:30

이번 정권에서 제동이 걸린 연구들 중에선 수소를 기존의 화석연료를 소비해 탄소배출을 일으키면서 만드는 대신에 탄소배출 없이 생산하기 위한 생산기술은 물론이고 문제라고 말씀하시는 방사성 폐기물들을 감축하기 위한 기술들까지 포함됩니다 -_-;;;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츄즈미플리즈 RuBisCO 님께
2019.06.17. 17:22

제 말의 핵심을 모르시는 거 같네요...ㅡㅡ

제 말의 핵심은 미래에 우라늄 원전이

다른 발전 시설로 대체될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최소 5년 최대 30년이라는 기간안에

우라늄 원전의 부산물인

방사능을 0에 가깝게 만들 수 없기에

 

우라늄 원전에 투자를 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소 생산은 물을 전기 분해해서

얻는 쪽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츄즈미플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0855
핫글 막고라 게시판 이용해보실 분 계신가요? [11] update Alternative 24.05.29 7 239
핫글 야구는 부계 유전인가요? [7]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4.05.29 5 255
핫글 막고라 게시판 질문 있습니다. [10] 소나기 24.05.29 4 180
14757 [18] 정치닉네임23949591 19.06.25 1 73
14756 윈도우10에 [9] 아기건달_보노보노 19.06.25 0 120
14755 스압) 7월 개봉 예정 영화 [2] file 기변증 19.06.25 1 135
14754 밑에 초콜릿 만들어지는 과정입니다.jpg [5] file 멜로엘로 19.06.25 0 107
14753 슈퍼콘 광고 첨에는 별로였는데 [1] 아기건달_보노보노 19.06.25 0 78
14752 후방) 하늘 사진 [2] file 팝카드있으세요 19.06.25 2 315
14751 하늘 사진 [14] file A7S2 19.06.25 1 103
14750 참되고 바르고 정직한 자동차 동호회 카페 [4] file 두목원장 19.06.25 0 145
14749 초코는 그 자체로 완벽합니다. [11] file Memeko 19.06.25 1 141
14748 아이패드2 실사 되나요. [4] 아기건달_보노보노 19.06.25 0 79
14747 닭껍질튀김 매장 확대했군요. [9] file 기변증 19.06.25 0 173
14746 선생님 면접을 보는건지 [7] 두목원장 19.06.25 0 124
14745 일본. 코파아메리카 16강 탈락.. [3] 두목원장 19.06.25 0 91
14744 민초단에게 질문 [5] t('ㅅ't) 19.06.25 0 71
14743 애나벨 토마토 점수가 의외군요 아기건달_보노보노 19.06.25 0 74
14742 요정 비키니 [2] file 서녘마리 19.06.25 0 192
14741 벌써 7월이 되가네요.... [2] 아이폰과갤럭시 19.06.25 0 76
14740 소리 비키니 리뷰.youtube [6] 팝카드있으세요 19.06.25 3 419
14739 해외 사이트/어플 회원가입 국가찾기 끝판왕... [5] file Stellist 19.06.25 4 258
14738 현기도 아직.. [3] 두목원장 19.06.24 0 128
14737 네이버 Sns는성공하는게없네요 [3] file 서녘마리 19.06.24 0 185
14736 존윅2 복습했습니다 [2] 아기건달_보노보노 19.06.24 0 79
14735 청하 신곡 Snapping.you [2] BarryWhite 19.06.24 0 118
14734 스포티파이 거지런 file 서녘마리 19.06.24 0 125
14733 면접 보면서 느끼는점 [4] 두목원장 19.06.24 0 16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