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딱보면알아

미니 삼성은 왜 QD-OLED 로 가려는 걸까요?

art_15633401621508_1f5d3b.png

블루oled에다가 퀀텀닷 컬러필터 씌운 거라던데

얼핏보면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아 보이네요

 

1. 삼성이 엘쥐 oled에게 그토록 욕하는 티비 번인이 발생

블루 소자라서 더 쉽게 생김

 

2. 애매한 시기

이미 oled로 자리잡고 있는 엘쥐에 비해 너무 늦다

또 지금 투자하면 3-4년 뒤에나 빛을 볼건데

그때쯤이면 mled가 슬슬 경쟁력을 갖출 시기

 

3. 소비자가 qd oled에서 체감하는 가치는?

기존 제품들에 비해 그리 획기적이지도 않은 것 같은데

수십조를 투자한다라??

이해가 안 가네요

 

mled 자리잡을 때까지 lcd티비로 마냥 버틸 수는 없으니

울며겨자먹기로 qd oled 가려는 듯 보이는데....

삼성의 결정이 삼성답지 않게 굉장히 애매한 것 같습니다.

 

 

 

댓글
30
1등 AGRS
2019.09.28. 13:46

단가경쟁이 훨씬 좋을걸요?

[AGR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AGRS 님께
2019.09.28. 13:49

그렇다면 조금은 이해가 가네요

대충 때울려는 심산일려나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바보중
2019.09.28. 13:51

번인이 안생기죠. 번인은 레드, 그린 소자는 멀쩡한데 블루만 죽어서 생기는거니까요... 그냥 전체적인 밝기감소만 됩니다.

 

뭐 대형oled는 엘지보다 경쟁력이 약하니 그걸로 버텨야겠죠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바보중 님께
2019.09.28. 14:08

방송 로고 같은 건 번인 생길 것 같은데요

한쪽만 계속 밝게 쓰니까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딱보면알아 님께
2019.09.28. 14:10

밝기처이로 인해 눈에 도드라지는것도 번인으로 볼 수는 있겠네요. 

근데 방송로고도 요즘 픽셀단위로 조금씩 움직이지않나요??  소형과는 다르게 픽셀 자체가 커서 쉽게 생기진 않을겁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3등 존버합니다
2019.09.28. 13:54

Qd-lcd로만 버티기힘든게 크죠 oled공장 완공되면 단가내려갈텐데 MLED까지 가만있기에는..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존버합니다 님께
2019.09.28. 14:09

삼성으로서도 딱히 대안이 없는 것 같네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고부
2019.09.28. 14:06

저게 수명에서 유리하고,  퀀텀닷필터가 WOLED에서 쓰는 필터에 비해 색재현력이 좋을거라고 하더군요.

[바고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바고부 님께
2019.09.28. 14:10

오히려 수명에서 유리하다니 의외네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qazsdf
qazsdf
2019.09.28. 14:06

1 블루소자가 번인의 원인이기 때문에 블루소자를 엄청 크게 키워서 수명을 늘리는겁니다.

 

2 QD-OLED 증산한걸로 MLED도 할 수 있게 만들겠죠 게다가 MLED는 아직 한참 남았어요

 

3 기존 WOLED랑 비교하면 훨씬 우월한 방식임

[qazsdf]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qazsdf 님께
2019.09.28. 14:13

네 이젠 좀 납득이 많이 가네요

저게 최선은 아니겠지만 삼성으로서는 가장 합리적인 한 수겠군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청림
2019.09.28. 14:20

기존 삼성 LCD가 중국산 물량공세 때문에 수익성이 없어져서 만든겁니다

번인이랑 상관없는 구조구요

기존 LCD보다 나은 품질을 보여줄테니 경쟁력은 충분하죠

[청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청림 님께
2019.09.28. 18:29

현재 LCD보다 어느정도 더 나은 품질을 보여줄지가 관건이겠군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idio
Eidio
2019.09.28. 14:24

1. 번인 마케팅에 열을 올린 건 삼성전자 VD사업부이고 QD-OLED에 투자하는 건 삼성디스플레이(SDC)입니다.

 

2. LG가 자리를 잡았다고 하기에는 연산 400만대도 안 되는 작은 시장이고요. 그렇게 따지면 SDC가 혼자 30조 가까운 매출을 올리고 있는 중소형 OLED 시장에는 LGD를 비롯해서 다른 패널 메이커들은 얼씬도 하면 안 됩니다. 대형 OLED 시장은 이제 시작했어요. 그리고 마이크로LED는.. 까놓고 말해서 2030년에나 경쟁력이 있을까 말까 합니다.

 

3. 소비자가 체감하는 OLED TV의 가치는 이미 삼성이 마케팅+브랜드빨로 LCD TV 버티고 있는 걸 제외하면 다른 모든 주요 TV 메이커가 OLED로 프리미엄 시장에 대응하고 있는 것만 봐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Eidio 님께
2019.09.28. 18:41

oled에 시장의 무게 중심이 점점 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도 따라가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놓였네요

페스트 팔로워 전략으로 재미를 많이 봐왔던 삼성이 이번에도 재미를 볼 수 있을지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cing
Rcing
2019.09.28. 14:29

1. 컬러필터로 인한 손실보다 QD의 변환효율이 높습니다

2. QD의 색 정확도와 표현력, 특히 광색역에서 훨씬 뛰어납니다

3. 백라이트 전체가 B-OLED라 수명에선 밀릴 수 있어도 현재 번인의 양상과는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Rci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Rcing 님께
2019.09.28. 18:44

1. 청색 소자의 발광효율이 떨어져서 오히려 전기를 많이 먹지 않을까요?

2. 색 정확도는 이미 100% 이상을 달성하던데 그 이상이 필요한가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cing
Rcing 딱보면알아 님께
2019.09.28. 19:06

1. 간단하게 청색만 보시면 됩니다

WOLED->컬러필터 / B-OLED직발광

 

2. 컬러필터는 정확한 파장대만 투과시키지 못 하고 일정 스펙트럼 범위로 나오게 됩니다

QD도 완벽하게는 구현이 안 되지만 컬러필터보다는 정규분포의 폭이 좁습니다

[Rci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Rcing 님께
2019.09.28. 19:09

네 감사합니다

여러가지 다 계산해봤을 때 할만하니 삼성이 하는가 봅니다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2019.09.28. 14:53

Qd는 컬러필터처럼 특정 파장을 통과시키는것이 아니라 빛에너지를 받아 스스로 발광하는것 입니다.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MrHS 님께
2019.09.28. 18:45

이중발광...어떤 오묘한 색이 나올지..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dger
Badger 딱보면알아 님께
2019.09.28. 23:34

에너지 준위가 높은 파란빛을 qd필터로 저준위로 내리는 방식이라 색 구현율은 상당히 높습니다만 저 잉여 에너지는 분명 열로 배출될듯하네요

[Badg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시릴라
시릴라
2019.09.28. 15:44

진짜 QLED나 mLED는 나오려면 아직 한참 멀었습니다.

과도기로 충분히 쓸 수 있어요.

 

소자 자체가 크니 수명도 더 길고, 기존의 WOLED나 OLED보다 화질도 좋죠.

 

더 자세한 건 여기서 찾아보세요.

https://allled.tistory.com/222

[시릴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시릴라 님께
2019.09.28. 18:46

자료 감사합니다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2019.09.28. 16:43

AMOLED 대형화가 어렵기 때문에

WOLED와 비슷한 구조인 QD+OLED로 가려는 거겠죠.

그외에도 여러 이점이 있겠지만, 핵심은 결국 AMOLED 대형화 실패일 겁니다.

어차피 블루소자의 수명은 QD+OLED가 아니더라도 늘려야 하는 문제라서, 치명적이진 않습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BarryWhite 님께
2019.09.28. 18:51

10년 이상 아몰래드 대형화 하려고 공돌이를 갈아넣었을텐데 

실패한 거 보면 정말 엄청나게 어려운 분야였나봐요

늦게나마 다른 길을 찾아 다행입니다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딱보면알아 님께
2019.09.28. 20:52

대형화는 마스크땜에 진작에 포기했고 아마 

qdcf와 qdel의 노선에서 고민은 했을 겁니다.

개발한다 얘기가 돌았던 걸 보면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973 13
핫글 미니 국내는 폴드6 플립6는 딱히 문제없을 것 같네요. [17] update 엔당이희망입니다 24.06.13 1179 16
핫글 미니 OneUI 6 Watch 충전 애니메이션 [15] updatefile 일.칠칠이사오삼팔오 24.06.13 1445 14
핫글 미니 솔직히 갤탭S에 디멘시티쓰는건 [26] gamma 00:05 1143 13
31233 미니 S10 5G 야간모드 [4] file 지대공지름미사일 19.10.06 503 0
31232 미니 리눅스 메인으로 쓰는 개발자들 보면 신기해요 [6] file 비온날흙비린내 19.10.06 796 0
31231 미니 ss10 사진 [6] file 난민 19.10.06 493 1
31230 미니 노트9 앱 들어갈때마다 이화는 앱별 뭐시기 펜설정하라고 뜨는거 뭐죠..? [1] 노트9 19.10.06 181 0
31229 미니 S10+ 사진 [3] file dlwlrma 19.10.06 460 1
31228 미니 실리콘 케이스들 찐덕해지는거 대책 찾았읍니다 [12] 오토카모 19.10.06 538 0
31227 미니 KT기가는 쓰지마십셔.. [5] file Futuristics 19.10.06 564 0
31226 미니 아이폰 25일 출시 18일부터 예판시작 [4] qazsdf 19.10.06 372 0
31225 미니 iPadOS13 사파리 탭 사라짐 꾸준하네요. [13] 권악선징 19.10.06 1692 0
31224 미니 갤럭시 개인적으로 은근 짜증나는거 [11] 비온날흙비린내 19.10.06 1140 0
31223 미니 삼성도 애플스토어 같은 느낌의 젊은 감각 매장 있었음 좋겠어요 [12] 지대공지름미사일 19.10.06 570 0
31222 미니 블랙베리 사려는데 뭐가 최신모델이죠? [5] 개소리전문가 19.10.06 302 0
31221 미니 확실히 아이폰 12,8이 기대되는군요 [3] AGRS 19.10.06 355 0
31220 미니 S10+ 실리콘케이스 말인데요 [6] Angry 19.10.06 337 0
31219 미니 패스포트에 안드로이드 올라간 프로토타입이 몇개 있기는 했죠. [1] file 비온날흙비린내 19.10.06 422 0
31218 미니 폴드 스코코 붙였습니다. [4] HmmmmE 19.10.06 390 0
31217 미니 아이패드 미니 C타입 제품이 나와줬으면 아라리 19.10.06 176 0
31216 미니 단자 통합이 참 중요하네요. [13] sands 19.10.06 574 0
31215 미니 블랙베리 그거 다 허세죠 ㅋㅋ [9] file 꿀빵 19.10.06 575 0
31214 미니 아이패드 버그 아직도 [4] file 군필여고생 19.10.06 350 0
31213 미니 블랙베리 그거 다 허세죠 [3] file qazsdf 19.10.06 371 0
31212 미니 애플 반복 별로 안좋아하나봐요 [3] file Futuristics 19.10.06 548 0
31211 미니 GF의 상장 기사에 대한 현직자(?)의 답변.. [3] Eidio 19.10.06 405 0
31210 미니 난...ㄱㅏ끔... 눈물을 흘린다... [15] file 오토카모 19.10.06 716 0
31209 미니 마소도 국내에 프리미엄 스토어 열어서 서피스금방 출시할걸요.. [6] Futuristics 19.10.06 454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