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Aimer

미니 120Hz 행복회로를 절망회로로 바꿔 드리죠

  • Aimer
  • 조회 수 662
  • 2019.11.21. 01:32

엑시노스 M5의 전력효율 + 120Hz 주사율의 환장의 콜라보로

 

픽셀4급 배터리 라이프 달성!

 

"삼성, 갤럭시S11 배터리 광탈 논란에 해상도 주사율 하향 조정해서 사용할 것을 권고"

Aimer
Hate Mimi Device

Mobile
-SM-F946NZKEKOO
-SM-G975NCWFKOO
-SM-X916NZAIKOO

Wearable
-SM-R950NZSAKOO
-SM-R900NZAAKOO
-SM-R510NZAACB2
-SM-R180NZWAKOO

Desktop
-AMD Ryzen 7 5800X3D
-MSI MPG B550 Gaming Edge WIFI
-MSI GeForce RTX 4070Ti Gaming X Trio 12GB
-WD BLACK SN850X / 750 2TB, MX500 4TB
-Crucial Ballistix 3200MHz DDR4 16GB x 4
-NZXT H5 Flow (with Noctua NF-A12x25)
-Razer Huntsman V2 Linear
-Razer Cobra Pro
-Razer Viper Ultimate

Big Thing
-Hyundai Santa Fe MX5
댓글
33
S7엣지
2등 S7엣지
2019.11.21. 01:34

사실 이럴가능성도 충분히 잇긴한데 그나마 정 못써먹을정도면 아예 끌수잇으니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ㅠ

[S7엣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바보중
2019.11.21. 01:41

m5면 전력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겠지만 그렇다고 9810,20 보단 좋을겁니다.

일단 공정이 깡패인데 공정이 7lpp로 상당히 개선되었으니...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er
글쓴이
Aimer 바보중 님께
2019.11.21. 01:45

조크입니다 선생님...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Aimer 님께
2019.11.21. 01:50

하지만 a14와 스냅865에게 개같이 밟히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er
글쓴이
Aimer 바보중 님께
2019.11.21. 01:51

그러니 내년은 존버할까 싶읍니다.

 

사실 S10+ 만족도도 충분히 높아서... 굳이 내년에 기변한다면 아예 사과 생태계로 갈 듯 하구여.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Aimer 님께
2019.11.21. 02:24

선생님 저와 같이 s12로 단결하시죠 rdna가 마렵지 않으십니까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er
글쓴이
Aimer 바보중 님께
2019.11.21. 02:34

선택지는 3개로 잡고 있읍니다.

 

1. 사과농장

2. UTG적용한 폴드

3. S12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Aimer 님께
2019.11.21. 02:35

1, 2는 비루한 저에겐 선택할 수 없는 고오급 제품들이군요 ㅜㅜ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1:53

euv를 적용했고 8nm대비 크기를 상당히 축소할수 있다뿐이지

8nm대비 전력효율이 크게 개선된건 아닌걸로 알고있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2:24

삼전이 밝혔죠. 20프로의 개선이 있다. 20프로면 적다고 하기는 힘든 수치죠.

또한 공정혜택은 ap뿐만 아니라 모뎀도 혜택을 받는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그보다 좀 더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을겁니당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2:53

삼성이 20%의 개선이 있다는것은 성능이아닌지요? 또한 그것은

칩셋을 말하는것이고 공정을 말하는것이 아닌걸로 압니다

a77과같이 동일전력에서 20%성능향상이라면 큰 기대를 하기힘들다고 봅니다..

올해의 m4 vs a76 구도 그대로라는 말이되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3:16

클럭개선 또는 동클럭 대비 20프로 전력효율 상승이라고 밝혔습니다. 990클럭은 공개된게 없어서 아직 알수가 없네요 그러면 공정발표치로 처음부터 천천히 따라가보면서 설명드리죠.

 

삼성은 10lpe 대비 7lpp에서 전력효율이 약 50프로 향상되었다고 했습니다. 8895 -> 990

 

10lpe를 탑재한 8895는 2.3의 클럭을 가집니다. 부스터가 없어서 고정된값을 가지죠.

 

10lpp는 10lpe 대비 클럭 15프로 향상 또는 전력효율 10프로 향상입니다. 해당공정을 사용한 ap는 9810이며 클럭은 아시다시피 2.7의 싱글부스터 클럭과 2.3의 듀얼코어 부스터를 가집니다.

 

8lpp는 10lpp 대비 10프로의 클럭향상 또는 10프로의 전력효율 향상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당공정을 사용한 ap는 9820이며 원코어 2.7 듀얼코여 2.3입니다.

 

8890은 원코어클럭이 따로 없어서 상호비교하기 곤란하니 듀얼코어 기준으로 비교하겠습니다.

 

2.3 2.3 2.3 클럭은 계속 동일하니 전력효율만을 계속 개선했다고 가정을 하고 8895의 전력소모를 1이라고 했을시 9820의 전력소모는 0.81입니다. 삼성이 말한 0.5에 미치려면 8lpp에서 7lpp로 넘어갈 시 40프로의 전력효율 향상이 필요합니다.

 

즉 삼성lsi가 말한 20프로는 정말 극보수적인 수치라고 말 할수 있겠습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3:43

"공정"의 향상치를 언급한것인데 아키텍처기술까지 포함된

cpu자체의 전력효율이나 성능자체를 언급하는거부터가 잘못된것입니다..

애플의 a13에 쓰인 7nmp공정의 향상치가 대단해서

애플이 최대성능20%향상 동일성능 전력소모 30%감소라고 한게 아니듯이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3:48

죄송하지만 전댓글에서 적은건 순전히 공정향상으로 얻은 수치만을 말한겁니다. 아키텍쳐까지 적용한건 그보다 훨씬 높습니다 다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4:18

삼성이말한 0.5의 수치가 뭔지 잘 모르겠고

지금 말씀하시는 추측은 전부 님생각아닌가요 애초에 다른 아키텍처를

사용한 cpu를 가지고 공정의 성능향상치나 전력효율을 예측하시는지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4:15

저기요... 죄송한데 삼성lsi 가 밝힌 수치가 아니라 삼성파운드리에서 밝힌 수치를 그저 적은거라고요 찾아보지도 않고 뇌피셜을 운운합니까? 

 

https://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39815

https://news.samsung.com/kr/삼성전자-8나노-파운드리-공정-개발-완료

 

https://news.samsung.com/global/samsung-electronics-starts-production-of-euv-based-7nm-lpp-process

그리고 뇌피셜이라고 하신거 신고합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4:25

10lpe에서 7lpp로 가면 50프로의 전력효율 향상, 10lpe에서 8lpp까지 총 10프로 10프로씩 향상되었으니 알아서 계산해보세요 분명 전 자료를 알려드렸고 친절하게 설명을 하는데 뇌피셜로 까내리는거 잘 봤습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4:20

그리고 님이 20%의 개선이 있다길래 당연히 990발표한거 생각했습니다

10nm lpe대비 20%성능향상이면 큰수치가 아닌데요;; 10nm lpe가 몇년전 공정인데요

갤럭시s8에 쓰였던 8895 ap가 10nm lpe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4:06

그냥 간단하게말해서 9830으로 공정향상치를 예상하시는데

9820은 삼성이 발표할떄  동일성능 전력효율 40%향상이라고했습니다;;

그런데 님이 말씀하시길 8nm lpp는 동일성능 전력효율 10%향상입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4:27

저기요 아키텍쳐가 오히려 퇴보하는경우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의 회사들은 오히려 좋아집니다.

당연히 아키텍쳐 개선치가 포함된게 40프로고요 공정개선치는 그보다 낮습니다.

 

전 아까부터 오히려 20프로는 보수적인 수치라고 말했습니다. 근데 뇌피셜이요? ㅋㅋㅋㅋㅋㅋ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4:28

애초에 10nm 공정이 언제적이야긴데요;;

비교군이 너무 오래된 공정이라고 생각하지않으십니까..

클럭이나 성능기준이 있는것도아니고 "최대" 50%인데..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4:31

저기요 저 자료는 무려 삼전 오피셜 자료입니다. 제가 임의로 비교한게 아니라고요

 

전력소모량 50프로 떨구는게 개껌마냥 쉬운게 아닙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4:32

50%떨구는게 힘든건 저도 그렇게생각합니다.. 그런데 이게 "최대"라는 말이 들어가면 애매할거같아서요..

바보중님. 일단 제가 잘못알고 말한거 죄송합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바보중 님께
2019.11.21. 04:33

밑에 댓글 삭제했습니다 생각해보니 제 언행도 님 입장에서

만약 유쾌하지않았을거라 생각듭니다 잘못안 부분 죄송합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노틀담의꼽추 님께
2019.11.21. 04:39

"공정"의 향상치를 언급한것인데 아키텍처기술까지 포함된 cpu자체의 전력효율이나 성능자체를 언급하는거부터가 잘못된것입니다.

 

나름 길게 댓글적어서 알기쉽게 설명해주려고 열심히 적었는데 저렇게 쓰셔서 화가 났던건 사실입니다.

 

저 역시 일정부분 잘못있다고 생각드네요. 사과드립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다물
다물 바보중 님께
2019.11.21. 09:02

120hz 지원으로 전력소모 증가는 디스플레이 때문이 아닌가요? M5의 전력효율과는 상관이 없는 것 같은데요. 4k 노트북 배터리 짧은게 cpu나 gpu 탓은 아니잖아요

[다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다물 님께
2019.11.21. 09:34

제 생각으론 디스플레이보다는 정확히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전력소모가 증가하지않을가 생각이..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다물 님께
2019.11.21. 10:04

...? 120hz에 관하여 제가 뭐라 말한적 없습니다.

본문에 m5 잔력효율 이야기가 나와서 m4보단 그래도 괜찮을거다 말한거에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098 13
핫글 미니 요즘 iOS macOS 보면 선개통 후완공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13] Terrapin 24.06.17 1011 15
핫글 미니 S24+는 지금까지 써본 폰중에서 가장 만족스럽네요. [21] file Gottago 24.06.17 1264 9
핫글 미니 비전프로 OS 2.0 핸드 트래킹 개선의 비밀 [1] file HSC 24.06.17 558 5
38912 미니 윈도+arm계열은 미래를 보고 보조금부터 풀어야 됩니다 [8] 갤럭시S2 19.12.01 287 3
38911 미니 4Ghz의 벽은 액티브r 19.12.01 257 0
38910 미니 랩탑 에 ARMMMM? [11] file 함우 19.12.01 434 0
38909 미니 오포 Reno2와 Reno 10x Zoom을 토대로 S11 시리즈 줌기능 예측 [7] file 흡혈귀왕 19.12.01 393 0
38908 미니 애플 아키텍처가 성능이 엄청나도 이상할게없는게... [9] 노틀담의꼽추 19.12.01 468 0
38907 미니 RISC에 유리한 긱벤치 결과만 놓고 PC에 비비니 마니 하면 얼굴이 화끈해집니다. [13] 갤럭시S2 19.12.01 723 8
38906 미니 맥북 이가격이면 어떤가요 [3] dkdkdkdkzps 19.12.01 213 0
38905 미니 ARM도 고클럭공정에 빅코어만으로 코어수늘리면 [4] 액티브r 19.12.01 220 0
38904 미니 온룩스추잡한 s11플 카메라렌더링은트릭이고 어떻게배열해서나올까요... [2] file 갤럭시S20존버 19.12.01 386 0
38903 미니 내년a14는 멀티4천은 무난히넘겟네요 ㄸ [4] 노틀담의꼽추 19.12.01 262 0
38902 미니 언박스 테라피가... 폰케이스 사업을 시작하는군요. [8] Stellist 19.12.01 422 0
38901 미니 AMD 4000번대 모바일 CPU/APU 예상 [9] 아라리 19.12.01 325 0
38900 미니 갤럭시S11 강화유리 유출 [9] file 범죄자호날두 19.12.01 744 0
38899 미니 플레이스테이션5 디벨로퍼킷 실물유출 [4] file 범죄자호날두 19.12.01 517 0
38898 미니 갤럭시S11 새로운대형센서로 밤을 낮으로바꾼다? [1] 갤럭시S20존버 19.12.01 453 0
38897 미니 인텔이 차세대공정 시원하게 말아먹어서 노트북시장에 영향이 큽니다 [11] 아라리 19.12.01 366 0
38896 미니 코맷이랑 아이스랑 어떤 차이죠.. [13] 헤페바이쎄 19.12.01 320 0
38895 미니 그램17이 250이면 같은 아이스레이크쓴 [5] 존버합니다 19.12.01 296 0
38894 미니 2020 그램 떳었군요 [14] 존버합니다 19.12.01 822 0
38893 미니 홀로그래피 디스크는 나올까요? [3] 액티브r 19.12.01 186 0
38892 미니 PC for DeX 개선 하긴 했네요 [6] 딸기맛치킨 19.12.01 516 0
38891 미니 MS가 아직도 윈도우7 이용자의 윈도우10 무료 업그레이드를 허용하고 있다네요 [2] 스퀴니 19.12.01 302 0
38890 미니 s9 베타 신청하고 파일까지 받아놨는데 [2] 뭘로할까 19.12.01 187 0
38889 미니 추억의 쿼드런트 벤치를 갤럭시S10 5G에서 돌려봤습니다. [6] file 요크 19.12.01 464 0
38888 미니 확실히 SSD도 PC 램 용량 체감 줄어들게 하는데 한몫했겠죠. 액티브r 19.12.01 214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