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반도체 노드별 스탠다드셀 구조에 대한 이해는 대충....

Rm4QR8I.png

 

46a8ccbee4e6863c74d7e1e1891c465b.jpg

 

 

대충 요 이미지로 설명할수있을듯하네요...

 

CPP/게이트피치, Fin개수, Fin피치, M2, MM피치 등등...... 

 

해당 조합들로 스탠다드셀의 높이와 폭이 달라집니다.......

 

 

한마디로

로직상 셀의 높이는 M2의 트랙 수와 메탈 배선의 최소 MMP(Minimum Metal Pitch)로 결정되고

셀의 폭은 게이트피치, CPP(Contacted Poly Pitch),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거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또한

CPP나 게이트피치가 동일해도 메탈트랙과 핀개수가 다르면

셀 높이 또한 달라지게됩니다...

 

 

실제 삼성이나 TSMC 같은 경우도 동일노드에서 핀개수와 메탈트랙 차이로

모바일용 저전력 고밀도(HD) 옵션

HPC, 데스크탑용 고성능 저밀도(HP) 옵션

 

2가지로 나누고있습니다.

 

 

제가 이전 글부터 계속 스탠다드셀의 메탈트랙 타령을 했던 이유가 바로.......

 

 

9c0142761ff7276fa6b1700842c7a48a.jpg

 

반도체 노드 특성상 셀 높이는 성능 및 전력 부분에서 뗄래야 땔수없는 관계라고 할 수있습니다.

 

 

셀 높이가 낮을수록 저전력의 고밀도 지향이고

반대로 셀 높이가 높을수록 고성능 지향입니다.

 

셀이 높을 수록 성능(클럭)에 유리한 이유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을 넓혀 전류 구동 강도를

키우기 쉽기 때문입니다.

 

셀이 높아지면 결국 트랜지스터당 Fin개수를 늘릴수있고 이로 인해

스피드게인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단 반대로 셀이 커지면 커진 다이면적 만큼 소비전력도 같이 늘어나버립니다.....

 

 

 

이렇기 때문에 모바일 AP같은 애들은 고성능 HP옵션이 아닌 고밀도 HD옵션을 써서

셀면적과 전력을 최대한 줄이는 형태로 가고있습니다.

 

 

단 반대로 그 만큼 HD옵션에선 클럭 올리기가 굉장히 빡쌔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사실 데스크탑마냥 고클럭이 필요없는 모바일AP 특성상 결국 HD옵션으로 제조시 전혀 문제될게 없고

오히려 이득이라 할 수있겠죠.....

 

 

79f15ffcc1b107043bf857f226c6e2c2.jpg

 

스텐다드셀 별 트랙과 Fin 개수에 따른 높이 비교입니다....

 

 

10.5T~9.0T 셀이 14nm/16nm 세대의 셀

8.75T~7.5T 셀이 10nm/8nm 세대의 셀

6.75T~6.0T 셀이 7nm/6nm/5nm 세대의 셀

 

로 정리됩니다...

 

 

6ac7ce8b758bb1486a3cd4f7637b51db.jpg

 

이 밖에도 싱글 디퓨저 브레이크(SDB)라는 기술도 있는데

기존 더블 디퓨전 브레이크(DDB)과 비교해서 셀 간격을 줄여줘서 면적을 감소할수있습니다.

 

이론상 최대 10% 면적 감소가 가능하며

 

삼성의 경우

6nmLPP, 5nmLPE 등에 SDB가 적용되어있고

 

TSMC의 경우

7nm+, 6nm, 5nm 등에 SDB가 적용되어있습니다.

 

 

ce8947cb63d360a37ab5d6b4440354fc_1571646226_9163.png

 

이 밖에 삼성은 SDB외에 X-Couple라는 기술을 함께써서

Smart Area Scaling 라고 칭하고있는데

 

X-Couple은 셀을 대각선으로 추가로 면적 개선을 해줍니다.

 

 

삼성은

5nmLPE가 6.0T 셀과 Smart Area Scaling 적용으로 기존 7nmLPP 대비 최대 면적을 25% 개선했다고 발표했고

6nmLPP는 SDB만 적용하여 7nmLPP 대비 최대 면적을 10% 개선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뭐 이건 어디까지 스탠다드셀에 대한 기준이고........

 

각 파운드리사별로 프론트엔드, 미들엔드, 최적화등은 별개~ㅡㅡㅋㅋ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6
조태화
3등 조태화
2019.12.04. 05:04

혹시 M2 가 M0, M1 다음에 오는 M2 를 말하는건가요?

그렇다면 왜 M0 피치가 아니라 M2 피치를 언급하시는 건가요?? M0 피치는 중요하지 않은건가요?

[조태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조태화 님께
2019.12.04. 08:06

cell.png

cell2.png

 

해당 이미지를 보시면 이해가 편하실거같네요...

M1과 M0도 물론 중요합니다.

 

트랙 때문에 본문에선 M2를 강조했던거였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조태화
조태화 흡혈귀왕 님께
2019.12.04. 09:18

아 알겠네요 스탠다드 셀 기준으로 보여줄려다보니 M2 를 끌고온거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재밌네요 단위소자 전공이라 회로설계쪽은 끽해야 에스램 인버터 작동 정도만 기억하는데 ㅎㅎ

[조태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조태화 님께
2019.12.04. 09:27

넹~ 맞습니다~

해당 글 자체가 내부 로직보단 스탠다드셀 높이와 폭이 촛점이었거든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99 13
핫글 미니 시기상조 모니터 샀습니다 file 서린 24.06.08 372 7
핫글 미니 저는 폴드 슬림이... [23] 흡혈귀왕 24.06.08 760 5
핫글 미니 아이패드 프로 가격 어마무시하네여 [3] file 크로아츠 00:56 572 5
5793 미니 와씨...Exagear가 GPU가속으로 윈도우 게임 구동되는 수준까지 왔습니다! [6] 흡혈귀왕 22.03.02 8255 6
5792 미니 S20U 내 파일 네트워크 저장공간 후기... [7] file 흡혈귀왕 20.02.26 7573 1
5791 미니 구성 류우머 루우머 쇼오문 소오문 [25] 흡혈귀왕 22.05.21 4495 14
5790 미니 덱스 모드 외부 디스플레이에 강제로 4K 출력 하는방법 [15] file 흡혈귀왕 22.05.14 4491 9
5789 미니 노트20 울트라 국내판 긱벤치5 점수 [6] file 흡혈귀왕 20.08.03 4409 1
5788 미니 류우머 루우머 쇼오문 소오문 갱신 [23] 흡혈귀왕 22.06.04 4291 16
5787 미니 S22U vs 폴드4 vs 플립4 12MP 광각 비교 [22] file 흡혈귀왕 22.08.11 4228 11
5786 미니 공정 관련 이모저모 소문... [13] 흡혈귀왕 22.09.19 4171 17
5785 미니 찌라시) 삼성 갤럭시S11 시리즈 후면 카메라 정보 [22] 흡혈귀왕 19.12.14 4149 7
5784 미니 아이피타임 A3004NS-M 공유기 괘아늘려나요? [13] 흡혈귀왕 20.01.25 4135 0
5783 미니 국내판 AP는 걍 지켜보면됩니다.......... [38] file 흡혈귀왕 19.12.07 4072 0
5782 미니 삼성 파운드리 신규 로드맵관련 주저리 주저리... [20] file 흡혈귀왕 22.10.04 3822 18
5781 미니 엑시노스990 CPU 성능은 이게 한계인듯하군요... [44] file 흡혈귀왕 20.02.12 3705 0
5780 미니 S24 시리즈는 국내판 엑시노스 탑재 가능성이 높습니다. [17] 흡혈귀왕 22.12.25 3636 6
5779 미니 센서 사이즈별 카메라 분포도...글고 모바일 대표 센서들 판형 비교 [23] file 흡혈귀왕 19.12.14 3588 12
5778 미니 차기 엑시노스2200과 스냅드래곤895 공정 관련 주절주절 [37] file 흡혈귀왕 21.06.06 3577 17
5777 미니 삼성 17nm로 CIS 제조시 장점... [12] 흡혈귀왕 22.09.16 3533 18
5776 미니 PS3 에뮬 성능이 엄청 좋아졌네요.... [4] 흡혈귀왕 20.10.03 3489 2
미니 반도체 노드별 스탠다드셀 구조에 대한 이해는 대충.... [6] file 흡혈귀왕 19.12.03 3434 11
5774 미니 다들 댁에서 공유기 몇대 설치해놓고 쓰시나요? [29] file 흡혈귀왕 20.01.26 3429 0
5773 미니 엑시빠 관점에서 보는 이번 스냅드래곤865 소감 [27] file 흡혈귀왕 19.12.05 3386 6
5772 미니 생각해보니 128 이슈는 이미 S23때도 나왔던 말 아닌가요? [7] 흡혈귀왕 23.12.26 3303 5
5771 미니 LG V50에 Win11 ARM 설치되는군요. [16] 흡혈귀왕 21.10.16 3278 3
5770 미니 GN3 vs GW2 비교.....그리고 GN3 vs IMX582 [31] file 흡혈귀왕 22.12.06 3268 17
5769 미니 소문 소문 소문 [19] 흡혈귀왕 20.12.28 3263 1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